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이민3

기원전후 이전 주요 인구이동, 특히 유이민의 경우 한반도로 외부인이 대규모로 유입된 시기 혹은 사건은 몇 가지 획기가 있으니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으로는 다음이 있다. 1. 기원전 473년 吳國 멸망 지금의 장강 하구에 똬리를 튼 춘추시대 吳는 합려阖闾와 그의 아들 부차夫差시대에 극성을 구가하며, 천하를 호령했지만, 그 유명한 와신상담에 복수를 다짐한 월국越國 군주 구천勾践한테 멸망하고 말았으니, 이때 대규모 도망자가 발생했다. 그 협력을 거부한 오국인 상당수가 바다를 통해 도망쳤으니, 그네 중 일부는 대만으로 튀고 오키나와로 튀고, 개중 일부는 한반도에 상당수가 들어왔다. 2. 기원전 222년 월국越国 멸망 불구대천 오나라를 멸하고 병합한 월은 이를 계기로 극성을 구가하며 북쪽 제나라까지 쳐서 굴북하며 산동반도까지 진출하며 위세를 떨쳤지만, 극강은 곧.. 2024. 4. 22.
전국시대 이후 대륙계 도래인을 생각한다 전국시대 이후 대륙의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많은 유이민이 한반도 쪽으로 발생했음은 사서에서도 익히 아는 바다. 이러한 대륙 쪽에서의 망명인, 이것을 일본처럼 도래인이라고 불러도 좋다. 한 번 들어온 후에는 다른 계통의 사람들처럼 한국인으로서 정착했기 때문에 사실상 일본사에서 이야기하는 도래인과 별로 다를 바가 없다. 이 도래인은 전국시대부터 군현의 종식까지 친다면 그 기간은 무려 700-800년 가까이 될 것이다. 이 긴 기간 동안 한반도로 들어온 도래인은 숫자는 얼마나 될까? 이 사람들의 도래로 인해 그 이전 한반도에 살던 사람들의 인종적 성격에 변화가 야기되었을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사실 이 단계에서 도래인의 유입으로 이전과는 다른 성격의 주민 혼합체 (토착인과 도래인의)가 형성되어 그것.. 2024. 4. 22.
함보函普와 이안사李安社는 닮은 꼴이다 변경사에는 이쪽에서 저쪽으로의 식민 (사민)과 저쪽에서 이쪽으로의 유입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식민 없이도 우리쪽에서 자발적으로 도주한 사람들도 있다. 이 사람들의 역사도 무시할 수 없다. 가까이는 조선 후기 청의 봉금封禁 지대로 목숨을 걸고 숨어들어 농사를 짓던 조선인들도 이런 범주에서 해석할 수 있으며 멀리는 금金나라 완안부完顏部 시조 함보函普(10세기 초)나, 조선 왕조 사실상 중시조인 이안사李安社(목조穆祖. ?~1274)는 모두 이런 부류에 속한다. 함보는 한반도에서 간 것이 아니라 여진족 전승이 와전되었다는 주장도 일제시대 관학자들을 중심으로 심심찮게 제기된 것으로 아는데 조선 중시조 이안사의 예를 보면 한반도로부터의 도망자 함보는 충분히 존재했을 법한 사람이다. 전승에 의하면, 함보는 나이 60.. 2022. 1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