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은 복귀하는 전투기의 총알자국을 분석하여 어디를 집중 보강해야 할지 결정했다.
이미지의 빨간색 점은 복귀한 전투기가 가장 자주 타격을 받은 곳을 나타낸다.
당초 군은 총알 자국이 가장 많은 부분, 즉 날개, 꼬리, 동체 외부를 보강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러나 통계학자 아브라함 월드 Abraham Wald는 중요한 통찰을 제시했다.
이 전투기들은 살아남았다.
이 전투기들이 입은 타격은 치명적이지 않았다.
월드는 엔진과 조종석처럼 총알자국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부분이 치명적인 약점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부분에 타격을 입은 전투기는 복귀하지 못했기 때문에, 누락된 데이터 포인트가 매우 중요했다.
이 이야기는 생존 편향, 즉 생존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에만 초점을 맞추고 살아남은 사람이나 사물은 간과하는 논리적 오류에 대해 알려준다.
이는 종종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는 통계와 의사 결정의 고전적인 사례이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널리 교육되고 있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산루의 연인들, 남녀인 줄 알았더니 남자 둘? (1) | 2025.05.19 |
---|---|
기원전 4천500년 전, 저들은 황금 떡칠을 하고선 활보했다 (0) | 2025.05.19 |
"로마인, 슬라브인 이전에 일리리아인이 있었다" (0) | 2025.05.19 |
1627년에야 멸종된 거대 소 오록스 (1) | 2025.05.18 |
런던탑을 뚫고 나온 500년 전 두 해골 (0) | 2025.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