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고대 이집트 아케타텐 역병은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0. 17.
반응형

by Sandee Oster, Phys.org
 

노스 톰즈 묘지North Tombs Cemetery에 묻힌 세 유해(1167년, 1168년, 1169년)의 훼손되지 않은 매장지. 출처: Dabbs and Stevens 2025



아케타텐 역병plague of Akhetaten은 고대 이집트의 단명한 수도가 미스터리하게 버려진 이유를 설명하는 데 오랫동안 그 원인으로 거론됐다.

그러나 그레첸 댑스Gretchen Dabbs 박사와 안나 스티븐스Anna Stevens 박사가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에 발표한 포괄적인 새로운 고고학 분석 결과, 이 역병의 증거를 분석한 결과, 아케타텐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현재 아마르나Amarna로 알려진 아케타텐Akhetaten은 이전에 아몬호테프Amonhotep 4세로 알려졌던 아케나텐Akhenaten 통치 기간에 건설되었다.

이 파라오는 태양신 아텐Aten이라는 유일신을 숭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옛 종교와의 거리를 두기 위해 아케타텐Akhetaten이라는 이집트 왕국의 새로운 왕궁이자 수도를 건설했다.

 

청동기 시대 후기 동지중해 지도(Cohen 및 Westbrook 2000, xii에서 수정).



그러나 새 수도는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았고, 아케나텐이 사망한 직후 거의 완전히 버려질 때까지 약 20년 동안만 도시로 지속되었다.

아크나텐 통치 기간 동안 기이한 결정과 도시의 급속한 폐기는 전염병 때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곤 했다.

이 전염병에 대한 증거는 주로 문헌 자료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전염병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를 찾아내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문헌 자료 중에는 이집트 전쟁 포로들이 히타이트 제국에 전염병을 전파했다고 주장하는 히타이트 전염병 기도문과, 메기도Meggido, 비블로스Byblos, 수무르Sumur에서 전염병이 발생했음을 시사하는 아마르나에서 온 편지 은닉처가 있다.

그러나 비판적으로 볼 때, 이러한 문헌 자료 중 어느 것도 아크나텐에서 전염병이 발생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않는다.

 

아마르나의 묘지와 기타 주요 장소의 위치를 ​​보여주는 아마르나 지도(아마르나 프로젝트 제공)


따라서 댑스 박사와 스티븐스 박사는 아크나텐에 전염병이 실제로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시와 주변 묘지에 대한 체계적인 고고학적 및 생물고고학적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는 이집트학 자료를 넘어 아마르나 자료에 특히 초점을 맞춥니다. 최근 고고학 및 생물고고학 연구는 역사적으로 전염병이 기록된 도시와 묘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염병의 영향을 받은 도시에 대한 일종의 예측 틀을 마련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예측을 바탕으로 아마르나에서 관찰한 것과 전염병이 발생한 도시/묘지에 대한 예측을 비교할 수 있었습니다." 댑스 박사는 이리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전염병이 건물 건설 및 유지 관리부터 매장 방식, 인구 통계 등 모든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는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다양한 증거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문헌적, 고고학적, 생물고고학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마르나에서 얻은 정보를, 만약 도시가 상당한 사망률을 가진 전염병의 영향을 받았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지 예측하는 것과 비교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가 보는 것은 예상 모델과 맞지 않는 경우가 반복됩니다."

 

사우스 톰즈 묘지South Tombs Cemetery 상부 유적 평면도. 회색으로 표시된 여러 개 무덤이 다장 무덤multiple-burial graves이다. 상부 유적 위치는 사우스 톰즈 묘지의 삽입 지도(H. 펜윅의 기본 지도, 아마르나 프로젝트 제공)에 표시되어 있다.



아케타텐 시 주변에는 다양한 묘지가 있는데, 그중 네 곳은 일반 시민을 위한 묘지다.

남쪽 무덤 South Tombs, 북쪽 절벽North Cliffs, 북쪽 사막North Desert, 그리고 북쪽 무덤 묘지에North Tombs Cemeteries는 11,350구에서 12,950구 유해가 매장되어 있다.

2005년부터 2022년까지 발굴 작업을 통해 889구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현재 연구 일부다.

유골 유해는 낮은 성인 신장, 척추 외상, 선형 법랑질 저형성증linear enamel hypoplasia(치아 성장 장애dental growth interruptions), 퇴행성 관절 질환degenerative joint disease 등의 스트레스 지표를 보였지만, 이는 전염병보다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반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질병 표지자Disease markers는 일반적으로 드물었으며, 결핵은 7명에게서만 확인되었다.

 

사우스 톰즈 묘지에서 발굴된 매장지 샘플로, 전형적인 앙와위 시신 배치(Ind. 121), 엎드려 누운 매장(Ind. 42), 손을 등 뒤로 눕힌 엎드려 누운 매장(Ind. 35), 그리고 시신이 불규칙하게 배치된 두 개 앙와위 매장(Ind. 191 및 240)을 보여준다(아마르나 프로젝트 제공).



방부 처리되지 않은 대부분의 시신은 부장품, 직물, 그리고 매트 관mat coffins과 함께 안장되었다.

또한, 매장 위치가 일반적으로 무질서하거나 특이하지 않아, 전염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을 경우 예상할 수 있듯이 매장이 성급하게 진행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전염병을 시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례적으로 많은 다중 매장multiple burials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인구 통계학적 패턴은 문화적 의도성을 시사하는데, 특히 성인 여성과 어린이가 자주 짝을 지어 매장되는 것은 위기 관리보다는 다중 매장에 대한 문화적 동기를 시사한다.

중요하게도, 고인구통계학적 모델링은 도시 인구를 고려할 때 총 매장 수가 예상 범위 내에 있음을 보여준다.

기대 수명과 거주 기간은 전염병 발생 시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마지막으로, 이 도시의 버려짐 양상은 전염병 시나리오와 맞지 않다.

아크나텐 사망 이후에도 질서정연하게 소유물을 모으고, 비록 수준이 낮았지만 계속 거주하면서 체계적으로 버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보를 고려할 때, 아크나텐이 아크나텐의 통치 기간 동안 전염병을 겪었을 가능성은 낮다.

Dabbs 박사는 이 이론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를 다음처럼 설명한다.

"이것은 너무 비판적으로 보지 않으면 논리적으로 타당한 경우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공평하게 말하면, 아주 최근까지 아마르나에서 전염병이 발생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자료는 없었습니다."

"이집트학 자료들은 아마르나와 '전염병'이나 전염병과 같은 무서운 단어들 사이에 다양한 연관성을 제시합니다. 

여러 아마르나 서신에서 전염병이 언급됩니다. 히타이트 전염병 기도문은 극심한 사망률/질병 사건을 이집트인들과 연관시킵니다. 

왕족 구성원들이 아마르나에서 사망했습니다. 아멘호테프 3세는 고대 이집트에서 질병과 역병의 여신인 세크메트Sekhmet를 위해 많은 조각상을 세웠습니다."

"이는 아마르나와 아크나텐/왕가를 다른 장소 및/또는 시대에 기록된 문헌 기록에서 유래된 질병과 연결하는 정황 증거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연결의 씨앗이 심어지자 반복을 통해 '사실'이 되었습니다."

 

매장지 발굴



대브스 박사는 또한 아크나텐에서 전염병이 발생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이것이 히타이트 전염병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한다.

"히타이트 전염병 기도문은 히타이트 왕국에서 실제로 일어난 일을 솔직하게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염병의 근원이 이집트 포로 집단이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기사를 통해 강조하고 싶은 점 중 하나는 아마르나나 고대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주장을 펼치기 위해 시간적,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의 데이터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More information: Gretchen R. Dabbs et al, Mortality Crisis at Akhetaten? Amarna and the Bioarchaeology of the Late Bronze Age Mediterranean Epidemic,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2025). DOI: 10.1086/736705 

© 2025 Science X Network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