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문화2 재발견하는 김밥, 한때는 천대받던 한국문화의 표상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3/09/07/TW6BOMDKKVHSHOBEIFSGRLY6CY/ ‘조회수 1100만’ 美김밥 열풍 주인공 “5살땐 먹다 따돌림 당했는데…” 조회수 1100만 美김밥 열풍 주인공 5살땐 먹다 따돌림 당했는데 www.chosun.com 최근 한국문화 열풍은 뜨겁다. 휩쓸고 있다는 말까지는 어려울지 몰라도 적어도 한국문화에 대한 리스펙은 상당한 정도다. 그러다 보니 이전에는 박대 받은 문화까지도 재발견되는 판이다. 김밥도 그렇다. 미국인들은 해초를 seaweed라 해서 거의 먹지 않는다. 불과 십여 년 전만 해도 한국에 초청받아 오는 필자의 지우-연구자들은 해초 요리 (김, 다시마, 미역 등)를 생소.. 2023. 9. 7. 국적은 관심없다, 전 세계 스토리를 미친듯 채굴하는 디즈니 디즈니는 가장 미국적인 기업으로, 혹자는 미국경제 혁신의 상징으로 애플을 들지 모르겠는데, 사실 애플보다 더 국제적이며, 더 오랫동안 오직 혁신 하나만으로 아이디어만 팔아 먹으면서 백년 가까이 최고기업에서 한 번도 내려온적이 없는 위대한 기업이 바로 디즈니다. 최근 디즈니를 보면, 전 세계의 이야깃거리-스토리를 찾아 미친듯이 헤메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느낀다. 필자는 내셔널지오그래픽과 약간의 인연이 있어 Explorer 행사가 있을 때마다 계속 연락을 받는데,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얼마전 마지막 편집부 직원을 디즈니가 몽땅 해고해 버린 것에서 볼 수 있듯이, 학술지-교양지-사진전문지로서의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이미 사망선고를 받았다. 최근에는 디즈니의 수혈을 받아 내셔널지오그래픽 이름으로 스토리텔링이 될 만한 .. 2023. 9.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