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파형동검10

일본 야요이시대: 왜 비파형동검은 없는가 사실 필자가 듣기로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고, 후기 비파형동검은 뽀개진 쪼가리로 나온 적이 있었다고 듣고 있었다. 최근 일본 역박을 방문했더니 이 박물관은 실물보다는 레플리카를 주로 전시하는 곳이라이 다 뽀개진 비파형동검 조각에 기원전 7세기인가 8세기라는 이름을 붙여 전시를 해두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에는 솔직히 제대로 된 비파형동검이 이것 뺴고는 필자가 아는 한 나온 바 없다. 바로 바다 건너 한반도 남해안에서는 여수반도만 해도 비파형동검이 많이 나왔는데도 말이다. 이건 최근 일본 역박과 그 곳에서 작업하는 연구자들이 제시한 소위 야요이시대의 새로운 편년을 이해하자고 해도필자가 가장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의 하나이다. ***주라기 공원은 요즘 영화로만 알려져 있지만사실 이 영화 원작은 마이클 클라이.. 2024. 7. 10.
적봉 남산근 유적이 출토한 하가점상층문화 비파형 청동 두 자루, 동호? 산융? 내가 현재 구할 수 있는 해상도 좋은 사진이 없어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구리디 구리기 짝이 없는 사진들을 무한 증폭했으니 그에 따른 왜곡 논란은 고려해야 한다. 다만 저짝 비파형동검이 어찌 생겨먹었는지 그 면모를 엿보기에는 나름 요긴할 수 있어 소개한다. 저 분은 중국에서는 T자형 자루 갖춤 기하문 곡인청동단검[T形柄几何纹曲刃青铜短剑]이라 해서 자루는 T자를 닮았고 아마 슴베 부분을 말할 듯한데, 거기에 기하 문양이 있고 몸통 칼날은 곡선을 이룬다 해서 저리 이름할 것이다. 저 유물을 제작한 시대를 춘추春秋시대라 했으니 기원전 770~기원전 403년 어간을 말할 것이라 저 지역 문화층으로는 이른바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层文化 중에서 아마 그 중말기쯤에 속한다 하겠으니 通长 43厘米、宽 12厘米 赤峰市 宁城.. 2024. 7. 7.
요녕성 부신시박물관阜新市博物馆 소장 비파형동검 이를 위해 무엇보다 저 부신시阜新市라는 데가 어드메쯤 있는 고장인지를 확정해야 한다.   딱 여기다. 딱 비파형동검이 나올 만한 데다. 실제 이곳에는 적지 않은 비파형동검을 소장품으로 갖춘다. 아래 그것들을 하나씩 소개한다. 동검 관련 저 부품 용어들은 한국고고학에서 나름 정립한 것이 있는 모양이라  다만 저 용어들이 중국학계에서 쓰는 그것과는 더러 차이를 보이니 유의해야 한다.  1. 곡인청동단검 몸통曲刃青铜短剑剑身길이 34cm, 몸통 길이 30cm, 몸통 가장 넓은 부분 6.5cm, 슴베 너비 1.3cm, 쌍곡선, 뾰족한 끝, 원통형 등날, 짧고 둥근 슴베, 숨베와 등대는 연결되어 있으며 칼날 중간 부분은 양쪽에 뚜렷한 뾰족한 마디가 있고 뒷부분은 둥글고 칼날 단면은 타원형이며 등대 중앙에 가로 주선.. 2024. 7. 6.
대련 상마석유지上马石遗址 출토 비파형동검 하도 도판 상태가 안 좋아 증폭을 거듭했으니 그에 따른 왜곡 우려는 없지 않으나 그런대로 그 면모를 볼 수는 있으리라.이 청동곡인단검青铜曲刃短剑, 곧 한국고고학계선 비파형동검이니 요령식동검이니 중국식동검이라 해서 통용하는 청동단검이라저 유물은 1978년 요동반도 끝단 대련시大连市 장해현长海县 상마석유지上马石遗址라는 데서 출토한 분으로중국에선 제작시기를 전국战国(기원전 475~기원전 221)로 간주하며 영어로는 Bronze short sword of bent blade 라 옮김하니 그 특징으로 몸통의 곡인曲刃, 곧 bent blade 라 해서 칼날이 곡선인 점을 착목하는 명명이라 하겠다.손잡이를 포함한 통장通長, 곧 전체길이가 38센티미터라 한다.저 양태를 상술하기를 由剑身、剑柄组成。剑身中间凸起柱状脊,两刃.. 2024. 7. 5.
요녕성 호로도에서 재림한 맨마지막 단계 비파형 동검, 어찌 볼 것인가? 차순철 선생이 소개한 자료인데, 저 금병청동단검金柄靑銅短劍, 곧 자루는 금으로 만들고 나머지는 청동으로 제작한 칼은 저 책자에 의하면 金柄青铜短剑 Bronze Dagger with a Gold Handle and Anfractuous Blade 战国 Warring Statcs Period 长31.8、柄宽14.4厘米 建昌东大杖子墓地11号墓出土 辽宁省文物考古研究所藏 이라 소개하거니와, 이른바 비파형동검이라, 저짝에서는 곡인청동단검曲刃青铜短剑이라 흔히 부르는 것이니와, 저 책자 이전 저들이 소개한 자료를 보면 감금 곡인 청동 단검 嵌金曲刃青铜短剑 이라 했던 것을 저리 새로 용어를 저리 정립했는지는 모르겠다. 암튼, 전국시대 유물이라 소개했으니, 기원전 403~기원전 221년 무렵 유물로 봤으며, 길이 31.8.. 2024. 7. 4.
[고고학용어] 비유가 성립하지 아니하는 비파형동검 vs. 세형동검 이 둘은 분포지역, 그리고 성행 시기가 다르지만 계승관계로 보기도 하거니와 이설이 많기는 하나 대체로 기원전 8세기 무렵 요동반도에서 등장해 그곳에서 성행하기 시작한 비파형동검이 기원전 4~3세기 무렵에는 한반도에서는 그에서 비롯한 세형동검으로 바뀐 것으로 본다. 이른바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더 발달한 형태처럼 보이는 비파형동검이 나중에 등장했을 법 하나, 볼품없는 세형동검이 후발주자다. 저 둘은 이칭이 많다. 또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과 한국에 부르는 이름도 다르다. 아무튼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일반화한 명칭이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lute-shaped bronze dagger]과 세형동검細形銅劍[Slender Bronze Dagger]이어니와, 여러모로 이 두 동검은 서로를 염두에 둔 명명이거나 그렇게.. 2024.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