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earthed in 1965 near Jiangling, China, the Sword of Goujian, over 2,000 years old, astonished archaeologists with its remarkable condition.
이 도검술이 근대로 내려올수록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그 주도권이 일본으로 넘어갔으나, 그 원류라는 관점에서 역시 중국은 힘이 셌다.
특히 당시에는 중국이라 할 수 없는 장강 문화권 춘추전국시대 도검술은 눈이 부셔서, 사진은 그 우뚝한 증거다.
저 시대 도검은 월왕 구천과 오왕 부차가 사생결단식 쟁투를 할 때라, 사진 속 저 분은 1965년 중국 강릉江陵 인근 무덤에서 발견된 이른바 구천검Sword of Goujian[越王勾践剑]이라.
2천500년을 넘도록 저 상태를 유지한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은가?

물론 보존처리를 했지만, 흔히 알려지기로 막 발굴했을 적에 종이를 베었더니 종이가 그대로 나가더라 하는 일화가 있을 정도니 말이다.
내 기억에 아마 저게 니켈 합금인가 그리 나오지 않았나 싶다. 찾아봐야 한다.
암튼 저걸 실제 사용했겠는가?
날 나간다.
그래서 저건 개똥폼용이다.
칼집이 있어야는데 칼집은 어디 갔나?

소고기 벨 때 딱 안성맞춤이기는 하겠다.
뼈는 건딜면 날이 나가므로 안 된다.
내친 김에 중국 남방 도검술은 면면히 이어지는데, 단양 출신 갈홍이 바로 도검의 명수이며,
그 후세 양나라 도사 도홍경 또한 도검록刀劍錄이라는 저술이 따로 있을 정도다.
도검 문화가 발달한 곳일수록 종교사상사 측면에서 도교가 극성한다.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슬로 꽁꽁 묵은 중세의 도서관들 (0) | 2025.04.28 |
---|---|
신석기 대모신과 제니퍼 로페즈 (0) | 2025.04.28 |
이러다 로마 참빗까지 실크로드 타령 나올 듯 (0) | 2025.04.27 |
저승길에도 불은 필요한 법, 투탕카멘을 위한 활비비 라이터 (0) | 2025.04.27 |
불가리아 바르나, 가장 빠른 황금을 제조한 공장 (2)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