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부학6

해부학, 예술, 그리고 죽음의 그림자 – 전에 없던 태아를 세상에 보여준 두 남자 이야기 안개와 스모그, 비밀에 싸인 18세기 런던에서 매우 다른 세계의 두 남자는 하나의 집착으로 하나가 되었다.임신한 여성의 몸과 자궁 안에서 발달하는 태아fetus를 완전히 이해하려는 욕구가 그것이었다.이러한 매혹은 가장 아름답고 획기적인 의학 삽화를 탄생시켰지만, 그 뒤에 숨겨진 이야기는 어둡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이 남자들은 누구였을까?1. 윌리엄 헌터 William Hunter(1718–1783) – 스코틀랜드 의사, 해부학자, 산부인과 의사로 강의와 왕실에서의 작업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임신을 전례 없는 정밀도로 묘사할 그림책을 만들고 싶어했다.2. 얀 반 림스딕 Jan van Rymsdyk – 영국에 사는 플랑드르 예술가로, 디테일의대가이며,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그림은 여전히 경외심을 불러일으킨.. 2025. 4. 24.
1906년에야 선보이는 해부학 개설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에서는 서양 의학의 쉽고 빠른 정착을 위해 우리말 의학 교과서를 다수 간행한다.《해부학》은 초기 의학 교과서 중 하나로 20세기 초 한국어 표기와 음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김필순과 올리버 에비슨이 이마다 쓰카누가 저술한 《실용해부학》을 번역하고, 《실용해부학》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는 등 수정‧보완을 거쳐 완성했다. 이 책에 수록된 의학용어 중에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비롯한 한자어가 많다.그러나 용어 설명은 쉬운 우리말로 표현하고자 했으며, 어려운 한자어 옆에는 익숙한 한자어나 고유어를 함께 적어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자료] 해부학 권1, 권2, 권3 이마다 쓰카누(1850~1889) 지음 김필순(1878-1919) 번역.. 2025. 3. 24.
근대 과학, 그 출발선 파도바대학 해부학교실을 찾아서 볼노냐인가 어딘가로 기억하는데 아무튼 이태리 어디였음은 확실하다.그쪽 어느 유서 깊은 대학에서도 저 인체해부학교실 초기 흔적이라 해서 보존하고 있었고그 구조도 실상 이 파도바대학 그것이랑 판박이였으며그곳에서도 우리가 세계 최초 인체해부학실이다 뭐 이런 식 요란한 선전을 했다고 말이다.그에 대해선 앞선 신동훈 교수께서 잘 정리하셨다 보는데파도바대가 세계 최초로 인체를 해부했다기보다는 그것을 제도학문으로 처음 정착한 데가 맞을 것이다.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강의했다는 대강당 순례가 끝나고 마침내 기다리던 해부학교실로 들어갔으니 보니 이 교실은 크게 세 섹션인 듯했다.먼저 도입부라 할 만한 공간이 있어 이곳에서 부검에 앞서 시신을 깨끗이 씻기고 하는 작업을 했다 하며그 다음이 메인이벤트홀 격이라 실제 인체해부실이.. 2024. 12. 2.
근대과학이 시작된 파도바 대학 이 블로그 쥔장께서 아마 파도바에 계시는 듯 하여이 도시에 있는 파도바 대학에 대해 조금 써 보기로 한다. 필자는 여기 가 본 적이 없다.이탈리아는 학회 때문에 로마, 밀란, 볼차노 세 군데 가 본 것이 전부다. 그래도 파도바 대학은 안다. 여기가 바로 근대과학의 발상지이기 때문이다. 쥔장께서 파도바 대학이 세계 최초의 해부학교실이 생긴 곳이라 하셨는데맞기는 맞는데 좀 더 부연설명이 필요하다. 파도바 대학은 정확하게 이야기 하면 근대 해부학이 시작된 곳이다. 흔히 근대과학이 시작된 사건으로 두 개를 과학사에서 꼽는데첫째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로서 1543년에 최초로 책으로 출판했는데, 같은 해에 저 유명하고도 위대한 의학자이자 해부학자인 베살리우스가 1543년에 최초로 근대적 인체해부도를 출판했다. 이 .. 2024. 11. 29.
연구실신간: 무원록無寃錄 시장屍帳의 용어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 최근 홍성욱, 홍승직, 이숭덕, 기호철, 김창영 제 선생님들과 무원록 시장屍帳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바, 시장에 나와 있는 용어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 결과가 이 논문의 내용이다. 국문논문이며,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87 조선 후기 증수무원록언해 시장기록에 기술된 해부학용어의 검토검험 (檢驗)이라고 불리는 변사자 조사작업 기법은 중국 송대 (宋代)가 되면 크게 발전하였는데 우리나라도 여말선초 (麗末鮮初)에 도입된 무원록 (無寃錄)이 전통 법의학적 검시 기법의 확립에 www.kci.go.kr 서지사항은 .. 2023. 7. 4.
[해부학자의 당부] 용어문제 해부학자로서 감히 기자분들께 해부학 용어 몇가지만 공유 부탁드립니다. 허벅지뼈→넙다리뼈 또는 넓적다리부위 뼈, 정강이뼈→정강뼈. 아니면 다리부위 뼈, 팔부위 뼈, 몸통부위 뼈 등으로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인골은 가능하면 사람뼈라고 하면 좋겠습니다. 동물뼈를 수골이라고 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 이상은 순천향대 박대균 선생 당부다. 2020.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