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09 하산루의 연인들, 남녀인 줄 알았더니 남자 둘? In 1973 archaeologists made an intriguing discovery in Iran at the ancient site of Teppe Hasanlu. They unearthed the remains of two human skeletons buried together in what appeared to be an intimate embrace. These remains, dating back some 2,800 years, quickly caught the world’s attention and became known as the “Hasanlu Lovers.” 1973년, 미국 펜실베니아 고고학도들이 이란의 고대 유적지 테페 하산루Teppe Hasanlu에서 흥미로운 발견을 했.. 2025. 5. 19. [독설고고학] 구석기, 다듬지 않은 짱돌을 보라! 이런 말하면 그쪽 업계에서 나올 반응은 틀림없이 다 안다! 누가 모른대? 딱 이거리라. 알긴 개뿔?구석기 신석기 학도를 보면서 내가 무척이나 한심하기 짝이 없는 것은 왜 이 친구들은 뽀개고 갈고 다듬은 석기만 보냐 이거다. 어린 시절 냇가 같은 데서 돌 갖고 논 사람들은 너무나 잘 안다. 다듬어 사용?웃기는 얘기다. 안 다듬고 사용하는 석기가 훨씬 더 많다. 짱돌!담 쌓는데 그래 가끔 다듬어 귀퉁이 쳐내기는 했지만 돌 갖다 그냥 쌓았다. 호두 깨먹고 하는데 무슨 돌을 가공한단 말인가?짱돌 눈에 보이는 것 아무거나 들고 두들겨 깼다. 구석기 신석기? 내가 보건대 다듬지 않은 석기가 훨씬 더 많다. 한데 왜 그 다 안다는 그런 말 단 한 놈도 하지 않는가?다듬지 않은 석기를 봐야 할 것 아닌가?나는 앞서 2.. 2025. 5. 19. 과학이 엎어버린 통설, 베냉 칼들은 현지 제작! A study of six Dahomean swords, which come from the 17th- to 19th-century West African Kingdom of Dahomey in the present-day Republic of Benin, has determined that the weapons—long speculated to have either been locally made or imported—were crafted by local African smiths.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 서아프리카 다호메이 왕국Kingdom of Dahomey(현재 베냉 공화국)에서 발견된 칼 6점을 분석한 결과 현지 아프리카 대장장이들이 제작했음을 확인했다 한다.17세기 초부터 19세기 후반까.. 2025. 5. 19. 페루 쿠엘랍 북부에서 차차포야 장례 구조물 흔적 발견 Chachapoya funerary structure and offerings unearthed in northern Kuélap, Peru by Dario Radley May 18, 2025Archaeologists from Peru’s Ministry of Culture unearthed a chulpa-type funerary structur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uélap ancient city in the Amazonas region. The discovery, part of excavations led by the Kuélap Archaeological Research Program (PRIAK), is aimed at revealing the social an.. 2025. 5. 19. 기원전 4천500년 전, 저들은 황금 떡칠을 하고선 활보했다 현재까지 금을 제련해 각종 물품을 만들어는 기술이 가장 빠른 곳은 메소포타미아도, 이집트도 아닌 불가리아 바르나Vaena 라는 흑해 연안이다. 이 일대를 중심으로 불가리아랑 루마니아가 흑해를 접한 연안을 따라 가장 이른 시기에 제련을 했다. 계속 소개했듯이 그 시점은 무려 기원전 4천500년!!!!우리는 암사동에서 움집 집고선 빗살무늬 토기 만들어 도토리나 주워먹던 시절이다. 저 무렵 무덤을 발굴했더니 저런 양상이었다. 그걸 토대로 얼마나 고증에 충실한지는 알 수 없지만 그런 금부치를 생전에 걸친 모습을 복원해 보면 오른쪽과 엇비슷하다 한다. 저런 사람들이 암사동 신석기시대에 그 일대를 횡단하고 다녔단 상상을 해 봐라. 물론 우리는 황금 제련술이 아주 늦어서 이른바 낙랑 유적을 제외하고선 신라 권역에서 .. 2025. 5. 19. 전투기 총알자국을 엎어버린 통계학도!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은 복귀하는 전투기의 총알자국을 분석하여 어디를 집중 보강해야 할지 결정했다.이미지의 빨간색 점은 복귀한 전투기가 가장 자주 타격을 받은 곳을 나타낸다.당초 군은 총알 자국이 가장 많은 부분, 즉 날개, 꼬리, 동체 외부를 보강하는 것을 고려했다.그러나 통계학자 아브라함 월드 Abraham Wald는 중요한 통찰을 제시했다.이 전투기들은 살아남았다. 이 전투기들이 입은 타격은 치명적이지 않았다.월드는 엔진과 조종석처럼 총알자국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부분이 치명적인 약점이라고 주장했다.이러한 부분에 타격을 입은 전투기는 복귀하지 못했기 때문에, 누락된 데이터 포인트가 매우 중요했다.이 이야기는 생존 편향, 즉 생존하지 못한 사람이나 사물에만 초점을 맞추고 살아남은 사람이나 사물은.. 2025. 5. 19. 이전 1 ··· 96 97 98 99 100 101 102 ··· 33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