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441 [마왕퇴와 그 이웃-57] 일본의 세 가지 반응 당시 일본의 반응을 보면, 지금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서, 학계와 대중 모두 열광적으로 소식을 기다렸다. 아사히 신문이 이러한 보도의 최전선에 있어 아사히주간에서는 중국에서 흘러나오는 소식과 사진을 받아 계속 속보를 냈고일본학계도 단순히 소식을 기다리는 수준을 넘어 마왕퇴 한묘의 실체에 대한 논쟁에 적극 뛰어들었다. 일본에서 나오는 이야기는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 일본이 마왕퇴 조사와 연구에 참여할 수 있을까. 이 제안은 중국측에 의해 거부되었다. 중국은 시종일관 마왕퇴 한묘를 중국인의 손으로 시작하여 끝내는 것이 국가적 체면과 사회주의 중국의 위신과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마왕퇴 한묘를 외교수단으로 이용하는 것과 동시에 이 무덤 조사를 중국인의 손으로 제대로 끝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 것이.. 2025. 3. 16. [마왕퇴와 그 이웃-56] 일본의 관심 마왕퇴 한묘가 발견되어 조사되던 무렵은 동서 냉전의 양상이 일대 전환기를 맞던 무렵으로 소위 말하는 핑퐁외교를 통해 중국과 미국이 냉전을 넘어선 교섭을 모색하던 시기였다. 이러한 데탕트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한 것이 일본으로 일본 외교가는 미국이 추진하는 외교 기조의 선을 넘지 않으려하되 물밑으로 그들 나름대로의 중국 외교의 복원을 위해 움직이고 있었다. 요즘은 중국이 팬더를 단순한 동물원 볼거리를 넘은 세계 외교의 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는데 그 당시는 마왕퇴 한묘가 탁구와 함께 팬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중국 지도부는 마침 발견된 마왕퇴 한묘를 대미, 대일 외교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는데, 동양문화에 대한 이해가 보다 깊은 일본쪽의 반응이 미국보다는 훨씬 컸던 모양이다. 주은래는 냉전.. 2025. 3. 16. [마왕퇴와 그 이웃-55] 마치 살아 있는 것 같다는 미라 중국 쪽에서 보고된 미라 중 마왕퇴 미라를 비롯한 소위 전국 초묘에서 발견된 미라는 "살아 있는 것 같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표현은 또 다른 중국 미라인 신강성 타림분지의 미라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말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미라는 건조한 기후 탓에 완전히 말라버린 형태로 발견되므로 잘 보존된 상태라도 조직이 굳어 있어 나무토막 같은 느낌을 준다. 하지만 마왕퇴나 전국 초묘에서 발견되는 미라의 경우, 자주 나오는 표현은 "매우 부드럽고 유연하며 관절의 움직임도 잘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견된 미라 시신의 피부가 부드럽고 결체조직이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장기의 모습도 금방 사망한 사람과 별 차이가 없다, 라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탁월한 보존상태는 모든 전국 초묘나 서한묘.. 2025. 3. 16. 미라 기대했다 꽝 난 사가교谢家桥 한묘漢墓 마왕퇴 미라가 세상을 놀라게 하고, 곧이어 봉황산 무덤에서도 비슷한 습시濕尸가 출현함에 따라 이후 비슷한 상황에서 발견되는 무덤에서는 한껏 추가 미라 출현을 기대케 했으니, 그런 데 중 하나가 이번에 말하고자 하는 무덤이다. 형주荆州 사시沙市 관저향关沮乡 소재 “사가교 1호 고묘 谢家桥1号古墓”라는 데가 있다. 다름 아닌 1975년 완전한 서한 시대 남성 미라가 발견된 봉황산 168호 한묘 凤凰山168号汉墓랑 멀지 않다. 사가교 무덤 또한 매장 연대, 보존 상황 및 지리적 조건이 168호 무덤과 유사한 까달겡 또 다른 한나라 시대 습시濕尸 출현을 기대했지만 시신은 없었다. https://heriworld.com/916 미라 기대했다 꽝 난 사가교谢家桥 한묘漢墓마왕퇴 미라가 세상을 놀라게 하고, 곧이어.. 2025. 3. 16. [마왕퇴와 그 이웃-54] 홍위병의 전투장으로 도망간 마왕퇴 미라 전술한 바와 같이 대중에 공개한 마왕퇴 미라를 보자고 수십만 명이 몰려들어 난장판을 이룬 덕에 다치는 사람도 나오고 당장 미라 자체의 안위가 위험해지는 국면에 처해 이 미라를 급하게 어딘가로 옮겨두어야겠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래서 옮긴 곳이 어디냐. 호기심에 가득찬 대중이 오지도 않고 홍위병도 감히 올 생각을 못하는 곳. 바로 호남의과대학 강의동 5층이었다. 왜 일까? 이 방에는 1960년대 문화혁명 초기에 의과대학 내 홍위병과 반대파들이 이 방에서 서로 무장을 하고 대판 맞붙어 싸웠다는데 이때 이 방에 보관되고 있던 방사성동위원소가 담긴 병을 그만 깨뜨려 먹었다. 방사성 물질이 바닥에 쏟기자 지금까지 치고 받던 양측은 모두 혼비백산 도망가버려 그 후 강의도 5층은 그 누구도 접근하지 않는 방이 되어버렸.. 2025. 3. 15. [마왕퇴와 그 이웃-53] 호기심과 증오 사이 마왕퇴가 발견되고 연구가 진행된 71-73년 연간, 중국대륙의 사람들은 호기심과 증오 사이를 오가며 반응했다. 인간의 감정이란 별것 아니다. 호기심은 언제든지 혐오와 증오로 바뀔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미라나 인골 같은 고대에 살던 사람들의 유해인 경우는 더욱 그렇다. 수천년 전 사람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하면많은 사람이 이에 대해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대하지만 그 호기심이 언제 증오와 지탄으로 바뀔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주의해야 한다. 마왕퇴도 그러했다. 일전에 마왕퇴에 대한 사인방과 홍위병의 증오에 대해 서술했지만, 그에 못지 않게 특기할 만한 것은 마왕퇴 미라가 발견된 후 이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었다. 마왕퇴 미라가 발견된 후 무려 이천여년 전의 이 귀부인에 대해서는 수많은 루머 아닌 루머가 양산되었고.. 2025. 3. 15.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