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081 명덕대왕明德大王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아버지 김효양을 말한다. 김경신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생전에 최고 관위는 삼국사기에서는 일길찬, 삼국유사에서는 대각찬이라 해서 차이가 있다. 만파식적을 아들 김경신에게 전했다고 한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 2018. 3. 5. 흥평대왕(興平大王)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조부 김위문(金魏文)을 말한다. 김경신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생전 최고 관위는 이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 2018. 3. 5. 신영대왕(神英大王) 신라 원성왕의 증조로, 원성왕 즉위와 더불어 추봉된 존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대왕(神英大王)이.. 2018. 3. 5. 현성대왕(玄聖大王) 신라 원성왕의 고조로, 본명 김법선이며, 원성왕이 즉위하면서 추봉된 존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 지금의 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고, 조부(祖父)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 2018. 3. 5. 훈입(訓入) ☞김훈입(金訓入) 2018. 3. 5. 마질차(摩叱次) ☞김마질차(金摩叱次) 2018. 3. 5. 신술(神述) ☞김신술(金神述) 2018. 3. 5. 김신술(金神述)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성왕(元聖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경신(敬信)이고 나물왕(奈勿王) 12세손이다. 어머니는 박씨 계오부인(繼烏夫人)이고, 왕비 김씨는 각간 신술(神述)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9대 원성왕(元聖王)은 김씨다. 이름은 경신(敬愼)인데 경신(敬信)이라고도 한다. 당서(唐書)에는 경즉(敬則)이라 했다. 아버지는 효양(孝讓) 대아간(大阿干)이며 명덕대왕(明德大王)에 추봉됐다. 어머니는 인=(仁□)인데 지오부인(知烏夫人)이라고도 하는데 시호는 소문왕후(昭文王后)이니, 창근(昌近) 이간의 딸이다. 비는 숙정부인(淑貞夫人)이니 신술(神述) 각간 딸이다. 을축년에 즉위해 14년을 다스렸다. 능은 곡사(鵠寺)에 있는데 지금의 숭복사(崇福寺)이니, 치원.. 2018. 3. 5. 복신(福信) 백제 무왕의 조카로서, 백제가 멸망하자 승려 도침과 함께 주류성을 근거지로 삼아 부흥운동을 일으켜 왜국에 가 있던 의자왕의 아들 부여풍을 맞아들여 왕으로 세웠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28년(627) 가을 8월에 왕의 조카 복신(福信)을 당나라에 보내 조공하니, 태종은 [백제가] 신라와 대대로 원수가 되어 서로 빈번히 침략·토벌한다라고 하면서 왕에게 조서[璽書]를 내려 말하였다. 『왕이 대대로 군장(君長)이 되어 동쪽 번병[東蕃]을 위무하고 있다. 바다 귀퉁이[海隅]가 멀고멀며 바람과 파도가 험난하지만 충성이 지극하여 조공이 서로 잇따르고, 더욱이 [경의] 아름다운 꾀를 생각하니 심히 기쁘고 위로가 되도다. 짐은 삼가 하늘의 명[寵命]을 받들어 강토에 군림하고 정도(正道)를 넓히려.. 2018. 3. 5. 사걸(沙乞) 무왕 28년(627), 신라 변경 두 성을 공격해 함락한 백제 장군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28년(627) 가을 7월에 왕이 장군 사걸(沙乞)에게 명령하여 신라의 서쪽 변경의 두 성을 함락하고 남녀 300여 명을 사로잡았다. 왕은 신라가 빼앗은 땅을 회복하려고 크게 군대를 일으켜 웅진(熊津)으로 나아가 주둔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49년(627)…가을 7월에 백제 장군 사걸(沙乞)이 서쪽 변방 두 성을 함락시키고 남녀 300여 명을 사로잡아 갔다. 2018. 3. 5. 동소(東所) 진평왕 48년(626), 주재성(主在城), 혹은 왕재성(王在城) 성주로 있으면서 백제군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한 신라 사람이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48년(626)…8월에 백제가 주재성(主在城)을 공격하자 성주 동소(東所)가 맞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27년(626) 가을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왕재성(王在城)을 공격하여 성주 동소(東所)를 붙잡아 죽였다. 2018. 3. 5. 해론(奚論)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40년(618) 북한산주 군주 변품(邊品)이 가잠성을 되찾으려고 군사를 일으켜 백제와 싸웠는데, 해론(奚論)이 종군하여 적진에 나아가 힘을 다하여 싸우다가 죽었다. 해론은 찬덕(讚德)의 아들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19년(618)에 신라 장군 변품(邊品) 등이 가잠성(岑城)을 공격해 와서 이를 회복하였는데 해론(奚論)이 전사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47(열전 제7) 해론 : 해론(奚論)은 모량(牟梁) 사람이다. 그의 아버지 찬덕(讚德)은 용감한 뜻과 뛰어난 절개를 가져 당시에 이름이 높았다. 건복(建福) 27년 경오년(진평왕 32년: 610)에 진평대왕이 그를 가잠성(岑城) 현령으로 선발하였다. 다음 해 신미년(611) 겨울 10월에 백제.. 2018. 3. 5. 변품(邊品) 진평왕 40년(618), 백제군에 함락된 가잠성을 되찾은 신라 북한산주 군주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40년(618) 북한산주 군주 변품(邊品)이 가잠성을 되찾으려고 군사를 일으켜 백제와 싸웠는데, 해론(奚論)이 종군하여 적진에 나아가 힘을 다하여 싸우다가 죽었다. 해론은 찬덕(讚德)의 아들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19년(618)에 신라 장군 변품(邊品) 등이 가잠성(岑城)을 공격해 와서 이를 회복하였는데 해론(奚論)이 전사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47(열전 제7) 해론 : 해론은 나이가 20여 세 때 아버지 공으로 대나마가 되었다. 건복 35년(진평왕 40년: 618) 무인에 왕이 해론을 금산(金山) 당주(幢主)에 임명하여 한산주 도독 변품(邊品)과 함께 군.. 2018. 3. 5. 백기(苩奇) 무왕 17년(616), 신라 모산성을 공격한 백제 장군으로 당시 관위는 달솔이었다. 백제사에서 '苩'은 성씨로 확인된다는 점에서, 이름이 奇일 듯하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17년(616) 겨울 10월에 달솔(達率) 백기(苩奇)에게 명령하여 군사 8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모산성(母山城)을 공격하게 하였다. 2018. 3. 5. 찬덕(讚德) 진평왕 32년(611), 가잠성 전투에서 백제군에 전사한 신라 현령이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 33년(611) 왕이 수나라에 사신을 보내 표(表)를 올려 군사를 청하니, 수 양제(煬帝)가 그것을 허락하였다. 군사를 움직인 일에 관해서는 고구려본기에 실려 있다.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가잠성(岑城)을 포위하여 100일이나 지속되었다. 현령(縣令) 찬덕(讚德)이 굳게 지켰으나 힘이 다하여 죽고 성은 함락되었다. 40년(618) 북한산주 군주 변품(邊品)이 가잠성을 되찾으려고 군사를 일으켜 백제와 싸웠는데, 해론(奚論)이 종군하여 적진에 나아가 힘을 다하여 싸우다가 죽었다. 해론은 찬덕(讚德)의 아들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12년(611) 겨울 10월에 신라의.. 2018. 3. 5. 국지모(國智牟) 무왕 12년(611), 수나라에 파견된 백제사신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12년(611) 봄 2월에 사신을 수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수나라 양제가 장차 고구려를 정벌하려고 하므로 왕은 국지모(國智牟)로 하여금 [수나라에] 들어가 행군 기일[軍期]을 요청하였다. 양제는 기뻐서 상을 후히 더하여 주고 상서기부랑(尙書起部郞) 석률(席律)을 보내 와서 왕과 더불어 서로 모의하게 하였다. 2018. 3. 5. 왕효린(王孝隣) 무왕 8년(607), 좌평르로 수나라에 파견된 백제 사신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8년(607) 봄 3월에 한솔(扞率) 연문진(燕文進)을 수(隋)나라에 보내 조공하였고, 또 좌평 왕효린(王孝隣)을 보내 조공하고 아울러 고구려를 칠 것을 요청하였다. 양제(煬帝)가 이를 허락하고 고구려의 움직임을 엿보도록 하였다. 2018. 3. 5. 연문진(燕文進) 무왕 8년(607), 한솔로 수나라에 파견된 백제 사신이다. 삼국사기 권 제27(백제본기 제5) 무왕 : 8년(607) 봄 3월에 한솔(扞率) 연문진(燕文進)을 수(隋)나라에 보내 조공하였고, 또 좌평 왕효린(王孝隣)을 보내 조공하고 아울러 고구려를 칠 것을 요청하였다. 양제(煬帝)가 이를 허락하고 고구려의 움직임을 엿보도록 하였다. 2018. 3. 5. 진평왕眞平王 567~632. 재위 579~632. 봄 정월신라 제26대 왕으로 본명은 백정(白淨)이며 시호(諡號)가 진평대왕(眞平大王)이다. 진흥왕의 태자로 있다가 일찍 죽은 동륜(銅輪)과 만호(萬呼)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김씨(金氏)이며 대건(大建) 11년 기해(己亥·579) 8월에 폐위된 진지왕을 대신해 13살로 왕위에 옹립되어 54년을 재위하다가 사망했다. 재위기간으로는 초대 박혁거세 이후 가장 길다. 舊唐書卷一 本紀第一 高祖 : 七年(624) 春正月 己酉에 高麗王 高武를 봉하여 요동군왕(遼東郡王)으로 삼고, 百濟王 부여장(扶餘璋)을 대방군왕(帶方郡王), 新羅王 김진평(金眞平)을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삼았다.(七年春正月己酉, 封高麗王高武爲遼東郡王, 百濟王扶餘璋爲帶方郡王, 新羅王金眞平爲樂浪郡王.) 舊唐書 권 .. 2018. 3. 5. 행의(行義)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6대 진평왕(眞平王)은 이름이 백정(白淨)이다. 아버지는 동륜(銅輪)인데 동륜태자(東輪太子)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딸인 만호(萬呼)이니 만녕부인(萬寧夫人)이라고도 하니 이름은 행의(行義)이다. 선비(先妃)는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로서 이름은 복힐◎(福盻◎)이다. 후비는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이다. 기해년에 즉위했다. ☞만호부인(萬呼夫人) 2018. 3. 5. 만호부인(萬呼夫人)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평왕 즉위년 : 진평왕(眞平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백정(白淨)이고 진흥왕의 태자 동륜(銅輪)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 만호부인(萬呼夫人)으로 갈문왕 입종(立宗)의 딸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26대 진평왕(眞平王)은 이름이 백정(白淨)이다. 아버지는 동륜(銅輪)인데 동륜태자(東輪太子)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 딸인 만호(萬呼)이니 만녕부인(萬寧夫人)이라고도 하니 이름은 행의(行義)이다. 선비(先妃)는 마야부인(摩耶夫人) 김씨로서 이름은 복힐◎(福盻◎)이다. 후비는 승만부인(僧滿夫人) 손씨이다. 기해년에 즉위했다. 2018. 3. 5. 이전 1 ··· 919 920 921 922 923 924 925 ··· 9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