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를 장식한 옛 영릉 석물 중 무인석이다.



이 분은 문인이다.
내곡동 본래 세종무덤을 여주로 뽑아다 옮기면서 본래 석물은 땅에 묻었으니 이 분들이 바로 그들이다.
반응형
'문화재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꺽다리 이채경 회고록》(2) ‘경주유적지도’와 ‘경주시문화유적분포지도’ (0) | 2021.07.22 |
---|---|
공주 송산리고분군, 그 현황과 개괄 (0) | 2021.06.30 |
1783년 변박卞撲이 그린 초량왜관 (1) | 2021.06.13 |
신장 190㎝ 남오성 장군의 묘 기념물 (0) | 2021.06.12 |
추사고택, 장가 잘가 불하받은 아빠찬스, 그리고 그것을 관통하는 그랜드디자인 (0)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