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37

틀림없이 있었을 한국 신석기시대 휴경 지력을 보강하는 방법이 미진하던 시대에는 콩과 식물을 재배하여 연작을 시도하기도 했겠지만 그것도 쉽지 않아 틀림없이 정기적으로 휴경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 가지 생각해보자.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경작지를 여러 곳에 확보해 두고 정기적으로 돌아가며 휴경해야 하는 바람에 일정 순서대로 경작지를 순회하며 농사를 짓고 있었다면이는 "정착농경"인가 아닌가?  위는 유럽 중세의 장원으로 정기적으로 돌아가며 휴경하는 시스템을 보여준 것이다. 신석기시대에는 시비를 했을 리는 없고, 백프로 돌아가며 휴경했을 것이다. 휴경하는 경작지는 쉬게 놔두고 경작하는 땅 근처로 옮겨다니며 농사를 지었다면이것은 정착 농경인가 아닌가? 2024. 9. 4.
산나물을 어떻게 볼것인가 산나물, 산채는 한국에서 현재 유독 많이 발달하고 남아 있는데, 당연한 일이지만 20세기 이전에도 지금처럼 산채가 건강식이었을 리가 없다. 오히려 이 산채는 부족한 경작채소의 양을 보완하는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채소 경작. 조선시대까지도 경작 면적 그다지 넓지 않았을 것이라 본다. 지금도 배추농사 생산 과잉이면 갈아 엎는데 썩기 쉬운 채소를 엄청나게 많이 지었다가 그걸 어떻게 처리하겠는가? 채소농사를 대규모로 짓는 곳은 서울 주변 등 대도시 일각이고 대부분의 시골 농촌에선 텃밭 수준이었을 것이라 본다. 따라서, 심는 채소의 종류도 다양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도 모자라면 산채로 보충했을 것이라 본다. 왜 한국에는 산나물이 이렇게 발달했을까? 사찰음식의 유습인가? 필자가 보기엔 그것이 아니고.. 2024. 9. 3.
일본동물고고학회: 동물고고학 https://www.zooarch.net/latest/ 最新の学会誌|日本動物考古学会『動物考古学』第41号 (2024.3)  3,000円 論文 鹿又喜隆・鹿納晴尚・イワノワ ダリア 「X 線 CT を用いた動物形土製品の内部構造の解析による製作法と儀礼行為の復元」 高橋健・風間智裕www.zooarch.net 일본동물고고학회의 기관지로 1년에 한번 나온다. 일본어, 영어 양쪽 모두로 투고 가능하다. 2024. 9. 2.
고고식물학 학술지 링크 https://link.springer.com/journal/334 2024. 9. 2.
황하유역의 가축사육 중국의 동물 사육을 보면 흥미로운 것이, 잡곡 기반 황하유역이 도작 기반 장강유역보다 가축사육이 훨신 집약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잡곡 농사를 짓는 황하유역에서는 돼지 등 가축 사육도 장강유역보다 일찍 시작되었고 사육이 시작된 후에도 돼지를 우리에 가두어 길렀다. 쉽게 말해서 돼지를 먹이를 주어 가둬 키웠다는 말이다. 때문에 황하유역 돼지는 집돼지 특징이 더 많이 나타난다. 반면에장강유역은 돼지사육이 시작된 시점도 늦고, 돼지도 가두지 않고 놔서 길렀다. 사방을 돌아다니며 자기가 알아서 줏어 먹고 다녔다는 것으로, 이 때문에 장강유역 돼지는 사육돼지 형태를 덜 갖춘 모습으로 멧돼지와 더 비슷한 모양의 돼지였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가축사육에 관한한 황하유역이 장강유역보다 훨씬 집약적이고, 다양한.. 2024. 9. 2.
잡곡농경과 도작농경 잡곡농경은 이름부터 바꿔야 한다. 우리는 잡곡농경이라고 부르지만 잡곡농경권에 있었던 사람들은아무거나 되는 대로 재배해서 닥치는대로 입에 쳐넣던 그런 사람들이 아니다. 동아시아 잡곡문명권의 주곡은 조와 기장, 그 중에서도 하나만 꼽자면 기장이다. 따라서 잡곡농경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서직농경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사실에 가깝다고 본다. 기장이라는 곡식을 우습게 보는데 한 번만 쪄서 먹어보면 그 단맛에 이 곡식을 우습게 볼 수 없을 것이다. 기장은 맛이 옥수수와 비슷하다. 쪄 내면 옥수수 향이 난다. 잡곡농경은 되는 대로 아무거나 심어 닥치는 대로 수확해 먹고 사는 그런 화전민 농업이 아니다. 기장을 주력으로 하고 다른 곡식과 채소를 보조적으로 재배하는, 따지고 보면 도작과 별 차이도 없는 농경사회이다. 이 때.. 2024. 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