
역시 이번에도 DNA였다. DNA가 오랜 해묵은 숙제 하나를 명쾌히 해결하는 답을 제시한다. 매독!
섹스를 통한 밀접 접촉을 통해 퍼지는 심각한 질병 성병인 매독syphilis이 어디서 처음 발생했는지를 두고 오랜 논쟁이 있었거니와,
어떤 이는 유럽에 옛날부터 있었다 했고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아메리카 신대륙에서 콜럼버스가 가져왔다 했다.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 인골들을 분석하고 그에서 DNA를 뽑아내서 조사했더니?
역시 아메리카였다. 하지만 범인은 콜럼버스였다.
연구자들은 아메리카 전역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된 유해를 연구하고 그들의 발견을 작년 12월 18일 공간된 네이처Nature 저널에 발표했다.
그들의 연구는 매독이 다른 관련 감염과 함께 유럽으로 퍼지기 전에 아메리카에서 처음 발병했다는 강력한 증거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수천 년 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오래된 뼈와 치아를 조사했다.
첨단 DNA 검사를 통해 과학자들은 매독과 유사한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흔적을 식별할 수 있었다.
결과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다른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훨씬 전에 이 박테리아들이 이미 아메리카 대륙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이 데이터는 매독과 그 관련 질병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했음을 분명히 뒷받침한다"라고 독일 라이프치히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고고유전학자archaeogeneticist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키르스텐 보스Kirsten Bos는 성명을 통해 밝혔다.
"15세기 후반부터 유럽에 유입되었다는 점이 이 데이터와 가장 일치한다."
연구진은 아메리카 대륙 여러 고고학 유적에서 발굴된 인골을 분석하여 매독 및 관련 질병 증거를 찾았다.
유럽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와서 땅을 식민지화하기 시작한 후, 그들은 집으로 돌아왔을 때 질병을 다시 가져왔을 가능성이 높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럽은 1400년대 후반에 매독의 대규모 발병을 경험했다.
트레포네마Treponema 속 박테리아는 성매독 외에도 핀타pinta, 베젤bejel, 야우스yaws[요스?]와 같은 비성병 non-venereal diseases을 유발하며, 이러한 질병들을 통칭하여 트레포네마병treponemal diseases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든 질병은 사람의 일생 동안 뼈의 파괴와 재형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고고학자들은 매독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오랫동안 아메리카 대륙의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유골 pre-Columbian skeletons을 조사했다.
그러나 수 세기 동안 트레포네마균 DNA treponemal DNA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기 때문에 매독에 대한 명확한 유전적 증거를 찾는 것은 더욱 어려웠다.
이 발견은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미스터리를 풀어주는 데 도움을 주며, 건강, 질병, 인간의 움직임이 역사를 통해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매독 유사 감염이 수천 년 동안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생했다는 사실은 꽤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지만, 병변만으로는 이 질병의 특성을 완전히 규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라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케이시 커크패트릭Casey Kirkpatrick은 성명에서 밝혔다.
새로운 연구에서 연구진은 트레포네마균 감염 징후가 나타난 아메리카 대륙 수십 구 유골에서 치아와 뼈 샘플을 채취했다.
그런 다음 유전체 기술 발전 덕분에 1492년 이전에 현재 멕시코, 페루, 아르헨티나, 칠레 지역에서 사망한 다섯 명 유골에서 매독균(Treponema pallidum) 유전체를 분리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유전체 분석을 통해 매독과 관련 질병을 유발하는 박테리아인 매독균(T. pallidum)이 9천 년 전인 중기 홀로세Holocene 아메리카 대륙에서 기원했으며, 이후 다양한 매독균 질병을 유발하는 아종으로 분화되었음을 발견했다.
하지만 현대 매독은 콜럼버스 도착 직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대서양 인신매매 증가와 함께 초기 식민지 시대에 빠르게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보스는 성명에서 "미국 원주민들이 이런 질병의 초기 형태를 품고 있었지만, 유럽인들이 이를 전 세계로 퍼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 대한 평이 있을 것으로 본다.
'미라 이야기 > 미라 너머, 뼈를 남긴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른 눈 검은 피부 짙은 갈색 곱슬머리, 누가? 구석기 아이가! (2) | 2025.04.21 |
---|---|
DNA가 밝혀낸 경악스런 데니소바인 데니의 실체 (0) | 2025.04.20 |
머리에 꽃을 두르고 간 헬레니즘 시대 소녀 (0) | 2025.04.19 |
민중이 열광한 도둑 쉰더한네스, 그의 유골 이야기 (0) | 2025.04.19 |
동위원소가 역사를 바꾼다, 히메라 전투의 경우 (0) | 2025.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