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라 말갑옷과 관련해 주로 죽간竹簡을 이용해 진한秦漢시대 법제사를 연구하는 충북대 명예교수 임병덕 선생님이 아래와 같은 자료를 소개시켜 주셨으니 공람한다.
사람갑옷과 말갑옷 가격 차이를 대강 짐작할 수 있는 내용이 악록진간嶽麓秦簡에 나옵니다.
① 嶽麓秦簡(貳), 13쪽, 0957/82號簡, “貲一甲 直錢千三百卌四, 直金二兩一垂. 一盾直金二垂. 贖耐, 馬甲四 錢七千六百八十”(貲1甲은 1,344錢에 해당하고, 金2兩은 1錘에 해당하고, 一盾은 金2錘. 贖耐는 4馬甲으로 7,680錢에 해당한다).
② 嶽麓秦簡(貳), 13쪽, 0970/83號簡, “馬甲一 金三兩一垂 直錢千□百卄. 金一朱(銖) 直錢卄四. 贖死, 馬甲十二, 錢二萬三千卌”(1馬甲은 金3兩1錘로 1,920錢에 해당. 金1銖는 24전에 해당. 贖死는 12馬甲으로 23,040전에 해당한다).
秦代 貲1甲은 1,344錢, 貲1盾은 48전, 1馬甲은 1,920錢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통하여 馬甲을 만드는 비용과 人甲을 만드는 비용의 비율을 대체로 추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악록진간嶽麓秦簡이란 호남성 악록이라는 데서 출토된 진나라 시대 죽간이라는 뜻이다.
맞아 그 유명한 악록서원 있는 곳. 맞던가? 암튼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이없는 1911년 모나리자 도난 사건 (1) | 2025.10.20 |
---|---|
털려서 유명해진 모나리자! 피카소도 용의선상 올라 (0) | 2025.10.20 |
미사흔을 따라 신라를 입성하는 왜국 왕녀 (0) | 2025.10.19 |
묵재 이문건이 증언하는 조선 전기 사대부가 아이들 태胎 처리 (0) | 2025.10.19 |
성덕대왕 신종 무게를 재던 날 (0) | 2025.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