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6

공검지 썰매 가른 권문해權文海 권문해(權文海), 〈달밤에 김임보 홍민과 썰매를 타며 공검지에서 놀다[月夜 與金任甫 弘敏 乘雪馬 遊恭儉池]〉 십 리 편평한 호수 옥으로 놓인 다리 十里平湖玉作橋。 썰매 치달리니 흡사 준마로 질주하 듯 雪轎馳似馬蹄驕。 덜커덩덜커덩 풍이 굴을 메아리치니 轔轔響徹馮夷窟。 풍뢰에 성난 교룡 일어난 것 보시리라 應見風雷起怒蛟。 《초간집(草澗集)》 권1에 수록된 시인데, 언제 쓴 것인지는 모른다. 어느 달 밝은 겨울밤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 1534~1591)와 사담(沙潭) 김홍민(金弘敏, 1540~1594)이 옥다리가 놓인 듯 꽁꽁 얼어붙은 상주(尙州) 공검지(恭儉池)에서 썰매[雪馬]를 타고 신나게 질주하셨다. 물을 뿌리고 매끄럽게 관리를 하지 않아 빙질이 좋지 않아 썰매 덜컹대는 소리가 메아리쳤으리라. 풍.. 2022. 12. 16.
한양을 지켜낸 연융대성(탕춘대성) 감사원 《감사》 2022년 9, 10월호 .vol164에 실린 〈한양을 지켜낸 연융대성(탕춘대성)〉입니다. 전체는 아래 링크에서 pdf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s://www.bai.go.kr/proa.../ebook/ttsbook/vol164/book.html 2022. 12. 11.
추사秋史는 김정희의 자字가 아니다 며칠 전 추사秋史는 김정희의 호號가 아니라 자字라는 언론보도가 있었다.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1810년 청나라를 방문하여 청나라 문인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이름은 정희고, 자(字)는 추사(秋史)이며, 호는 보담재(寶覃齋)라고 적은 것을 통해 추사가 자라고 주장한 것이었다. 많은 사람이 자필로 쓴 것이니 믿을 만하다고 여긴 듯하다. 당시 간략히 정리해야겠다고 여겼지만, 당시 발등에 불이 떨어진지라 그러지 못하고 답글로 대충만 쓴 적이 있었다. 민규호(閔奎鎬, 1836~1878)가 지은 〈완당김공 소전(阮堂金公小傳)〉에는 “김공 정희(金公正喜)의 자는 원춘(元春)이고, 호는 완당(阮堂)이며, 또 다른 호는 추사(秋史)인데, 본관이 경주(慶州)이다.[金公正喜 字元春 號阮堂 又號秋史 慶州人也 .. 2022. 12. 10.
조작으로 얼룩진 다어어리, 일기日記 글로 적어 남기는 지식인은 정직하지 못하기 쉽다. 지식인의 문집은 믿기 어렵고, 1차 사료라는 일기는 실록과 같은 사료보다 거짓인 경우가 많다. 그들은 일기를 알리바이 확보용으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일기가 1차사료라고 덜컥 믿어서는 안 된다. 일기를 홀로 보려고 쓰는 경우도 있고, 누군가 볼 경우에 대비한 경우도 있다. 지식인의 일기는 대부분 후자이다. 대단히 교묘한 알리바이 조작 기록이 많다. 또 일기를 그때그때 쓴 것보다 한꺼번에 정리한 것이 많다. 어째서 정리했는지 생각하지 않으면 필자가 의도한 바대로 속는다. 2022. 11. 27.
영재泠齋 유득공柳得恭(1748~1807), 〈속어를 고치다〔俗語改正〕〉 벌꿀보다 탁한 것이 없는데도 ‘청(淸)’이라 부르니 청탁(淸濁)을 알지 못하는 것이고, 이미 죽은 꿩인데도 ‘생치(生雉)’라 하니 생사(生死)를 모르는 것이다. 전복이 애초 이지러진 데가 없는데도 ‘전복(全鰒)’이라 하니 군더더기 말이요, 기름과 꿀을 묻혀 튀긴 밀가루 반죽을 ‘약과(藥果)’라 하니 본디 약도 아니고 그렇다고 과일도 아니다. 꿀에 담근 과일을 ‘정과(正果)’라 하는데 그렇다면 꿀에 담그지 않은 것은 사과(邪果)인가? 문을 잠그는 자물쇠를 ‘쇠[金]’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무엇인들 쇠가 아니겠는가. 불에 달군 낫도 ‘철(鐵)’이라 하고 말발굽에 박는 징도 ‘철’이라 하고 지남철도 ‘철’이라 하는데 그렇다면 무엇인들 철이 아니겠는가. 밀랍으로 만든 초를 ‘황촉(黃燭)’이라 하는 것은 재질을 두.. 2022. 11. 24.
유건儒巾과 정자관程子冠 제향할 때 쓰는 유건儒巾을 앞뒤를 잘 몰라 거꾸로 쓰는 이가 적지 않다. 심지어 한학자인척 폼잡느라 한복 입고 다니는 이 가운데 거꾸로 쓴 경우도 많다. 유건은 민자건民字巾이라고 하는데 유생이 평소 쓰는 모자로 서원, 사당의 제향에서는 이를 쓴다. 그리고 양반이나 서당 훈장 등이 쓰는 정자관程子冠이라는 것이 있다. 사극에 자주 등장하므로 전에 내가 썼을 때 조카가 대감모자라고 했다. 선조모께서 장만해 준 게 어딘가 들어 있을 텐데 찾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집밖에서는 쓰지 않고 제향에도 써서는 안된다. 2022.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