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가 바로 앞서 조선시대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이라는 기생충을 확인한 사실을 소개했거니와, 언론에서는 이 소식을 아마도 내가 가장 먼저 소개한 기억이 있어, 당시 기사를 찾아 전재한다.
그 내력과 그 의미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에서 어느 정도 충분히 설명되리라 본다.
참굴큰입흡충이 드러난 400년전 조선시대 경남 하동 미라.
2006.10.29 07:00:06
'93년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전 미라서 검출
서울의대 채종일 교수팀 참굴큰입흡충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1993년에야 존재가 보고된 기생충이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됐다.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채종일 교수는 단국대의대 서민 교수,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 등과 함께 올해 4월6일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한국남부발전 하동화력 건설현장에서 발견, 수습된 여성 미라에 대해 기생충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미라에서 채취한 대변과 장 내용물에서 기생충을 관찰한 결과 선충란은 관찰되지 않은 대신, 참굴큰입흡충과 이형흡충류(Heterophyid), 그리고 간흡충(Clonorchis sinensis) 충란이 발견됐다.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한국남부발전 하동화력 건설현장에서 발견, 수습된 400년 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에서 검출된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 기생충.
이 중 참굴큰입흡충은 1993년에야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에 의해 처음으로 확인되고 세계학회에 보고된 기생충이다.
채종일 교수는 "참굴큰입흡충은 93년 이후 진행된 감염실태 조사에서 유행한 지역이 전남 신안군 일대임을 확인했으며 금번 미라가 발견된 하동군 일대는 이 기생충의 주 분포지에 해당하지 않았다"면서 "이런 참굴큰입흡충이 무려 400여 년 전의 미라에서 확인됐다는 점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미라가 발견된 지역이 반경 수십 ㎞ 이내에 섬진강과 남해를 접한 지역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이 일대 주민들은 민물과 바닷물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많이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채종일 교수
실제 미라 기생충 검사 결과 자연산 굴(oyster)과 관계 있는 참굴큰입흡충, 민물생선과 관련있는 간흡충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이런 추정을 뒷받침한다고 채 교수는 덧붙였다.
다만 미라 발견 지역인 하동은 지금은 자연산 굴이 거의 생산되지 않지만 조선초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에 의하면 특산물로 굴이 기록될 정도로 조선시대에는 굴 생산이 많았던 곳이다.
이런 문헌 기록이 400년 전 미라 분석을 통해 증명됐으며 아울러 "조선시대에는 참굴큰입흡충이 지금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했을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고 채 교수는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과 간통, 부산 근무시절 기자생활 두 토막 (0) | 2019.04.13 |
---|---|
사대강사업 문화재조사 관련 이건무 문화재청장 기자회견 전문 (0) | 2019.03.25 |
금괴를 찾는 박정희 이발사, 효자동 이발소 이야기 (0) | 2019.03.18 |
대구 동화사 황금 소동 (0) | 2019.03.18 |
<3.1절 80주년의 사건> (6) 현승종 사태를 두고 한판 붙은 염소수염과 핏대 (0) | 2019.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