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춘동의 도서문화와 세책27

전라도 지역의 문헌수집가 서적상 운당雲堂 이현조 유춘동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이현조 선생님을 처음 만났던 것은 2009년이었다. 고려대 법학박사인 선생은 당시 전남대에서 시간 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그 강사료로 열심히 고문헌을 수집했었다. 이현조 선생은 전라도 전역에서 사라져가던 고서, 그리고 가구류,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모두 수집했다. 이로 인해 빚도 많이 지게 되었다. 그랬던 그가 지금은 광주역 주변에서 자신이 모았던 자료를 갖고 고서적상을 운영하고 있다. 이현조 선생님이 제일 자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일제강점기에서부터 현재까지 광주의 변천을 담은 지역사 자료이며, 그 중에서도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각종 자료들이다. 고서적상도 결국 장사꾼이란 비아냥이 많다. 그러나 그는 버려지고 사라져가는 것들을 .. 2020. 3. 29.
머리가 좋아지는 책(1961년) 유춘동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1961년 당시 출판 시장에서 일약 베스트셀러가 되어, 한국 사회를 ‘머리가 좋아지자는 열풍 운동’을 불러 일으켰던 책이 있었다. 그 책은 바로 《머리가 좋아지는 책》 (와다나베渡邊剛彰 원저, 우천석외 옮김, 지문각, 1961)이다. 신문에 실린 광고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입시 시험을 앞둔 모든 학생들은 이 책을 보십시오. 당신은 천재가 될 것이며 모든 시험에 합격할 것입니다. 이 책의 저자 와다나베씨는 단 두 주일의 공부로 고등고시에 합격을 했습니다. 머리가 좋은 것이 아니라 이 책에 설명한 방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아주 재미있는 이 책은 지금 일본에서는 초중고 대학을 막론하고 전국학생들의 성전聖典이 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2020. 3. 22.
하루의 시작과 끝을 책임졌던 cbs 라디오 DJ 김형준 유춘동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알다시피 1979년에 발매된 버글스Buggles의 ‘Video Killed the Radio Star’는 TV와 같은 신新 영상매체의 등장으로, 라디오가 조만간 일상에서 없어지리란 우려와 아쉬움을 표현한 노래다. 그러나 금방이라도 사라질 것만 같던 라디오는 이 시대에도 굳건히, 그리고 끈질긴 생명력으로 살아남아 많은 사람에게 삶의 위안과 희망을 주는 친구가 되고 있다. 요즘 텔레비전을 방영 시간에 맞춰 보는 이른바 본방 사수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운전을 하다가 라디오를 듣거나, 직업상 24시간 내내 라디오를 켜 놓고 살아가는 이들이 우리 주변에는 너무도 많다. 이를 본다면 라디오는 사라질 매체가 아니라, 계속해서 존속할 우리 곁에 있을 미디어일 것이다. 1970년.. 2020. 3. 18.
세상의 지식과 상식을 담은 세책본 《고담낭전》 유춘동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 얼마전까지 필자는 선문대 소속이었다가 근자 이직했다. 고소설 《고담낭전》은 미천한 신분의 소년 ‘담낭談囊’이, 어른이자 고을 수령인 ‘태수(太守)’와 만나 ‘지혜 겨루기’ 문답問答을 나누고, 문답 내기 끝에 마침내 소년이 승리한다는 내용을 담은 작품이다. 이본에 따라서 이후에 큰 상이나 관직을 받거나 태수의 딸과 혼인하는 내용이 더 기재된 것도 있다. 고소설에서 이처럼 어른과 어린이의 대결, 어린이의 승리로 끝나는 작품은 《공부자동자문답公夫子童子問答》이 있다. 두 작품은 고소설사에서 매우 이례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아 그동안 이 작품의 형성 과정, 구조와 의미, 문체적 특징 등을 구명究明하는 노력들이 이어져왔다. 하지만 속시원히 이 작품의 형성을 해결해줄 만한 단서는 발견되.. 2020. 3. 14.
1910년생 김정자金貞子, 82년생 김지영의 대선배 2016년 10월 발간된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최근 영화로 만들어져, 다시 사람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내용은 간단하게 말한다면 현재 초중년 여성인 ‘1982년생, 여자의 일생/삶/현실’의 이야기이다. 즉, 1982년생인 여주인공이 어렸을 때부터 성장하기까지, 그리고 성인이 된 뒤에도 겪는 각종 편견과 차별, 무엇보다 출산을 한 뒤의 경력 단절 여성의 삶, 일하고 싶은 여성의 뼈저린 아픔과 고민을 그려내고 있다. 《82년생 김지영》이 소설과 영화를 통해서 우리에게 전하고자 한 것은 “제도적 불평등이 사라진 시대에도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있는 여성에 대한 제약과 차별”의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의 ‘불평등한 삶’은 비단 현재의 문제만이 아니었다. 이.. 2019. 11. 15.
1930년대 <월간매신月刊每申>이 제시한 취직就職 입학入學의 성공 비결 유춘동 선문대 역사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관심사의 하나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사람 사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같아서 학생들이 보는 입학시험, 그리고 취직 시험은 모든 사람들의 관심사였다. 이러한 사람들의 민감한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일제강점기 잡지 중의 하나가 이다. 은 조선총독부의 국문판 기관지인 부록으로 1934년 2월에 창간된 대중잡지다. (최덕교, , 현암사, 2004). 의 창간호(創刊號)에서 가장 중요한 기사는 ‘취직(就職)/입학(入學) 성공비결(成功秘訣)’이다. 당시 취직 준비, 특히 공직이나 좋은 일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했을까? 당시 일본인으로서 ‘경성부립직업소개소(京城府立職業紹介所長)’을 맡았던 미야하라[宮原] 소장이.. 2019.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