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176 20년이면 나라가 망하고도 남는 시간 앞서 일본의 2004년을 이야기한 바이 시기는 일본의 버블경제 호황이 아직 사회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시기였다. 버블 여파가 연구 분야에도 영향이 남아 그 수준이 미국 유럽을 찜쪄먹을 정도였다는 말이다. 이 시기부터 일본은 거의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된다. 노벨상 수상자가 그 상을 받는 연구는 대개 그보다 수십년 전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2000년대 이후의 일본 노벨상 수상자들의 연구는 실상 80년대 이후 20년간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것이다. 20년이면 나라가 망하고도 남는 시간이다. 2004년의 일본과 2025년의 일본을 보면2025년의 한국과 2045년의 한국은 어쩌면 그와 비슷할지도 모른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걸작 "파운데이션"을 보.. 2025. 6. 15. 2004년 일본인류학회 - 그 찬란했던 수준 필자의 초기 연구에는 당시 일본인류학계의 연구 동향에 정말 큰 영향을 받았다. 아마 당시 고고학계도 비슷했으리라 보는데 2003년 당시 필자는 처음으로 북해도에서 열린 일본인류학회에 참관했고, 2004년에는 당시 나가사키에서 열렸던 같은 학회에 참석했는데 2003년 참석 당시 일본인류학회의 당시 수준을 눈으로 확인했던지라 2004년에는 아예 동영상 장비까지 갖추고 (그 당시에는 지금 같은 동영상 촬영이 안되어 DVD로 녹화하는 핸드카메라가 있었다)도일하여 학회에서 주목해야 하는 연구 발표를 아예 통채로 녹화하여 들고 왔다. 지금 그 동영상 강의 장면이 아직도 필자에게 남아 있는데 아마 일본학회에도 이미 이 장면은 사라진 기록일 것이다. 이 당시 녹화를 뒤에서 통째로 강의를 뜨고 있었는데 참석한 일본학자들.. 2025. 6. 15. 혁명의 시대로 들어가는 고고과학, 그 무풍지대 대한민국 필자가 처음 이 일을 시작하던 당시만 해도 고고과학은 대단한 수준은 아니었다. DNA나 몇몇 화학적 분석이 주목을 끄는 정도였고 전체적으로 판을 뒤집을 정도의 동력은 그 안에서 나오지 않았다. 요즘 보면눈이 부실 정도다. 필자가 알고 지내던 연구자들 필자 또래 60 전후 연구자들은빠른 속도로 연구 실적 보고에서 사라지고 있다. 불과 2-3년 전만 해도 이런 연구가 보도되면 대부분 아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한 다리 건너면 전부 인연이 닿는 사람들이었는데요즘은 누군지도 모르겠다. 코로나 이후부터 국제학회를 거의 참석을 못했는데 요즘 다시 나가면 아마 아는 사람이 없을 것 같고,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오는 연구를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밖에 안든다. 필자가 이 일을 처음 시작했을 때만 해도 네이쳐 사이언스에는 .. 2025. 6. 3. 2018년 중국 고DNA 심포지움 회고 필자는 2018년에 중국 심천에 본부를 둔 유전학연구소 초청을 받아 그곳에서 개최된 고DNA 심포지움에 참석한 적이 있다. 사실 China National GeneBank니까 우리로 치면국립 유전자은행 정도 되려나?심천에서도 택시를 타고 한참을 달려 도착했는데우리나라 과학원처럼 외진 데에 건물을 지어 놓고 연자들을 모두 guest house에 수용해 놓고 며칠간 행사가 있었던 걸로 기억한다. 필자는 한국 일정이 바빠 내 강연만 마무리 하고 바로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때 이 국립유전자은행이 무슨 생각이었는지자기들 쪽 연구자 외에 다른 나라 연구자들도 초청해서 함께 심포지움을 했는데 동아시아에서는 중국 이외 국가에서는 필자가 초청되었던 것으로 기억하고나머지 연구자들은 위의 speaker 리스트를 보면 아.. 2025. 6. 3. 이 그래프가 의미하는 것 이 그래프는 보면 볼수록 많은 것을 이야기해 준다. 60 이후 급전직하하는 수학적 능력을 보면, 더 이상 통계라든가, 유전학적 연산 등에 매몰될 시기는 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5세까지 남아 있는 능력이란 추론 능력과 그나마 삐거덕거리며 이어지는 기억력 정도인 바, 이 두 가지를 조합하면 결국 남아 있는 선택지는 결국 필자가 60 이후 가고자 한 방향이 75세까지 이어질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종이와 연필, 컴퓨터와 史料 만으로 과연 학술적 가치가 있는 그 무엇인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인가 여부가 앞으로 15년을 결정해 줄 것이다. 2025. 6. 1. 자연과학자는 왜 빨리 은퇴하는가 자연과학자들은 대개 65세 언간에 정년과 동시에 학술활동을 완전히 접는다. 왜일까? 위 그림에서 보듯이 수리능력은 65세 이후 이미 가파르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추론 능력과 기억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떨어진다. Wet lab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60언간에 dry lab으로 전환하지 않으면몇년 안에 학자로서의 수명이 끊어지게 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편집자주 *** 더 추접한 이들은 인문학도들이다. 이들도 늙으면 알아서 물러나야 하는데, 추접스럽게 자리를 탐하며 계속 젊은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서야 하는 자리에 기조강연이니 토론좌장이니 해서 기웃기웃댄다. 그런 자리 초대해도 가지 않아야 한다. 머리 허얘서 젊은 친구들 서야 하는 자리 뺏어 서야겠는가?60 넘으면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을 .. 2025. 6. 1.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