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당당탕 서현이의 문화유산 답사기230

용인 동천동 고구려 석실묘 실제 조사된지는 오래되었는데, 오늘에서야 현장을 보게 되었다. 첫눈 내리는 날, 고구려 석실묘를 보다니,😃 개발사업 일환으로 조사되었고, 보존조치가 아직 결정되진 않았지만, 언제 다시 볼 수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보고 왔는데, 역시 보길 잘했다.😆 용인에서는 보정동, 신갈동에 이어 세번째로 수지구 동천동에서 발굴된 추정 고구려 석실묘로 모두세 기가 드러났다. 물론 고구려 고분이라고 백퍼 확신은 못한다. 내부에서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지만, 무덤 형태와 특징으로 볼 때 고구려 고분으로 추정한다고. 3기 중 1.2호 석실묘는 쌍실로 한강 이남지역에서 확인된 고구려 석실묘와 유사한 구조 및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어 인근 용인 신갈동, 보정동 고구려 석실묘, 성남 판교동, 화성 청계리에서 확인된 고구려 석실묘와.. 2023. 11. 17.
<첫 연속유산, 봉수 유적의 가치 제고를 위한 향후과제> 봉수유적 학술심포지엄 개최 - 일 시 : 2023. 12. 06.(수), 13시~18시 - 장 소 : 대전 KW 컨벤션센터 아젤리아홀 - 주최/주관 : 문화재청 / 창원대학교 경남학센터 봉수 전공도, 고고학 전공도 아니지만, 용인시 학예연구사로서 봉수에 대한 열정(?)을 좋게 봐주신 덕분에 5주제 발표를 맡게 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석바랍니다. 2023. 11. 14.
[안성맞춤박물관]내 입에 안성맞춤 특별전 안성맞춤박물관에서 을 개최합니다. 안성탕면 탄생 40주년을 함께 맞이하며 치열한 한국의 라면산업의 흐름 속에서 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농심의 라면스프공장은 왜 안성에 지어졌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만들어진 그 시절의 라면은 이제 다양한 미식의 경지로 넘어왔습니다. 안성맞춤박물관에서 라면의 과거와 미래를 살펴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개막식 안내- 2023.11.10. FRI PM 14:00 안성맞춤박물관 1F 기획전시실 -개막식 부대행사- 안성맞춤박물관 앞마당 강연(농심R&D연구원), 세미나실 2023. 11. 3.
세계유산과 한국의 고려청자 연구자료집성 학술대회 [민족문화유산연구원·한국미술사학회 주관 학술대회 안내] 안녕하세요😊 민족문화유산연구원·한국미술사학회 주관 학술대회를 안내드립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 시: 2023. 11. 10. (금) 13:00~18:00 🎈장 소: 국립고궁박물관 별관 강당 🎈방 식: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감사합니다. 2023. 11. 1.
문화재보호법 개정안 공포 : 지자체 문화유산전담관 및 전문인력 의무배치 지난 10월 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문화재보호법 개정안이 오늘 공포되었다. 여러 번 이야기했던, 문화유산 보존관리를 위해 지자체에 문화유산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전문인력 의무배치에 관한 조항이 드디어 최종적으로 공포된 것이다. 전국학예연구회에서 전문인력을 학예연구직으로 명시해달라고 한 요청내용은 반영되지 않아서, 전담관과 전문인력에 대한 용어 정의가 불분명한 한계가 있지만, 우리 스스로 개정안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이 개정안이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밝혀두고 싶다. 그리고 저 보도자료에 전국학예연구회의 이름은 들어가지 않을 거라 이미 김태식 백수님이 예언한 바 있으니, 섭섭하진 않다. 아직 문화유산전담관과 전문인력을 어떻게 배치할지에 대한 시행령 연구용역이 진행중이니, 어떻게 지자체에 실효성있는 법.. 2023. 10. 31.
포은을 사랑한 우물 밖의 개구리, 마크 피터슨 교수님 오늘, 용인시 문화예술원 국제회의실에서 “용인 충렬서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이란 주제의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학술회의를 위해 발표자와 토론자를 섭외하던 중, 발표자 중 한 사람인 신채용 선생님이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 교수님께서 기조강연을 할 수 없겠느냐고 먼저 제안을 해주셨다. 마크 피터슨 교수님은 하버드대에서 한국학을 전공하시고, 브리검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셨다. 평소 마크 피터슨 교수님 얘기를 들어왔던 터라, 그리고 외국 석학이 기조강연을 먼저 제안해주시다니! 포은을 너무 사랑하시고 정몽주 묘역에도 이미 방문해서 유튜브 영상도 찍으셨다는데, 당연히 O.K!! 그리고 오늘, 학술회의 당일! 한국말을 잘 하신다고 들었지만, 유창하게 정몽주의 단심가 ”이 몸이 죽고 죽어, 일 .. 2023.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