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36

극락(極樂) 산스크리트 原語는 “樂이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아미타불(阿彌陀佛)이 住하는 世界를 가리킨다. ‘극락세계(極樂世界)’ ‘극락국토(極樂國土)’라고도 한다. 漢譯 佛典에서는 ‘수마제’(須摩題) ‘수가마제’(須呵摩提) 등이라고 음사(音寫)하며, ‘안락(安樂)’‘안양(安養)’이라고 의역되기도 한다. 수도권 도시 안양은 그 이름이 바로 이에서 유래한다. 漢語인 ‘極樂’은 중국고전에서는 매승(枚乘)의 ‘상서간오왕’(上書諫吳王‘(《文選》39) 등지에 보이는데, 그 의미는 “더 이상 없는 즐거움”이다. 또 반고(班固)의 서경부(西都賦) 등지에도 보이는데 “즐거움을 다한다”는 의미이며, 나아가 《회남자(淮南子)》 원도훈(原道訓)에는 “至極의 樂”이라는 말이 나온다. 불전에서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 2018. 3. 9.
왕흠약(王欽若) 왕흠약(王欽若. 962~1025)은 자(字)가 정국(定國)이며 북송(北宋) 신유(新喩) 출신이다. 신유는 지금의 新餘東門王家 자리다. 18세에 《평진부론(平晉賦論)》을 지어 문명을 떨쳤고, 북송 태종(太宗) 순화(淳化) 3년(992)에 실시된 순화 진사 갑과(淳化 進士 甲科)에 급제해 관직에 진출했다. 이후 한림학사(翰林學士)와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거쳐 재상인 동평장사(同平章事)에까지 관직이 이르렀다. 경덕(景德) 원년(1004) 거란(契丹)이 내범(來犯)하자, 당시 북송 황제 진종(眞宗)은 적을 두려워하여 왕흠약과 진요수(陳堯수) 등의 大臣들이 내놓은 계책을 받아들여 남조(南逃)로 천도하려 했으나 당시 재상(宰相) 구준(寇準. 961~1023)이 힘써 중의(衆議. 여론)를 배척하여 진종에게 단주(.. 2018. 3. 9.
《전당시(全唐詩)》 Quantangshi http://www.guoxue.com/zibu/dao/yun7/yun7.htmhttp://www.xysa.com/quantangshi/t-index.htm 《전당시(全唐詩)》 Quantangshi淸 康熙 44년(1705), 팽정구(彭定求)․심삼증(沈三曾)․왕사굉(汪士紘)․왕역(汪繹)․유회(兪梅) 등 10인이 봉칙편교(奉勅編校)하여 “시 4만8천900여 수, 2천200여인을 얻어(得詩四萬八千九百餘首, 凡二千二百餘人)”니 도합 900卷에 목록만 12卷에 달하는 초 거질 당대(唐代) 시가집이다. 조설근(曹雪芹)의 祖父인 조인(曹寅)이 奉旨하여 刊刻 《全唐詩》했다. 全書는 明代 호진형(胡震亨)의 《당음계참(唐音統籤)》과 淸代 이진의(季振宜)의 《당시(唐詩)》가 이룩한 성과를 바탕으로 하면서 잔비殘碑․단갈斷碣․.. 2018. 3. 9.
《광동통지(廣東通志)》 明淸 兩代의 地方誌로서 廣東省 內의 事蹟․氣候․風俗․水利․人物․藝術文化 等等을 정리, 기록했다. 《廣東通志》는 明代의 《광동통지초고廣東通志初稿》에서 비롯되어 8次에 걸친 개수를 거쳤다. 《廣東通志初稿》는 모두 四十卷이었으며 明 嘉靖 14年(1535)에 戴璟花가 兩個月에 걸친 纂修로 나왔다. 內容은 分野․山川․政紀․行次․疆域 等 五十多門을 포괄한다. 《廣東通志》 第二次 纂修는 明 嘉靖 36年(1557)이었으니 黃佐가 負責하여 1561年에 이르러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卷, 內容은 分하여 十一門六十九類이며, 人物이 三分之一을 차지한다. 第三次 纂修는 明 萬曆 27年(159年), 郭裴․王學曾․袁昌祚 等이 책임을 지고 했으며 1602年에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二卷, 內容分爲三十五門. 第四次 纂修는 淸 康熙 十四年.. 2018. 3. 9.
《주례(周禮)》 註 : 내가 늘상 하는 말이지만, 동아시아 문명의 그랜드디자이너는 바로 이 주례(周禮)란 괴물이다. 한우충동(汗牛充棟)한 그 많은 문헌 중에서도 오직 주례만이 국가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해야 하는지를 법제화했기 때문이다. 함에도 어찌 주례를 이리도 무시하는가? 舊唐書 經籍志:“賈公彦義疏五十卷.”(新唐書同) 四庫全書總目:“今本四十二卷, 不知何人所改.” 賈公彦, 永年人. 唐高宗永徽中, 官太學博士, 著有周禮義疏․儀禮義疏(見舊唐書卷189儒學傳). 義疏乃本鄭玄注爲之, 以鄭注在唐時立於國學也. 淸孫詒讓周禮正義八十六卷. 按周禮一書, 漢書 藝文志云:“周官經六篇.” 原注:“王莽時, 劉歆置博士.” 漢書景十三王傳河間獻王:“修學好古, …所得書, 皆古文先秦舊書, 周官…之屬.” 賈氏周禮興廢引馬融傳(按:謂馬融周官傳, 見後漢書儒林傳董.. 2018. 3. 9.
왕승달(王僧達. 423~458) 南朝 宋의 大臣으로 지금의 山東에 속하는 낭야(琅邪)의 임기(臨沂) 사람이다. 대대로 大族이며, 臨川王 劉義慶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詩文을 잘 지어 당시에 자못 文名이 높았다. 나중에 시흥왕(始興王) 유준(劉濬)의 후군참군(後軍參軍)이 되었으며 의성태수(宣城太守)를 역임했다. 성격이 유렵(遊獵)을 좋아해 말을 타고 다니기를 좋아해 3~5일 동안 귀가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사냥하는 곳에서 사송(辭訟) 문서를 다루는 일도 있었다. 그때 太子 유구(劉劬)가 작란(作亂)하자 심양(尋陽)으로 도망쳤다. 뒤에 효무제(孝武帝)가 즉위하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임명되고 정로장군(征虜將軍)에 가작되었다. 왕승달은 사람됨이 자만심이 심해 재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군태수(吳郡太守)에 제수되어 외관으로 나갔다.. 2018.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