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369

돌아보는 2007년 문경 고모산성 연못 목곽 발굴 고모산성 지하 목조 건축물 (문경=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경북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산 30-3번지 일원 고모산성에서 확인된 5세기 무렵 신라시대 대형 지하목조건축물 중앙 부분. 상ㆍ중ㆍ하 3층으로 이뤄진 지하식 목재구조물은 평면장방형으로 전체 규모는 12.3m(남북방향)x6.6-6.9m이며 깊이는 4.5m(하층 1.4m, 중층 1m, 상층 2.1m)였다. 2007-06-12 > 5세기 신라 대형 지하목조건축물 발굴 송고 2007-06-11 19:11 문경 고모산성.."규모 최대, 상태 최상"12x6m에 3층 구조, 기능은 미상 (문경=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5세기 무렵 신라시대 대형 지하목조건축물이 문경의 한 고대산성에서 발굴됐다. 무엇인가를 저장하기 위한 창고나 저수지일 가능성도 제기되는 이.. 2025. 6. 3.
'흥남에서 거제까지'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지방박물관 활성화 일환으로 해금강테마박물관(거제 소재)에서 '흥남에서 거제까지' 展을 6월 4일부터 7월30일까지 공동 개최합니다. '흥남에서 거제까지' 전시 기사가 네이버 생활문화면 6위에 있네요^^ Taeshik Kim 감사합니다.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01/0006289692?ntype=RANKING&sid=111(2013. 5. 31 최아영) 저에 얽힌 이야기는 한 번 정리한 적이 있다. 아버지는 포로수용소 관리, 아들은 인민군 포로 아버지는 포로수용소 관리, 아들은 인민군 포로이 생활 좀 하다 보면, 이른바 기구崎嶇한 사연이라는 인연을 조금 만나게 되는데, 그런 기구崎嶇 중에 2013년 다음 기사가 떠오른다... 2025. 5. 31.
야부리 일관한 삶을 산 어느 시절 한 토막, 조선 왕릉의 경우 어쩌다 과거의 오늘에 걸리는 한 장면이라 일컫기를 2014년 5월 31일 동구릉이랜다. 외우 이혜은 선생이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근무 시절 동행했다가 찍은 장면이라 한다. 그는 이후 잽싸게 모교 숙명여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자리가 나자 튀었으니, 뛰어봤자 벼룩이라, 내 남영동 사저 인근이라 내 곁으로 왔다. 한데 왜 이리 얼굴 보기가 힘듦?저때가 무슨 일인가 돌이켜 보니, 당시 국중에서 조선왕릉 강좌인가를 부탁했으니, 그 일환으로 현지 답사를 떠난 것이 아니었던가 한다. 무슨 개썰을 풀었는지 모르겠다. 보나마나 왕릉과 왕궁은 한 통속으로 봐야 한다. 무덤은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라, 왕궁이 왕이 살아서 사는 집이요, 왕릉은 그가 죽어 사는 집이니 같은 왕궁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실상 그런 까닭에.. 2025. 5. 31.
가서 보곤 똑같아서 까무러친 스톤헨지 지나개나 다 가는 스톤헨지 그 지나개나 다 간다는 스톤헨지를 나는 아주 늦게 갔다. 가서 놀란 점은 딱 하나!내가 보고들은 그대로였다!단 하나도 다른 점이 없었다. 그래서?허망했다. 가서 뭔가 새로운 것곧 남지 보지 않거나 못 본 것을 보고 싶었지만 어디 하나 손톱 밑 때만큼도 내가 새로 채울 것이 없었다. 그래서 슬펐다. 그래서 이런 곳을 갈 때마다 나는 외친다. X발 나도 봤다! 한데 내 친구 중에는 저 언저리조차 못 간 이가 있다. 불쌍하다. 그래도 지나개나 다 가는 스톤헨지, 늦게라도 봤으니 응어리는 풀었다. 그래서 후련했다. 십년 변비 쑥 내려가는 듯 했다. 2025. 4. 2.
공주 수촌리 고분 back to 2003 excavation of suchonri tumuli, gongju, korea dec. 10th, 2003 공주 수촌리 유적 Historic Site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공주 수촌리 고분군 ( 公州 水村里 古墳群 ) Classification Historic Site Name of Cultural Properties Ancient Tombs in Suchon-ri, Gongju Quantity 179,402㎡ Designated Date 2005.03.03 Age Bronze Age - Unified Silla Address 201, Suchon-ri, Uidang-myeon, Gongju, Chungcheongnam-do The tombs in Suchon.. 2025. 3. 30.
풍납토성 back to 2008 과거사 정리 차원에서 하나씩 보이는 것들을 족친다.서울 풍납토성 미래마을지구 발굴현장이다.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원)이 조사했으니 2008년 11월 27일, 그 공개현장이다. 저기선 한신대박물관이 조사한 경당지구까지 그대로 이어지는 길쭉이 일렬 형태 초대형 한성백제시대 창고 건물터인데 개중 한 지점이라, 사진에서 보듯이 대옹 3개가 박힌 채 나왔다. 저 중 하나에서 동진시대 사발인가? 잔인가가 1점이 튀어나왔다. Pungnaptoseong Fortification, Seoul, Korea. 2008.11.27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