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74

김품석(金品釋) 신라 태종무열왕 김춘추 사위로서 선덕왕 11년(642), 이찬이자 대야성 도독으로 있다가 백제군 침략에 성은 함락되고 그 자신도 부인 고타소와 함께 죽었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 : 11년(642) 봄 정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가을 7월에 백제 왕 의자(義慈)가 군사를 크게 일으켜 나라 서쪽 40여 성을 쳐서 빼앗았다. 8월에 또 고구려와 함께 모의하여 당항성을 빼앗아 당나라와 통하는 길을 끊으려 하였으므로 왕이 사신을 보내 [당] 태종에게 위급함을 알렸다. 이 달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이끌고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도독 이찬 품석(品釋)과 사지(舍知) 죽죽(竹竹)·용석(龍石) 등이 죽었다. 겨울에 왕이 장차 백제를 쳐서 대야성에서의 .. 2018. 3. 21.
훈신(訓信) 생몰년 미상. 신라인. 선덕왕 11년(642) 김춘추가 고구려에 청병하러 사신으로 갈 때 수행했다. 삼국사기 권 제41(열전 1) 김유신上 : 나중에 유신은 압량주(押梁州) 군주(軍主)가 되었다. 춘추가 사간(沙干) 훈신(訓信)과 함께 고구려에 예방하러 갈 때 대매현(代買縣)에 이르니 고을 사람 사간 두사지(豆斯支)가 청포(靑布) 300보(步)를 주었다. 2018. 3. 21.
개금(蓋金) 고구려말 대막리지 연개소문을 줄여 일컫는 말이다. 삼국사기 권 제41(열전 1) 김유신 상 : 뒤에 유신은 압량주(押梁州) 군주(軍主)가 되었다. 춘추가 사간(沙干) 훈신(訓信)과 함께 고구려에 예방하러 갈 때 대매현(代買縣)에 이르니 고을 사람 사간 두사지(豆斯支)가 청포(靑布) 300보(步)를 주었다. [고구려] 경내에 들어가니, 고구려 왕이 태대대로(太大對盧) 개금(蓋金)을 보내 객사를 정해주고 잔치를 베풀어 우대하였다. 일본서기 권제27 천지천황(天智天皇) : (3년...10월) 이 달에 고구려 대신(大臣) 개금(蓋金)이 그 나라에서 죽었다. 여러 자식에게 유언하기를 “너희 형제는 고기와 물과 같이 화합하여 작위를 다투는 일은 하지 마라. 만일 그런 일이 있으면 이웃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라고 .. 2018. 3. 21.
덕창(德昌) 삼국사기 열전...보강요 2018. 3. 21.
염종(廉宗) ☞렴종(廉宗) 2018. 3. 21.
비녕자(丕寧子) 신라 진덕왕 원년, 무산성과 감물성, 그리고 동잠성 세 성 공략에 나선 백제군에 맞선 김유신 휘하에 배속되어 아들 거진, 가노 합진과 함께 장렬히 싸우다 전사했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원년(647)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무산성(茂山城), 감물성(甘勿城), 동잠성(桐岑城)의 세 성을 에워쌌으므로, 왕이 유신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고전(苦戰)하여 기운이 다 빠졌는데, 유신의 부하 비녕자(丕寧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이 적진에 들어가 급히 공격하다가 죽으니, 무리들이 모두 분발하여 쳐서 3천여 명을 목베었다. 삼국사기 권제47(열전 제7) 비녕자 : 비녕자(丕寧子)는 출신 지역과 성씨를 알 수 없다. 진덕왕 원년 정미(647) 백제가 .. 2018.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