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곡물4

곡물을 입에 문 그리핀, 그것을 컨트롤하는 판Pan 신 흑해의 밀레투스Miletus 식민지였던 고대 그리스 도시 판티카파이움Panticapaeum에서 나온 황금 스테이터 Gold stater (직경=18mm, 무게=9.09g).앞면에는 판Pan 신 머리가 3/4 시점으로 표시되고 담쟁이덩굴로 장식되어 있다.뒷면은 입에 창을 물고 곡물 이삭 위에 서 있는 그리핀griffin을 묘사한다.(흑해 지역은 고대 지중해 세계의 곡물 생산 중요 기지였다.). 그 곡물은 상세 표현이 따로 보이는데 밀이나 보리 종류다. 그리핀 주위에는 그리스 문자 ΠΑΝ [PAN]가 있다.현재 베를린 알테스 박물관 Münzkabinett der Staatlichen Museen에 있다. 결국 저 판이라는 신 또한 혹세무민이라, 농자천하지대본 딱 이 논리를 제공하지 않았겠는가? 농사? 지어봐.. 2024. 6. 24.
돌갈판과 돌가루 빵을 주식으로 하는 문명권에서는 음식을 거칠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돌갈판을 꼽기도 하는 듯 하다. 돌갈판은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빵이나 국수를 만드니 일차적으로 음식을 부드럽게 만드는데 기여하겠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이렇게 음식을 갈아내는 과정에서 돌가루가 곡물 가루에 섞여 들어가니 이것이 음식을 먹을 때 치아를 미세하게 마모시키는데 기여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돌 갈판은 거친 음식을 완화시키지만 그 자체 음식을 거칠게 만드는 효과도 미미하게 있다고 본다. 우리 박물관에서 돌갈판을 볼 때마다 저것을 가지고 곡물이나 채집해온 식물을 갈았다 치자. 도대체 뭘 만들어 먹었을까? 국수는 아닐거다. 빵도 아니고. 그럼 도대체 뭘 만들어 먹었을까? 죽? 죽이라면 오래 끓여도 비슷해지지 않았을까... 2024. 1. 27.
기장, 인류가 가장 먼저 만난 곡물 기장은 인류사에서 특기할 만한 곡물이다. 조와 마찬가지로 강아지풀의 매우 가까운 친척이다. 강아지풀은 생긴 모습을 보면 먹을 수 있는 곡물처럼 생겼는데 선사시대 수렵민도 같은 생각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강아지풀도 생식이 된다. 곡물로 재배는 하지 않지만. 조는 야생 강아지풀이 작물화한 것이고, 기장은 강아지풀의 가까운 친척쯤에 해당한다. 기장은 수렵민이 농경민으로 전환할 때 가장 먼저 재배했을 것이 유력한 작물이다. 이유는 기장은 파종에서 수확까지 매우 짧아 2-3개월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잡곡 치고는 맛도 괜찮아서 아직까지도 혼합곡물에 자주 들어간다. 신석기시대 곡물 하면 나오는 조, 피, 기장, 수수에서 피는 현재 완전히 탈락했고, 조, 기장, 수수는 여전히 살아 남았다. 우리나라에 도작이.. 2024. 1. 27.
썩어가는 양배추, 쌓이는 쌀, 풍년은 저주다 그제 우리 공장 강원본부 양지웅이가 발행한 두 사진 설명은 아래와 같다. 밭에 내버려진 양상추 (횡성=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27일 오후 강원 횡성군 청일면의 밭에 심은 양상추들이 녹아내린 채 내버려져 있다. 농가에 따르면 올해 양상추 가격이 지난해의 절반 이하로 떨어져 타산이 맞지 않자 이른바 '밭떼기' 계약을 한 상인들이 작물을 수확하지 않아 농민 피해가 커지고 있다. 도내 양상추 주산지인 횡성 청일면은 지난해에는 늦은 장마로 병해가 창궐해 큰 피해를 봤었다. 2022.6.27 yangdoo@yna.co.kr (끝) 그런가 하면 어제 우리 공장 경기본부 홍기원이가 발행한 사진 중에는 다음이 있다. 저 사진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계속해서 떨어지는 쌀값 (화성=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쌀값 하락이 .. 2022.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