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Underwater Excavation Begins in Jindo Island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0. 7. 29.
반응형

Excavation Site 

 

On the 28th,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NRIMCH) started the 7th underwater excavation survey in the sea area around Jindo Myeongnyang Daecheop-ro Road in Jindo Island located in the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ea is about 4km southeast of Uldolmok, famous for its water current, and is the place where the Sambyeolcho Rebellion army in the Goryeo Dynasty fought against the Goryeo-Mongol allied forces, and the Byeokpajin naval battle, the outpost of the Myeongryangdaecheop Battle (1597) during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broke out.

 

 

Underwater Excavation

 

Through the underwater excavation survey conducted six times since 2012, artifacts from various eras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era of the pro-Three Kingdoms 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A celadon giraffe-shaped incense lid from the Goryeo period, a crossbow trigger, a bronze mirror, white porcelains, pottery jars, and anchor stones have been identified. 

 

The 7th excavation survey, which will last until September 28th, will be conducted centering on the spots in 2012 where three small seungja rifles, portable firearms used by by naval soldiers were discovered.

 

 

*** related article ***

 

 

 

Goryeo Celadons Excavated in the Sea near Nakwoldo Island, Yeonggwang were produced in the 11th century Haenam

영광 낙월도 해역서 나온 고려청자는 11세기 해남산 송고시간 | 2019-05-21 09:5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 (Seoul = Yonhapnews ) The sea near Nakwoldo Island at Yeonggwang County, Jeoll..

historylibrary.net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제7차 수중발굴조사 착수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임진왜란 소소승자총통 발견 지점 중심으로 / 7.28 개수제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직무대리 심영섭)는 28일 오후 2시 발굴조사의 안전을 기원하는 개수제(開水祭)를 시작으로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제7차 수중발굴조사에 착수한다.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은 물살이 거세기로 유명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진 곳으로, 고려 시대 삼별초가 여몽연합군과 맞서 싸운 곳이자, 정유재란 시기 명량대첩(1597년)의 전초전인 벽파진 해전이 발생한 곳이다.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유적은 2012년부터 6차례 진행된 수중발굴조사를 통해 원삼국 시대부터 고려,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청자기린형향로뚜껑과 같은 고려 시대 고급 상형청자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쇠뇌의 방아쇠, 청동거울, 백자, 도기호, 닻돌 등 다양한 유물이 확인되었다.  
  * 쇠뇌: 쇠로 된 발사 장치가 달린 활
  * 닻돌: 나무로 만든 가벼운 닻을 물속에 잘 가라앉히기 위하여 매다는 돌

이번 제7차 발굴조사는 오는 9월 28일까지 계획되어 있으며, 2012년 조선 수군의 개인 화기인 소소승자총통(小小勝字銃筒) 3점이 발견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번 조사에서 또 다른 해전의 흔적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하며, 명량대첩로 해역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을 담은 이번 수중 조사의 결과는 나오는 대로 국민에게 공유할 계획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