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익산7 병신년 정월에 거시기[其]가 어쨌다고? 익산 미륵산성을 팠더니 그제 발굴 발주처인 전북 익산시가 익산 미륵산성 2025년도 주요 조사성과라 해서 그 개요를 공개 배포했으니 이르기를 백제 사비기 저수조와 목간 출토이를 야마로 잡았거니와 연못이란 말을 굳이 놔두고 저수조貯水槽라 해서 도대체 족보 없은 저런 용어는 한국고고학이 어디서 꿔다 쓰는지 알다가도 모르겠거니와 그에 더불어 목간木簡이란 이젠 그 존재 자체는 새삼스러울 것도 없어 간단히 글자를 새기거나 써 넣은 나무 막대라, 저런 표현보다는 실상 wooden tablet라는 영어 표현이 한층 간결하게 와 닿으니 내가 영어 사대주의자라서 그런지는 모르겠다. 암튼 이르기를 이 목간을 통해 미륵산성 성격과 축조시기 실마리를 풀 단서를 포착했다 하거니와, 살피면 성격은 목간으로 알 수가 없고, 축조 시기는 좁힐 만한 근.. 2025. 6. 7. [익산 왕궁리 유적] 오층석탑 머리 위로 시원한 비가 내렸으면! 2021.08.05. 익산 왕궁리 유적 왕궁리오층석탑 위로 구름이 뭉게뭉게피었습니다. 뜨거운 열기도 식혀줄 겸, 석탑 머리 위로 시원하게 비가 내렸으면 좋겠습니다. 맴맴맴 화장실 앞에 이런 문구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백제인이 볼일을 보는 중입니다. 노크 후 이용해 주세요.” 왕궁리유적전시관을 보고 싶었는데, 12월까지 리모델링으로 휴관이라고 합니다. 이런! 유적지 그대로 보기에는 왕궁리유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상상이 잘 안갔습니다. 왠지 전시관에는 왕궁리 유적을 복원해 놓은 디오라마가 있을 것 같아 가고 싶었는데, 아쉬웠습니다. 발굴 유물도 보고 싶었고요. 리모델링 끝나면 맞춰 다시 와야겠습니다. 더운 여름은 역시 유적지이지요?! 다음 코스, 미륵사지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왕궁리유적 전북 익산시 왕.. 2021. 8. 5. Jeoseksa Temple Site in lksan 익산 제석사지 益山帝釋寺址 익산 제석사지 益山帝釋寺址 Jeseoksa Temple Site in lksan 사적 제 405호 Historic Site No. 405 This is a place where King Mu of the Baekje Dynasty built a Buddhist temple worshipping the sculpture of Indra, Guardian of the Buddhist Law, near the palace after moving the capital of his dynasty to Wanggungpyeong. According to records, the temple was burnt to the ground due to lightning in 639, the 40th year of the r.. 2020. 5. 16.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 益山王宮里五層石塔 National Treasure 289 Designated Date1997.01.01 AgeGoryeo or Baekje Period OwnerNational Property ManagerIksan City Located on a hill, about 2 km south of Wanggung-myeon, Iksan, which is known as the capital of Mahan. the pagoda consists of five stories, a single-tier foundation and some of the final. The foundation had been buried in the.. 2019. 6. 19. Five-storied Stone Stupa at Wanggunri Village Sunset over Five-storied Stone Stupa at Wanggunri Village, Iksan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2019. 2. 15. 익산 제석사지(益山帝釋寺址/Jeseoksa Temple Site in lksan) 아래는 2018년 4월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고즈넉한 농촌 평야마을 한가운데 위치하는 제석사지(帝釋寺址)라는 백제시대 절터 현지 유적 안내판을 토대로 한 것이다. 한글과 영문 안내판은 거의 손대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뒤에는 제석사지와 관련한 현대 역사를 추적할 만한 관련 언론 보도를 시대순으로 나열한다. 제석사지 흐름을 간취하는 데 도움이 없지는 않으리라. 익산 제석사지益山帝釋寺址Jeseoksa Temple Site in lksan사적 제 405호Historic Site No. 405 이 터는 백제 시대의 사찰인 제석사가 있던 곳이다. 제석사지는 무왕대의 익산 천도설을 밝혀 줄 수 있는 왕궁리 유적과 관련이 있는 절터이다. 판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에 따르면, 제석사는 백제 무왕대.. 2018. 4.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