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man, probably 3rd-4th century AD
This double-sided comb probably came from a woman’s grave. The inscription has sometimes been explained as Modestina Vale (‘Modestina, farewell’), but in that case the final word would be mis-spelt.
(Source: The British Museum)
로마 시대, 아마도 서기 3-4세기 무렵에 만들었을 빗이랜다.
이 양면 빗은 아마도 여성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리라 본다지만, 글쎄다 남자 무덤에서도 제법 다온다.
저 가운데 몸통을 따라 라틴어를 박았으니 확실치는 아니하나 Modestina Vale라 읽고 '모데스티나Modestina여 잘 가시시오'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된다면 마지막 단어 철자가 틀렸다고 한다.
오타났나?
꼼꼼히 교정 보지.
그건 그렇고 저 빗 천상 우리네 참빗이잖아?
이 잡고 비듬 털어내고 창포 기름 바르던 그 참빗 말이다.
이러다간 참빗까지 실크로드 타고선 로마에서 왔단 말 나오리라.

봐봐, 우리네 대나무 참빗이랑 똑같잖아?
스키타이는 빗도 황금
https://historylibrary.net/m/entry/%E3%85%8E-32
스키타이는 빗도 황금
스키타이 황금 유물 중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진 황금 빗이다. 참빗 계통이라 봐야 하나? 저런 빗에 왜 전투 장면을 형상화했는지 모를 일이다. 기원전 430-390년 무렵 제작품이며 우크라이나 자포
historylibrary.net
게르만 참빗에다 왜?를 묻는다
https://heriworld.com/m/1207
게르만 참빗에다 왜?를 묻는다
a small, finely crafted comb, delicately carved with teeth still intact undisturbed for 1,700 years, discovered in southern Germany, believed to belong to the Alemanni, a Germanic tribe1,700년 동안 무덤 속에 묻힌 채, 섬세하게 조각되고 이
heriworld.com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석기 대모신과 제니퍼 로페즈 (0) | 2025.04.28 |
---|---|
도검술, 그 끝간 데를 간 월왕 구천검 (1) | 2025.04.28 |
저승길에도 불은 필요한 법, 투탕카멘을 위한 활비비 라이터 (0) | 2025.04.27 |
불가리아 바르나, 가장 빠른 황금을 제조한 공장 (2) | 2025.04.27 |
왜 몽골 제국은 정복에 환장했을까? (1)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