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생충30 모조리 kill될 뻔한 칸영화제 기사, 봉준호가 기생충으로 구하다 봉준호 '기생충',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종합2보)송고시간 | 2019-05-26 04:06한국영화 최초의 쾌거, "위대한 배우들이 이룬 성과"송강호 "대한민국 모든 배우한테 영광 바친다" 그저께인가 나는 칸영화제 소식을 전하면서 우리도 이젠 본전을 뽑을 때가 됐단 말을 했다. 그 본전이 꼭 황금종려상이어야 할까마는 그래도 이젠 받았으면 했다. 조금전에 끝난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 기생충이 큰 상을 받을 때를 대비해 칸 현지에 특파한 우리 공장 이도연 기자가 미리 작성해 놓은 기사 목록이다. 하마터면 저 기사 다 날아갈 뻔 했다. 쓴 기사가 쓸모없어져 버리는 일을 언론계 용어로 킬kill이라 한다. 글자 그대로 죽여버리는 일이다. 본선경쟁작 후보로 오른 기생충이 이렇다 할 수상을 하지 못하면, 다 없.. 2019. 5. 26. 칸영화제, 이젠 본전 뽑을 때 종반 접어든 칸 영화제…황금종려상 누구 품으로송고시간 | 2019-05-24 08:25봉준호 '기생충', 소식지 평점 최고점 어제 영화인 출신 어떤 문화인을 만난 자리에서 자연스럽게 칸 영화제 얘기가 나온 김에 내가 말을 꺼내기를 "이번에는 분위기가 좋다네요. 기생충이 일을 낼지도 모르겠습니다" 고 하니, 그 분이 대뜸 받아치기를 "뭐 언제는 수상 유력 아니었나?" 하기에 파안대소하고 말았다. 뭐 나도 이른바 문화 언저리에 20년 넘게 굴러먹다 보니, 모르는 바 아니나, 그래도 언제나 이맘쯤이면 기대를 하게 되는 것도 어쩔 수 없다. 솔까, 그 비싼 돈으로 칸까지 출장간 우리 기자들이 그렇다면, 이번에도 수상 가능성이 없다고 기사 쓰야겠는가? 우리 공장만 해도 20년 넘게 연속으로 칸 영화제 출장을 보내.. 2019. 5. 24. 1993년 보고된 참굴큰입흡충이 400년전 조선시대 미라서 검출 서울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가 바로 앞서 조선시대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이라는 기생충을 확인한 사실을 소개했거니와, 언론에서는 이 소식을 아마도 내가 가장 먼저 소개한 기억이 있어, 당시 기사를 찾아 전재한다. 그 내력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에서 어느 정도 충분히 설명되리라 본다. 2006.10.29 07:00:06 '93년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전 미라서 검출서울의대 채종일 교수팀 참굴큰입흡충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1993년에야 존재가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됐다.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채종일 교수는 단국대의대 서민 교수,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 등과 함께 올해 4월6일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 2019. 3. 23. 개간, 산림파괴, 말라리아 (1)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말라리아 병원체는 현미경이나 써야 보이는 탓에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로 알기 쉽지만 실제로는 이는 원충류(protozoa)로서 기생충 질환의 일종이다. 말라리아도 기생충이니 생활사 (life cycle)가 있다. 말라리아 생활사를 보면 모기에 기생한 단계. 사람에 기생한 단계로 크게 나누어지고 사람에 들어와서도 간에 서식하는 단계, 적혈구에 서식하는 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말라리아는 반드시 모기에 물려야 감염된다. 사람과 사람 사이 감염은 없다. https://www.cdc.gov/malaria/about/biology/index.html 에서 전재. 지금도 열대지역 여행 때는 반드시 먹어야 하는 말라리아 약. 우리나라 학질*과 달리 열대.. 2019. 1. 28.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8)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서울시내 발굴현장 기생충 연구는 내게 있어 각별한 의미가 있다. 내가 50대 중반으로 들어가면서 지금까지 겪은 여러 연구 중에 이는 특히 기억에 많이 남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런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고, 결과를 역사적 시각에서 해석한 경우도 많지 않다. 나로서 본다면 고기생충학 연구가 단순한 의학사적 관심사를 넘어 과거 우리 조상의 삶을 해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점을 처음으로 확신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이번 연재를 쭉 읽은 분들은 우리가 어떤 문제의식에서 연구를 시작했고 어떤 결론을 내리게 되었는지 아시게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내용이 조금이라도 재미있었다면 나로서는 대 만족이다. 연재 마지막에 재미삼아 사족을 달아보면.. 2019. 1. 11.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7)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 서울 시내에 홍수가 잦았으며 그 정도가 얼마나 심했던가 하면 장마피해로 종각의 종이 토사로 한길 정도 묻힐 정도였다는 이야기를 했다. 사실 《승정원일기》 등 당시 기록을 보면 조선시대 한양성의 홍수피해에 대한 기록이 자주 보인다. 기호철, 배재훈 선생이 찾아 낸 당시 기록의 편린을 가지고 지도에 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위 그림에서 A, B, C, D는 우리가 기생충 샘플링을 해서 조선시대 지층에서 기생충란을 확인한 지역이다. 빨간색 선은 청계천과 그 지류이다. 노란색 화살표는 청계천 본류를 가리킨다. 보라색 부분은 성안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고 사서에서 확인 가능한 지역들이다. 경복궁과 경희궁이 포함되어 있다. 기타 노란색 동그라미 부분은 사서.. 2019. 1. 10.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