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고학39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 오늘의 병아리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김혜선선생님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오늘의 병아리 :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김혜선선생님 ❝첫 발굴현장!❞ 안녕하세요,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김혜선 입니다. 조사기관에 입사한지 벌써 12년이 되었군요!🙊 아래 사진은 입사한지 얼마 안되어 발굴현장에 출장 갔을 때 모습입니다. 발굴현장에 간 게 처음이라, 어쩔 줄 몰라하며 차렷자세로 굳어 있었죠! 그러다 정신을 차리고 저의 미약한 힘이나마 보태고자 고군분투 하고 있던 모습입니다! 💪 그때는 모든것이 낯설고 어렵던 시절이네요. 아… 그리고 저때는 날씬했었군요.😅 지금은 세월만큼이나 살이 쪘지만, 그만큼 또 안정된 마음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우리 사회초년생 여러분들도 용기 힘내시길 바랍니다. 아자아자!!^_^ 2022. 5. 20.
2022년 한국고고학회 제6회 춘계학술대회 🔵2022년 한국고고학회 제6회 춘계학술대회 알림🔵 ✅일 시 : 2022. 5. 20.(금) 9:00 ~ 17:40 ✅장 소 : 국립고궁박물관 별관 강당 ✅내 용 : * 1세션 : 한국고고학의 과제와 발전방향 모색 : 근·현대 고고학의 중요성과 필요성 * 2세션 : 신예학술논단 🔗한국고고학회 해당 게시글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회 웹사이트입니다. www.kras.or.kr ※ 국립고궁박물관의 경우 주차가 불가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학회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일정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문의사항은 한국고고학회(033-255-1976)로 주시기 바랍니다. 2022. 5. 18.
한문협 유튜브 동영상 영어자막 업로드 안내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편) 🟡한문협 유튜브 동영상 영어자막 업로드 안내🟡 한국문화유산협회는 한국 고고학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협회 유튜브 채널의 보유 영상 중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이 소개하는 '최첨단 장비를 가진 특별한 발굴조사 방법 공개' 영상에 영어 자막을 작업하여 업로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발굴 기법을 국외 고고학자 및 학부생들에게 소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향후에도 관련 컨텐츠를 영문화 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저희 협회 유튜브 채널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eRXLKvUMK_0 2022. 5. 13.
이집트 고고학 온라인 강의 안내 / 2022.6.1(수)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유산협회입니다. ‘이집트 고고학 온라인 강의’ 소식 전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이집트 고고학 온라인 강의 안내🇪🇬 • 이집트탐사협회(EES) 주최 • 제목 : 1922~1952, 탈식민지화 및 이집트 고고학 • 일시 : 2022.6.1(수) 오전 1시~2시(한국시간) • 연사 : 도널드 말콤 리드(Dr. Donald Malcolm Reid) *조지아 주립대학 역사학과 명예교수, 워싱턴대학 동양언어문명학과 겸임교수 • 참가안내 : 온라인 사전등록 후 이메일로 개별 발송된 줌 링크에 접속하려 참가 • 사전 등록 링크: https://zoom.us/webinar/register/1616360512726/WN_GLcd27TlS2qft8fU9Za9AQ • 관련 사이.. 2022. 5. 13.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수박을 들고 산성에 오른 청년!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오늘의 병아리 (입사 14년차)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임성욱선생님 ❝폴라로이드 사진 속 우리들 모습! ❞ 2009년 8월 15일, 광복절이자 주말이었습니다. 주말에도 근무하는 동료이자 친구들을 위해 계양산성에 수박을 들고 가겠다고 약속하고, 낑낑거리며 수박을 들고 산성에 올라갔었지요! (사실 엄청 후회했었죠ㅋㅋㅋ😰) 무더운 한여름 발굴현장은 힘들었지만, 수박하나에 행복했던 순간이었습니다! 🙂 지금보니, 젊었고, 순수했고, 무모했지만 용감했던 시절이군요~~! 한국문화유산협회에서는 발굴현장에서 땀흘리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5월에는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라는 주제로 사회초년생시절 기억에 남는 .. 2022. 5. 10.
박물관이 고고학을 버려야 하는 이유, 국립제주박물관의 경우 일정 끝내고 남는 시간 뭘로 때울까 잠시 고민하다 이내 제주박물관으로 틀었으니 이제는 개관 20년 안팎이 되었을 이 박물관엔 유독 내가 애착이 있다. 아들놈이랑 거의 나이가 같아 그에 얽힌 내력도 있고 초대 관장 조현종 형과도 설킨 사연이 있다. 또 하나 이 박물관은 명색이 국립임에도 전연 국립 같지 아니해 개관 20년간 근본 혁파없이 유구한 전시내력 전시골격을 시종일관 한번도 버린 적 없단 점에서 실은 분통을 자아낸다. 이 박물관이 내세울 만한 제1의 상품은 정문 화장실이라 저것 말고는 볼 만한 것이 없다. 20년간 투자가 없었고 혁신이 없던 까닭에 오직 볼 만한 것이라곤 저 화장실밖에 없다. 외양만 해도 저 시절 어떤 데서 박물관 디자인 도리질을 쳤는지 용산 중박 이래 전부 저 모양이라 철퍼덕형에서 .. 2021. 10.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