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멸종 초기 호미닌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도 도구 만들어 사용했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7.
반응형

by David Kelly, CU Anschutz Medical Campus
 

KNM-ER 101000 두개골 유골. 출처: Nature (2025). DOI: 10.1038/s41586-025-09594-8

 
반세기 넘게 과학자들은 매우 강력한 턱과 거대한 이빨로 유명한 멸종된 인류 친척인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가 도구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이번 연구진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와 명확하게 연관된 최초의 손과 발 뼈를 보고하며,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가 고릴라와 같은 악력과 인간과 같은 민첩성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Nature 저널에 게재되었다.

"이번 발견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에 대해 훨씬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손이 우리 속(屬)인 호모Homo와 어떻게 유사성을 공유하면서 독자적인 능력을 진화시켰는지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집니다."

연구 공동 저자이자 콜로라도대학교 안슈츠 의과대학CU Anschutz School of Medicine 세포 및 발생생물학 부교수인 케일리 오어Caley Orr 박사는 말했다.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는 손으로 더 단단한 식물성 먹이를 얻고 처리하는 방식에서 고릴라 형태와 일치하며, 이러한 강력한 움켜쥐기 능력은 나무를 오르는 데에도 매우 유용했을 것입니다."

파란트로푸스는 호모 사피엔스의 진화적 사촌으로, 300만 년 전 공통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정한다.

이전에는 과학자들이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를 거의 두개골과 이빨 화석으로만 알고 있었으며, 손과 발을 비롯한 나머지 골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연구자들은 파란트로푸스의 운동 능력이나 석기를 만들고 사용하는 능력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실하게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호모 사피엔스와 파란트로푸스 화석이 같은 화석 유적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적에서 발견된 석기는 파란트로푸스가 아닌 호모 사피엔스 것으로 추정됐다.

이 연구를 주도한 스토니 브룩Stony Brook 대학교 고인류학자이자 인류학 조교수인 캐리 S. 몽글Carrie S. Mongle 박사는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를 특정 손과 발 뼈와 확실하게 연결 지을 수 있었던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손은 우리와 비슷한 정밀한 그립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고릴라와 비슷한 강력한 움켜쥐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은 의심할 여지 없이 두 발로 똑바로 걷는 데 적합하게 적응되어 있다.
 

출처: 루이스 리키

KNM-ER 101000으로 명명한 이 부분 골격은 2019년과 2021년 사이 케냐 투르카나 호Lake Turkana 동쪽에 위치한 쿠비 포라Koobi Fora에서 150만 년 전 퇴적물에서 발견 및 발굴되었다.

"이 놀라운 화석을 드러낸 퇴적물을 조심스럽게 제거하는 데 엄청난 시간이 걸렸다"고 발굴 현장 책임자인 사이프리안 나이테Cyprian Nyete는 말했다.

"이 표본에는 두개골 조각, 치아, 그리고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된 손발뼈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 종이 석기를 만들고 사용했는지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었다"고 캐나다 레이크헤드 대학교 연구 공동 저자인 맷 토체리Matt Tocheri 박사는 말했다.

"이 화석 증거는 그러한 논쟁을 사실상 종식시켰습니다."

이 팀의 분석에 따르면, P. boisei는 인간과 유사한 손 비율을 지녀어 초기 호모 종들처럼 석기를 다루는 데 능숙했지만, 후대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에서 볼 수 있는 특수한 손목 해부학적 구조는 여전히 부족했다.

이번 발견은 또한 다양한 초기 호미닌 종의 생태적 역할에 대한 논쟁을 심화한다.

초기 호모 종들은 도구 사용에 더 의존하도록 진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파란트로푸스는 얼굴, 치아, 턱, 그리고 이제는 손까지 독특한 적응을 바탕으로 매우 특수한 식물성 음식을 섭취했을 가능성이 높다.

 

P. boisei 골격의 디지털 복원된 왼손, 위(왼쪽)와 아래(오른쪽) Matt Tocheri



파란트로푸스 화석 발견의 풍부한 역사

"전반적으로 이번 발견은 전 세계 연구자들과 호미닌 화석이 보존된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 사회 간 긴밀한 협력을 필요로 하는 장기 현장 조사를 수행할 때 얼마나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다"고 새로운 화석을 발굴한 루이스 리키Louise Leakey 팀은 말했다.

"이 지역을 탐사, 조사, 발굴하는 데 1년에 7~8개월을 할애하는 지역 사회 파트너들의 헌신과 헌신이 없었다면 이 모든 것은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우리 조부모님[루이와 메리 리키Louis and Mary Leakey]이 올두바이Olduvai 서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의 첫 두개골을 발견하고 부모님[리처드와 미브 리키Richard and Meave Leakey]이 케냐의 화석이 풍부한 투르카나 분지에 연구를 집중하기 시작한 이후로 고인류학은 엄청나게 변화하고 성장했다"고 그녀는 말했다.

이 연구는 투르카나 분지 연구Turkana Basin Institute소, 케냐 국립 박물관, 쿠비 포라 연구 프로젝트Koobi Fora Research Project, 스토니 브룩 대학교, CU 앤슈츠, 레이크헤드Lakehead 대학교, 퍼트거스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남가주 대학교, 미국 자연사 박물관 연구진으로 구성된 국제 팀이 수행했다.


More information: Carrie S. Mongle et al, New fossils reveal the hand of Paranthropus boisei, Nature (2025). DOI: 10.1038/s41586-025-09594-8 

Journal information: Nature 
 
***
 
저 올두바이 발굴은 리키 집안에서 대를 이어 하는 중이거니와, 이 연구는 그 손녀가 주도한다.
 
3대째 올두바이를 파는 리키 집안과 리키재단

 

3대째 올두바이를 파는 리키 집안과 리키재단

김단장께서 쓰신 글에 "리키재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지라, 이 "리키재단"의 "리키"가 누구인가 하는 데 대해 조금 써 보겠다. 필자 또래 분들이라면 우리 대학시절에 크게 유행한 "오리진"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