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79

승만(勝曼) 신라 진덕여왕 이름이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진덕왕(眞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승만(勝曼)이고 진평왕의 친동생 국반갈문왕(國飯葛文王)의 딸이다. 어머니는 박씨(朴氏)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자였고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은 이름이 승만(勝曼)이다. 김씨다. 아버지는 진평왕 동생인 국기안(國其安) 갈문왕(葛文王)이며 어머니는 아니부인(阿尼夫人) 박씨다. 奴追□□□ 갈문왕(葛文王)의 딸인데 월명(月明)이라고도 하지만 잘못이다. 정미년에 즉위해 7년 동안 다스렸다. 대화(大和) 술신(戊申) 6년이다. 이상을 중고(中古)라고 하며 성골(聖骨)이다. 이하를 하고(下.. 2018. 3. 5.
마야부인(摩耶夫人)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진평왕(眞平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백정(白淨)이고 진흥왕의 태자 동륜(銅輪)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 만호부인(萬呼夫人)으로 갈문왕 입종(立宗)의 딸이다. 왕비는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으로 갈문왕 복승(福勝)의 딸이다. 왕은 태어날 때부터 기이한 용모였고 신체가 장대하고 뜻이 깊고 굳세었으며, 지혜가 밝아 사리에 통달하였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6대 진평왕(眞平王)은 이름이 백정(白淨)이다. 아버지는 동륜(銅輪)인데 동륜태자(東輪太子)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딸인 만호(萬呼)이니 만녕부인(萬寧夫人)이라고도 하니 이름은 행의(行義)이다. 선비(先妃)는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로서 이름은 복힐=(福盻口)이다. 후비는 승만부인(.. 2018. 3. 5.
만녕부인(萬寧夫人)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6대 진평왕(眞平王)은 이름이 백정(白淨)이다. 아버지는 동륜(銅輪)인데 동륜태자(東輪太子)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딸인 만호(萬呼)이니 만녕부인(萬寧夫人)이라고도 하니 이름은 행의(行義)이다. 선비(先妃)는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로서 이름은 복힐=(福盻口)이다. 후비는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이다. 기해년에 즉위했다. ☞만호부인 2018. 3. 5.
인수(仁壽) 김인문의 자(字이다). 삼국사기 권제44 (열전 제4) 김인문 열전 : 김인문(金仁問)은 자(字)는 인수(仁壽)이고, 태종대왕의 둘째 아들이다. ☞김인문 2018. 3. 5.
혜륜사(慧輪師) 대당서역구법고승전 2018. 3. 5.
보리(菩利) 화랑세기 보리공 전 : 12세 보리공(菩利公)은 이화공의 둘째 아들(次子)이다. 어머니는 숙명공주(叔明公主)이니 지소태후의 딸이다. (그러니) 세종공에게는 어머니가 같은 누나가 된다. 공주가 꿈에 황색 신록(神鹿)을 보고 공을 낳았다. 나면서 보통 사람보다 뛰어났으며 큰 뜻을 지녔다. 자라면서 맏형인 원광법사와 함께 배움에 힘써 게을리 하지 않았다. 원광이 일찍이 깨우치기를 ‘나는 불(佛)이 되고 너는 선(仙)이 되면 우리나라를 평안하게 할 수 있으리다’고 했다. 공은 이에 하종공(夏宗公) 문하로 나아가 그 낭도에 소속되었다. 공은 하종공보다 9살이 적었는데, 감정과 생각이 서로 투합해 같은 배에서 난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공의 어머니 숙명공주는 효성과 우애가 하늘에서 타고나, 세종을 어린아이처럼 사랑.. 2018. 3. 5.
비처왕(毗處王) 신라 제21대 소지왕(炤智王)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다. 화랑세기 위화랑 전 : 위화랑(魏花郞)은 섬신공(剡臣公) 아들이다. 어머니는 벽아부인(碧我夫人)이다. 어머니가 총애를 받아 비처왕(毗處王)의 마복자(摩腹子)가 되니 세간에서 말하는 마복칠성(摩腹七星)이다. 아시공(阿時公)은 아버지가 선모(善牟)이고 어머니는 보혜(寶兮)다. 수지공(守知公)은 아버지가 이흔(伊欣)이고 어머니는 준명(俊明)이다. 이등공(伊登公)은 아버지가 숙흔(叔欣)이고 어머니는 홍수(洪壽)다. 태종공(苔宗公)은 아버지가 아진종(阿珍宗)이고 어머니는 보옥공주(寶玉公主)다. 비량공(比梁公)은 아버지가 비지(比知)이고 어머니는 묘양(妙陽)이다. 융취공(?吹公)은 아버지가 덕지(德知)이고 어머니는 가야국 융융공주(??公主)다 삼국사기 권 제.. 2018. 3. 5.
소지왕(炤智王) 신라 제21대 소지마립간(炤智麻立干)을 가리키는 다른 명칭이다. 삼국유사 권2 기이 2 사금갑(射琴匣) : 신라 제21대 비처왕(毗處王)은 소지왕炤智王이라고도 한다. ☞소지마립간 ☞비처마립간 2018. 3. 5.
진지대왕(眞智大王) 신라 제25대 진지왕(眞智王)을 높여 일컫는 말.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신문왕 : 7년(687) ... 여름 4월에 음성서(音聲署)의 장관을 고쳐 경(卿)이라 하였다. 대신을 조묘(祖廟)에 보내 제사를 올리고 아뢰었다. “왕 아무개는 머리 숙여 재배(再拜)하고 삼가 태조대왕(太祖大王), 진지대왕(眞智大王), 문흥대왕(文興大王), 태종대왕(太宗大王), 문무대왕(文武大王) 영전에 아룁니다. 저는 재주와 덕이 없이 숭고한 유업을 계승하여 지킴에 자나깨나 걱정하고 애쓰느라 편안하게 지낼 겨를이 없었습니다. 종묘의 돌보심과 하늘과 땅이 내리는 복에 힘입어 사방이 안정되고 백성들이 화목하며, 외국에서 오는 손님들은 보물을 실어다 바치고, 형벌이 밝고 송사(訟事)가 없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요즈음 임금으.. 2018. 3. 5.
진지왕(眞智王) 신라 제25대 왕. 생몰. 재위 생전에는 금륜(金輪) 혹은 사륜(舍輪)이라 했다 한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4 진지왕 : 진지왕(眞智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사륜(舍輪)이고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사도부인(思道夫人)이고 왕비는 지도부인(知道夫人)이다. 태자가 일찍 죽었으므로 진지가 왕위에 올랐다.원년(576) 이찬 거칠부를 상대등(上大等)으로 삼아 나라의 일을 맡겼다. 2년(577) 봄 2월에 왕이 몸소 신궁에 제사를 지내고 크게 사면하였다. 겨울 10월에 백제가 서쪽 변방의 주와 군에 침입하였으므로 이찬 세종(世宗)에게 명하여 군사를 내어 일선군 북쪽에서 쳐서 깨뜨리고 3천7백여 명을 목베었다. 내리서성(內利西城)을 쌓았다. 3년(578) 가을 7월에 진(陳)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 2018. 3. 5.
사륜왕(舍輪王) 신라 제25대 진지왕(眞智王)을 일컫는 다른 말. 진지왕의 본명이 사륜(舍輪)이라 이런 명칭이 붙은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다른 이름이 금륜(金輪)으로 사서에 나타나고 있고, 그의 형이 동륜(銅輪)인 것으로 보아, 불교의 전륜성왕 개념에서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커므로, 사륜(舍輪)은 금륜(金輪)에 대한 오기(誤記)로 보아야 할 듯 싶다. 혹자는 金輪의 金이 새김으로 쇠로 보기도 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 2 도화녀(桃花女)와 비형랑(鼻荊郞) : 제25대 사륜왕(舍輪王)은 시호(諡號)가 진지대왕(眞智大王)이다. 성(姓)은 김씨(金氏)이며 왕비(王妃)는 기오공(起烏公)의 딸 지도부인(知刀夫人)이다. ☞진지왕(眞智王) ☞금륜왕(金輪王) 2018. 3. 5.
사륜(舍輪) 신라 제25대 진지왕 본명이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지왕 : 진지왕(眞智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사륜(舍輪)이고 진흥왕의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사도부인(思道夫人)이고 왕비는 지도부인(知道夫人)이다. 태자가 일찍 죽었으므로 진지가 왕위에 올랐다. 삼국유사 권1 왕력 : 제25대 진지왕(眞智王)은 이름이 사륜(舍輪)인데 금륜(金輪)이라고도 한다. 김씨다. 아버지는 진흥(眞興)이며, 어머니는 박영실(朴英失) 각간 딸인데 식도(息途) 혹은 색도부(色刀夫人)이라고 한다. 비는 지도부인(知刀夫人)이니 기오공(起烏公) 딸이다. 박씨다. 병신년에 서서 4년을 다스렸다. 묘는 애공사 북쪽에 있다. 삼국유사 권2 기이 2 도화녀(桃花女)와 비형랑(鼻荊郞) : 제25대 사륜왕(舍輪王)은 시호(諡號)가 .. 2018. 3. 5.
비처마립간(毗處麻立干) 신라 제21대 소지마립간(炤智麻立干) 혹은 비처왕(毗處王)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1대 비처마립간(毗處麻立干)은 소지왕(炤知王)이라고도 한다. 김씨다. 자비왕(慈悲王) 셋째아들이다. 어머니는 미흔(未欣) 각간 딸이다. 기미년에 즉위해 21년을 다스렸다. 비는 기보갈문왕(期寶葛文王) 딸이다. ☞ 소지마립간 2018. 3. 5.
진흥태왕(眞興太王) 신라 제24대 왕인 진흥왕(眞興王)을 높여 이르는 말. 진흥대왕(眞興大王)이라고도 한다. 太와 大는 흔히 통용됐다. 삼국유사 권3 흥법 3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염촉滅身) : 진흥대왕(眞興大王)이 즉위한 5년 갑자(甲子; 544)에 대흥륜사(大興輪寺)를 세웠다. ☞진흥대왕 ☞진흥왕(眞興王) ☞심맥부(深麥夫) ☞심맥종(深麥宗) ☞삼맥부(彡麥夫) ☞삼맥종(彡麥宗) 2018. 3. 5.
지조(智照)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 2년(655)…겨울 10월에…왕의 딸 지조(智照)를 대각찬(大角) 유신에게 시집보냈다. ☞지소(智炤) 2018. 3. 5.
량수(良首)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 원년(654) 여름 4월에 왕의 죽은 아버지를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追封)하고 어머니를 문정태후(文貞太后)로 삼았다. [죄수를] 크게 사면하였다. 5월에 이방부령(理方府令) 량수(良首) 등에게 명하여 율령을 상세히 살펴 이방부격(理方府格) 60여 조를 가다듬어 정하게 하였다. 당나라에서 사신을 보내 부절을 가지고 예를 갖추어 왕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신라왕(新羅王)으로 봉하였다. 왕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감사를 표하였다. 2018. 3. 5.
양수(良首) ☞량수(良首) 2018. 3. 5.
김문왕(金文王)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김문희 사이에 난 셋째아들로, 문무왕 김법민과 태대각간 김인문 동생이다. 진덕여왕 2년(648) 아버지를 따라 당에 들어가 그곳에서 숙위하다가 이후 어느 시점에 귀국해 부왕 즉위와 더불어 이찬에 임명됐다. 무열왕 5년(658)에는 중시가 되었으며, 백제 멸망 뒤인 동왕 8년(661), 백제부흥운동군이 사비성을 공격하자 잡찬으로서 출전해 공을 세웠다. 문무왕 5년(665) 봄 2월에 이찬으로 죽으니 왕자의 예(禮)로 장사지냈으며, 당 황제는 조문사신을 보냈다. 판본에 따라 '文汪(문왕)'이라 쓰기도 하는데 이 쪽이 타당할 듯하다. 舊唐書卷三 本紀第三 太宗下 : 22년(648)…閏月…癸未에 新羅王이 그의 재상인 이찬천(伊贊千)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문왕(文王)을 보내 내조(來.. 2018. 3. 5.
문왕(文汪) ☞문왕(文王) ☞김문왕(金文王) 2018. 3. 5.
진덕왕(眞德王) 진덕여왕 舊唐書卷三 本紀第三 太宗下 : (22년) 이 해에 新羅女王 김선덕(金善德)이 죽으니 그 여동생 진덕(眞德)을 세워 신라왕으로 삼았다.(是歲, 新羅女王金善德死, 遣冊立其妹眞德爲新羅王.)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진덕왕(眞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승만(勝曼)이고 진평왕의 친동생 국반갈문왕(國飯葛文王)의 딸이다. 어머니는 박씨(朴氏)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자였고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 원년(647) 정월 17일에 비담(毗曇)을 목베어 죽였는데, 그에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30명이었다. 2월에 이찬 알천(閼川)을 상대등으로 삼고 대아찬 수승(守勝)을 우두주(牛頭州) 군주로 삼았다. 당 태종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 2018. 3. 5.
월명부인(月明夫人) 신라 진덕여왕 어머니다. 진평왕 동생 국반갈문왕과의 사이에서 진덕을 낳았다. 삼국사기 권 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진덕왕(眞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승만(勝曼)이고 진평왕의 친동생 국반갈문왕(國飯葛文王)의 딸이다. 어머니는 박씨(朴氏)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8대 진덕여왕(眞德女王)은 이름이 승만(勝曼)이다. 김씨다. 아버지는 진평왕 동생인 국기안(國其安) 갈문왕(葛文王)이며 어머니는 아니부인(阿尼夫人) 박씨다. 奴追□□□ 갈문왕(葛文王)의 딸인데 월명(月明)이라고도 하지만 잘못이다. 정미년에 즉위해 7년 동안 다스렸다. 대화(大和) 술신(戊申) 6년이다. 이상을 중고(中古)라고 하며 성골(聖骨)이다. 이하를 하고(下古)라 하며 진골(眞骨)이다. 2018.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