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51

구멍 하나를 뚫은 중국 신석기 돌칼 우리는 반달모양돌칼이라 하지만, 근간에서 같다 할 수밖에 없는 같은 신석기시대 돌칼이 중국에서도 보인다. 왼쪽은 우리처럼 구멍을 두 개 뿅 뚫었으나 오른 편처럼 구멍 하나를 뿅 뚫은 것도 있다. 모양도 약간은 달라서 우리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과는 달리 이쪽은 역시 중국 식칼 같다. 역시 날은 요즘 낫처럼 한 쪽 면만 비스듬히 깎았다. 근간이 무엇을 베기 위한 것이라는 데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물론 곡물을 벨 수도 있다. 칼이란 무엇을 자르기 위한 용도이니 필요에 따라 이것저것 다 쓴다. 아무리 돌이라 해도 손바닥으로 문지르는 쪽은 맨질맨질해야 한다. 저 중국 칼도 물론 사진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안 보인다. 문제는 그 사용 방법. 저기에 끈을 찡가서 그걸 엄지손가락에 찡가서 썼다 한.. 2025. 3. 5.
나무 손잡이 찡가서 쓴 유럽 신석기 돌칼 A well-preserved Neolithic knife, the blade was made of flint and fastened with birch tar in a handle made of wood. From the pile dwelling settlement at Wangen-Hinterhorn, Lake Constance, dating 3800-3500 BC.  잘 보존된 신석기 시대 돌칼이다. 돌은 플린트flint이며 나무 손잡이를 찡갔다.지 찡감을 공고히 하고자 자작나무 타르로 본드칠을 했다.기원전 3800-3500년 무렵 콘스탄스 호수 왕엔-힌터혼 기둥박은 집터에서 출토됐다. 한데 저 나무 찡굼 손잡이 한 쪽 끝에 구멍이 뚫려있다.저 구멍은 도대체 무엇을 위한 용도인가? 대체 뭔가?저 의.. 2025. 3. 5.
자작나무 타르로 손잡이 본드칠한 신석기 돌칼 기원전 2900년 내지 2800년 전, 그러니깐 지금으로부터 대략 5천년 전 후기 신석시시대 돌칼인데 나무 자루가 달렸다. 양쪽 면을 합성한 것이다. 독일 남서부 콘스탄츠 호수 Lake Constance 근처 알렌스바흐Allensbach에서 발견되었다.분석 결과 돌은 이탈리아 북부 몬테 발도Monte Baldo에서 채취했다.엘더우드elderwood라는 딱총나무 속으로 만든 손잡이에는 자작나무 타르birch tar로 돌날을 본드처럼 붙였다. 유럽 쪽 석기를 보면 저처럼 자작나무 타르를 붙인 유물이 더러 보인다. 저 유물이 현재 어디 있는지는 모르겠다. 2025. 3. 5.
[무령왕릉] 냉침대를 좋아한 왕과 왕비 어제 새삼 김규동 관장한테 전화로 물어봤다."그렇담 말이오 익산 쌍릉에서도 웬간한 모습으로 관짝이 나왔는데 거긴 바닥 있습디까?내 기억이 확실치 않습니다.""있다마다요. 무령왕릉은 왕도 그렇고 왕비도 모조리 바닥이 없어요."더는 물을 필요도 없다.금송으로 만든 관짝 남은 양태 보면 아주이주 잘 남아서 바닥만 쏙 다 썩어 문드러졌을 가능성 제로다. 그 남은 관짝 상태가 얼마나 좋은가 하면 조유전 선생 증언이 유감없이 증명한다."처음 문을 열고 들어가서 관재를 밟았더니 끄떡 없었다."그랬다.무령왕과 그 왕비는 관짝에 바닥이 없었다.맨땅에 두 분 다 등때기를 대셨다.두 분이 냉침대를 좋아하셨나 보다. *** previous article ***  무령왕릉 발견 50주년의 폭탄 선언 "관짝에 바닥이 없다!"ht.. 2025. 3. 4.
저리 잘라서는 다음해 농사를 못 짓는다! 흔히 반달모양돌칼 반월형석도 쓰임새로 제시하는 이 그림 그만 하려 했더니 도저히 열받쳐서 안 되겠다. 저딴 식으로 나락을 뜯으면 이듬해 나락 농사를 못 짓는다. 나락 농사를 지으려면 거름도 해야 하고, 그러려면 갈아엎어야 하는데 그래 저 시절에는 그런 농경법이 없다 치자.나락을 저리 수확한다?그럼 다음해 농사 어찌 짓는단 말인가?불을 싸질러?그리 불싸질러서 붙을 거 같은가?천만에 붙다가 만다. 다시금 말하지만 저와 같은 반월형석도 쓰임새 재구성은 어림반푼어치도 없다. 2025. 3. 4.
고고학도들한테 반달형돌칼을 당부한다! 향후 집터 같은 데서 반달모양돌칼 나오는 장면 목도하는 고고학도들은 그 콧등에 무엇인가를 찡군 흔적 예컨대 나무를 찡군 흔적이 없는지 잘 봐 주었으면 한다. 그냥 돌칼 나왔다고 냉큼 사진 촬영하고 수습해서 씻을 생각 말고 그 주변 흙도 잘 봐주길 부탁한다. 내가 이 얘기를 왜 자꾸 하는지 아는가?첫째 유럽 선사고고학을 보니 저와 비슷한 석기류를 나무에 찡가서 사용했고(물론 거기서는 자작나무 기름으로 본드칠을 했더라만) 둘째, 무엇보다 동시대 한반도 선사 저짝 고고학에서 다른 기물 중에 아주 극히 일부이기는 하나 나무를 찡군 흔적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건 그렇고 저 사용법 다 좋은 데 날 방향 바꿔라!어디 낫질 한 번 안 해 본 놈들이 날 방향을 저리 해서 사용한단 말인가?이건 내가 왜 잘 아는지 아는가?.. 2025.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