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파형동검5

[고고학용어] 비유가 성립하지 아니하는 비파형동검 vs. 세형동검 이 둘은 분포지역, 그리고 성행 시기가 다르지만 계승관계로 보기도 하거니와 이설이 많기는 하나 대체로 기원전 8세기 무렵 요동반도에서 등장해 그곳에서 성행하기 시작한 비파형동검이 기원전 4~3세기 무렵에는 한반도에서는 그에서 비롯한 세형동검으로 바뀐 것으로 본다. 이른바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더 발달한 형태처럼 보이는 비파형동검이 나중에 등장했을 법 하나, 볼품없는 세형동검이 후발주자다. 저 둘은 이칭이 많다. 또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과 한국에 부르는 이름도 다르다. 아무튼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일반화한 명칭이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lute-shaped bronze dagger]과 세형동검細形銅劍[Slender Bronze Dagger]이어니와, 여러모로 이 두 동검은 서로를 염두에 둔 명명이거나 그렇게.. 2024. 3. 24.
비파형동검 vs. 바이올린형동검, 시대 추세에 따라 학술용어 시대 추세에 따라 학술용어도 급격한 교체를 요망한다. 비파형 동검은 바이올린형 대가 dagger로 바꿔야 한다. 우각형 파수부 호 牛角形把手附壺는 뭐라 바꿔야나? 트윈트리 핸들드 포터리 twin tree handled pottery? 이중구연 단사선문 공렬토기토기二重口緣端斜線文孔列土器는? 난 한국어부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2016. 3. 23) *** 우스갯소리처럼 들리겠지만 저 문제 심각하다. 비파형 동검은 그 모양이 비팍늘 닳았다 해서 저리 이름하기 시작했지만 요즘 세대에 비파가 무슨 개떡인지 모르는 사람 천지인 시대에 저 이름을 고수할 수는 없다. violin like 혹은 violin shaped dagger 라 쓰는 편이 훨씬 적어도 그 모양을 유추하기는 쉽다. 우각형 파수부 호 牛角形把手.. 2024. 3. 24.
야요이시대와 비파형동검 야요이시대弥生時代 연대 조정론을 보면 한 가지 드는 의문이-. 야요이시대가 저렇게 연대가 올라간다면 도대체 왜 비파형동검은 저쪽으로 건너가지 않았을까? 한반도 남해안 여수에서도 비파형동검이 그렇게 바글바글하게 나왔는데? 이 의문이 해결되지 않는 한 야요이시대 연대 조정론은 솔직히 완전히 신뢰하기가 어렵다. *** Editor's Note *** 필자가 말하는 야요이시대란 고고학 관점에서 일본사를 분기하는 시기구분 중 하나로, 흔히 말하기로는 조몽시대를 대체하면서 전개되다가 고분시대로 넘어가는 가교라고 본다. 종래에는 기원전 3세기~기원후 3세기 정도로 설정하곤 했지만, 요새는 각종 과학의 힘을 빌려 그 개시가 기원전 10세기까지 올라간다는 주장이 제출됐다. 야요이시대는 이른바 저들 관점에서 보면 도래인 .. 2023. 4. 29.
세형동검은 비파형동검을 녹여 만들지 않았을까? 한반도 비파형동검은 원래 숫자가 그 정도였던 것이 아니라 그걸 녹여 세형동검을 만드는 바람에 남아 있는 숫자가 적어지지 않았을까? 그러고 보면 세형동검도 놋으로 만드는 그 무엇인가 위세품이 하나 더 나왔다면 지금보다 적은 수가 남았을지도 모른다. 세형동검 뒤에는 동검 계보가 끊어진 덕에 세형동검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가 남았을지도. 게다가 세형동검이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된 시기는 아직 놋그릇도 없고 불상도, 동종도 없던 시기다. 고물로도 쓰일 기회를 놓치고 무덤으로 들어간 것일지도. 2023. 4. 17.
Violin-shaped bronze dagger found from bronze age dolmen tomb 남해 도로공사장에서 청동시대 고인돌 무덤·비파형 동검 발굴송고시간 | 2019-06-25 19:00 Violin-shaped bronze dagger found from bronze age dolmen tomb ( Namhae = Yonhapnews ) Two dolmen tombs and a violin-shaped bronze dagger from the the 5th to the 4th century BC Bronze age have been discovered during the national road construction work at Namhae-gun County, Gyeongsangnam-do Province. According to archaeologists, a lot of arti.. 2019.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