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지속 박멸해야" 미국 농업도 멧돼지로 골머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7. 18.
반응형

농장의 저승사자 야생 멧돼지. 사진 제공: 저스틴 스미스

 

미국 조지아 농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인은 날씨, 질병, 해충뿐만이 아니다. 조지아 대학교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야생 멧돼지wild pigs는 농장과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원인으로 밝혀졌다.

워넬 임업 및 천연자원대학Warnell School of Forestry and Natural Resources 연구진은 야생 멧돼지가 재정적, 환경적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농부들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한다.

"안타깝게도 야생 멧돼지와 그 영향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이 연구 주저자이자 조지아 대학교 박사과정생인 저스틴 스미스Justine Smith는 말했다.

"이들은 우리의 토종 야생 동물과 식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엄청난 파괴력을 지녔으며, 막대한 피해를 입힙니다."

이 연구는 작물 보호Crop Protection 저널에 게재되었다.

야생 멧돼지는 1500년대 미국에 유입된 외래종이다. 하지만 지난 수십 년 동안 농작물에 대한 그들의 약탈은 더욱 심해졌다.

"쥐나 토끼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번식하는지 생각해 보자. 이제 이들을 대형 포유류로 키워서 사람 외에는 천적이 없는 지역에 풀어놓으면 어떨까?"라고 스미스는 말했다.

"야생 멧돼지 개체 수는 사실상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그 이후로 문제가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스미스는 플린트 강 토양 및 수자원 보존 지구Flint Rive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District와 미국 농무부 동식물 건강 검사국USDA'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이 주도하는 올버니 지역 야생 멧돼지 방제 및 박멸 시범 사업 Albany Areal Feral Swine Control and Eradication Pilot Project 일환으로 이차우웨이Ichauway에 있는 존스 센터The Jones Center와 협력하여 두 여름 동안 조지아 남서부 지역에 무인 항공 시스템을 배치하여 피해를 정량화하고자 했다.

연구진은 수천 에이커에 달하는 피해 농지와 야생 멧돼지 활동을 관찰한 결과, 연간 약 10만 7천 달러의 작물 가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농부들에게는 엄청난 금액이고, 이는 직접적인 작물 가치만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고 스미스는 말했다.

"근로자 임금, 장비 등 아직 정량화할 수 없는 부분에서 얼마나 많은 돈이 손실되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는 전국의 한 지역 전체에서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야생 멧돼지는 심은 작물의 씨앗을 뿌리째 뽑고, 어린 식물을 짓밟고, 때로는 농기구 일부를 갉아먹기도 한다.

연구진은 땅콩, 면화, 옥수수 농장 사례를 연구했다. 이 모든 작물은 조지아 농업에 필수적이다.

야생 멧돼지 개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외래 동물들이 유발하는 피해도 증가한다. 사진 제공: 저스틴 스미스

 

그러나 최근 야생 멧돼지 개체 수를 제한하기 위한 노력 덕분에 총 파괴 비용이 연구진 예상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연구진은 살처분과 덫 설치로 해당 지역 멧돼지 개체 수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멧돼지의 높은 출산율을 따라잡는 것은 여전히 어려웠다.

연구진은 정책 입안자들이 야생 멧돼지 개체 수 증가와 그로 인한 피해에 앞서 나가기 위해 적극적인 박멸 방법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미스는 "발을 떼서는 안 된다. 지속적인 박멸이 없었다면 얼마나 더 큰 피해가 발생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농업 기반 환경에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More information: Justine L. Smith et al, Quantifying wild pig (Sus scrofa) damage to corn, cotton, and peanut fields using unmanned aerial systems (UAS) in southwestern Georgia, USA., Crop Protection (2025). DOI: 10.1016/j.cropro.2025.10723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