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86 김암(金巖) 신라인. 생몰년 미상. 김유신의 손자인 김윤중의 서손(庶孫)인데 술법에 밝았다. 젊어서 이찬으로 당에 들어가 숙위하면서 음양술을 배웠고 둔갑술도 터득했다. 대력(大曆) 연간에 신라로 귀국해 사천대박사(司天大博士)가 되었고 양주(良州)·강주(康州)·한주(漢州) 태수(太守)를 역임하고 집사시랑(執事侍郞)을 거쳐 패강진(浿江鎭) 두상(頭上)이 되었다. 혜공왕 15년(779)에는 일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삼국사기 권제43 (열전 제3) 김유신下: 윤중의 서손(庶孫) 암(巖)은 본성이 총민하고 술법 배우기를 좋아하였다. 젊어서 이찬이 되어 당에 들어가 숙위하였을 때, 틈을 타서 스승에게 찾아가서 음양가(陰陽家)의 술법(術法)을 배웠는데, 하나를 들으면 세 가지를 미루어 알았다. 스스로 둔갑입성지법(遁甲.. 2018. 3. 24. 김장이(金長耳) 생몰년 미상. 신라. 김유신 적자 중 한 명이다. 벼슬은 대아찬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권제43 (열전 제3) 김유신 : 아내 지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대왕 셋째 딸이다. 아들 다섯을 낳으니 맏이 이찬 삼광(三光)이요, 다음은 소판 원술(元述)이요, 다음은 해간(海干) 원정(元貞)이요, 다음은 대아찬 장이(長耳)이며, 다음은 대아찬 원망(元望)이다. 딸은 넷이다. 또 서자(庶子)로 아찬 군승(軍勝)이 있는데, 그 어머니 성씨는 전하지 않는다. 2018. 3. 24. 장이(長耳) ☞김장이(金長耳) 2018. 3. 24. 원망(元望) ☞김원망(金元望) 2018. 3. 24. 김원망(金元望) 김유신과 태종무열왕 셋째딸인 지소(지조)부인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관위는 해간(파진찬)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권제43 (열전 제3) 김유신 : 아내 지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대왕 셋째 딸이다. 아들 다섯을 낳으니 맏이 이찬 삼광(三光)이요, 다음은 소판 원술(元述)이요, 다음은 해간(海干) 원정(元貞)이요, 다음은 대아찬 장이(長耳)이며, 다음은 대아찬 원망(元望)이다. 딸은 넷이다. 또 서자(庶子)로 아찬 군승(軍勝)이 있는데, 그 어머니 성씨는 전하지 않는다. 2018. 3. 24. 지소(智炤) 생몰년 미상. 신라. 김유신 마누라. 태종무열왕 김춘추 딸인데 그 어머니는 문명(文明)일 가능성이 크다. 문명은 김유신 동생이니 외삼촌과 근친혼을 했다. 슬하에 원술 이하 여러 아들을 두었으며 그들 모두 현달했다. 지조(智照)라고도 한다. 성덕왕 11년(712), 부인으로 책봉되었다. 삼국사기 권제43 (열전 제3) 김유신下 : 아내 지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대왕 셋째 딸이다. 아들 다섯을 낳으니 맏이 이찬 삼광(三光)이요, 다음은 소판 원술(元述)이요, 다음은 해간(海干) 원정(元貞)이요, 다음은 대아찬 장이(長耳)이며, 다음은 대아찬 원망(元望)이다. 딸은 넷이다. 또 서자(庶子)로 아찬 군승(軍勝)이 있는데, 그 어머니 성씨는 전하지 않는다. 뒤에 지소부인은 머리를 깎고 거친 옷을 입고 비구니가 되.. 2018. 3. 24. 이전 1 ··· 3164 3165 3166 3167 3168 3169 3170 ··· 336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