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289

1690년. 양반인구 7.4 퍼센트 우리나라 조선시대1690년에 양반 인구는 전체 인구의 7.4 퍼센트 였다. 이 당시 사람들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후손을 남겼다면지금 우리들 중 1690년에 양반 조상을 둔 사람은 10명에 1명도 안되는 셈이다. 그로부터 백년이 지난 1790년 경에도 전체 인구 중 양반 인구는 30프로가 안 되었다. 우리 중 1790년에 양반 조상을 둔 사람은 10명 중 3명도 안 되는 셈이다. 노비인구를 보자면, 1678년에는 62%, 18세기 전반에는 40∼50% 사이, 18세기 중엽에는 30∼40% 사이로 18세기 중엽까지도 전체 인구의 1/3이 아직 노비였다. 이 문제를 우리 학자나 역사의 독자들이 회피하지 않고 직시해야지만 한국의 근대사는 제대로 볼 수 있다. 집집마다 전부 양반 조상이고, 19세기의 양반모칭자.. 2025. 9. 1.
과거가 없어져 분통이 터진 이승만 부친 우남 이승만의 회고를 보면, 조선왕조의 마지막 과거가 캔슬되어이제는 과거시험 더이상 없다고 했을 때, 이 대통령 부친도 평생을 과거 시험 보러 다녔던 모양으로 땅을 치며 통분해 마지않았다는 구절이 있다. 아마도 자신의 영달 마지막 수단으로 과거를 노렸던 것인데 그것이 좌절되었으니 너무나 분통했을 것이다. 이 대통령 집안은 전주이씨 양녕대군파 이지만이미 오래전에 벼슬이 끊겨 영달하지 못한 집안으로 알아서 아마도 이대통령의 부친이 과거시험 볼 때도 준호구를 떼서 들고가면 틀림없이 거기에는 유학, 친가 3대 외조 학생처가 3대 외조 학생이리 적혀 있었을 것임에 분명하다. 참고로 [일성록]에서고종 28년(1891)의 과거시험 기록을 확인해 보니10만 명 이상이 응시한 시험을 이 해에만 26회 실시했다고 한다.그.. 2025. 8. 31.
될 리가 없었던 조선시대 오가작통법 한국사를 배운 사람들은 누구나 오가작통법을 다 알 것이다. 교과서적인 설명은 이렇다.오가작통법은 5호(戶)를 1통(統)으로, 5통을 1리(里)로, 약간의 리를 하나의 면(面)으로 형성하여 면에 권농관(勸農官), 한성부에는 관령(管領)을 두어 호구의 동태를 보고하게 한 제도이다. 이건 교과서적 설명이 이렇다는 소리이고, 실제는 그러면 어땠느냐, 어떻게 작동했는지는 필자도 모르지만대략 짐작할 만한 것은 있다. 조선시대 호적을 보면이 오가작통법에서 5호씩 묶어 1개의 통을 구성한 내역이 적혀 있다. 예를 들어 5개 호를 연달아 쓰고 나서 그 5개 호는 하나의 통으로 여기에 통수를 지정해 놓는 것이다. 오가작통법이라는 게 말로만 되어 있는 도상 구조가 아니라 실제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겠다. 그런데 딱 봐도 .. 2025. 8. 31.
지배세력의 교체 우리나라 역사에서 지배세력이 교체된 가장 큰 계기가 무신정권기라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시기에 이전까지 득세하던 문중들이 사라지고 무신정권기 이후 출현한 집안들이 여말선초의 격변기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구한말까지 대략 600-700년을 번영한 것이다. 이는 일본에서 무가정권 성립 이후 에도막부의 종식까지 사무라이 시대가 600여년 지속된 것과 비교할 만 하다 하겠다. 일본은 무가정권이 쓰러지고 메이지유신이 시작된 후 그야말로 엄청난 지배세력의 교체가 뒤따랐고 그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해도 좋겠다. 한국의 경우는 그렇다면전부 양반의 후손이니 조선시대의 지배계급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는 소리일까. 한국도 20세기를 거치면서 지배세력의 교체가 뒤따랐는데, 필자가 보기엔 20세기에 활발하게 .. 2025. 8. 31.
족보와 호적에 솔직하지 못하면 한국근대사는 없다 언젠가 한 번 이야기 한 거 같지만일본 미츠비시상사의 창업자인 이와사키 야타로는 岩崎弥太郎에도시대 그 집안이 완전하게 쫄딱망한 향사 집안으로 향사집안 자체가 사무라이 계급에서는 바닥인데아버지 대인가 할아버지 대인가에는 그 바닥을 치는 사무라이 자격까지 팔아버리고 말 그대로 거지 같은 신분이 되어 있었다. 일본 이토추 상사의창업자인 伊藤 忠兵衛는 에도시대 직물 소매상을 하던 집 출신이며, 미쓰이 그룹은 에도시대 옷집인 에치고야에서 시작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정재계 막론하고 양반 후손 아닌 사람들이 없어서 재벌 집안까지도 조상들은 양반집이라는 것인데필자가 보기엔 모두 19세기에 흥기한 새로운 유학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생각이다. 아마도 20세기 일제시대와 대한민국 독립이후 활동한 많은 사람들의 가계를.. 2025. 8. 31.
이승만도, 김구도, 박정희의 부친도 봤던 과거 구한말의 과거가 폐지 되기 이전, 거의 끝물에 해당한 과거에는 이승만도, 김구도, 박정희의 부친도 응시한 전력이 있다. 이 세 분의 편력을 보자. (1) 이승만:이승만은 3남 2녀 중 막내로 출생하였다. 이승만의 6대조 이징하(李徵夏)가 음직(陰職)으로 현령(縣令)을 지낸 것을 끝으로 벼슬길이 끊기고 가세가 기울어 어렵게 살아갔다. 도동서당에서 한학 공부. 이승만도 과거에 응시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결과는 낙방. 과거가 폐지된 후 배재학당에 입학. (2) 김구: 무려 11대조부터 벼슬길이 끊김. 9세부터 서당에 나가 한학을 공부. 17세에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낙방. 이후 동학에 입교. (3) 박정희의 부친: 박정희의 12대조부터 벼슬길이 끊김. 박정희의 부친은 무과에 급제하여 정9품 벼슬을 지냈다고 .. 2025.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