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istoripedia66

《삼보황도(三輔黃圖)》 6권 원저자는 불상이며 성립 연대 또한 알 수 없으나 東漢 末 이전이라는 견해가 유력하다. 三國시대 魏人인 여순如淳의 《한서주漢書注》에 이미 인용되기 때문이다. 《수서 경적지(隋書經籍志)》에서 처음으로 존재를 드러내니 이때는 一卷本 《三輔黃圖》이었다. 그 뒤 南宋 조공무晁公武의 《독서지讀書志》에서 이를 三卷으로 바꾸기 시작했으며 진진손陳振孫의 《직재서록해재直齋書錄題解》에서는 兩卷이라 했다. 《四庫全書總目》은 여수겸勵守謙이 收藏한 六卷本을 저록하면서 佳本으로 간주했다. 육권본은 漢代 三輔 지역의 古跡을 主로 삼으니 특히 長安을 가장 충실이 기술했다. 그 외에 秦漢 시대 三輔 지역의 風俗도 덧붙였다.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이 책을 가리켜 “이에서 기록한 궁전과 원유의 제도는 조목별로 잘 분류해서.. 2018. 3. 9.
《태평어람(太平御覽)》 太平御覽 一千卷 宋 李昉 等 編纂 http://www.guoxue.com/wenxian/leishu/0001.htm 北宋시대 전기에 국가에서 편찬한 ‘四大書’ 중의 하나이다. 《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 이르기를 “宋李昉等奉敎撰. 以太平興國二年受詔, 至八年書成. 初名《太平類編》, 後改名爲《太平御覽》. 宋敏求《春明退朝錄》謂書成之後, 太宗日覽三卷, 一歲而讀周, 故賜是名也.”(송나라 이방 등이 교서를 받들어 편찬했다. 태평흥국 2년에 조칙을 받들어 8년에 책이 완성됐다. 처음에는 태평류편이라 했다가 나중에 개명하여 태평어람이라 했다. 송민구는 춘명퇴조록에서 이르기를 책이 완성되 다음에 태종이 날마다 3권씩 보다가 1년만에 독파했으니, 이런 인연으로 이런 이름을 내렸다)라고 했다. 전체를 50개 門으로 나누었으며, .. 2018. 3. 9.
극락(極樂) 산스크리트 原語는 “樂이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아미타불(阿彌陀佛)이 住하는 世界를 가리킨다. ‘극락세계(極樂世界)’ ‘극락국토(極樂國土)’라고도 한다. 漢譯 佛典에서는 ‘수마제’(須摩題) ‘수가마제’(須呵摩提) 등이라고 음사(音寫)하며, ‘안락(安樂)’‘안양(安養)’이라고 의역되기도 한다. 수도권 도시 안양은 그 이름이 바로 이에서 유래한다. 漢語인 ‘極樂’은 중국고전에서는 매승(枚乘)의 ‘상서간오왕’(上書諫吳王‘(《文選》39) 등지에 보이는데, 그 의미는 “더 이상 없는 즐거움”이다. 또 반고(班固)의 서경부(西都賦) 등지에도 보이는데 “즐거움을 다한다”는 의미이며, 나아가 《회남자(淮南子)》 원도훈(原道訓)에는 “至極의 樂”이라는 말이 나온다. 불전에서는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 《아미타경(阿.. 2018. 3. 9.
왕흠약(王欽若) 왕흠약(王欽若. 962~1025)은 자(字)가 정국(定國)이며 북송(北宋) 신유(新喩) 출신이다. 신유는 지금의 新餘東門王家 자리다. 18세에 《평진부론(平晉賦論)》을 지어 문명을 떨쳤고, 북송 태종(太宗) 순화(淳化) 3년(992)에 실시된 순화 진사 갑과(淳化 進士 甲科)에 급제해 관직에 진출했다. 이후 한림학사(翰林學士)와 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거쳐 재상인 동평장사(同平章事)에까지 관직이 이르렀다. 경덕(景德) 원년(1004) 거란(契丹)이 내범(來犯)하자, 당시 북송 황제 진종(眞宗)은 적을 두려워하여 왕흠약과 진요수(陳堯수) 등의 大臣들이 내놓은 계책을 받아들여 남조(南逃)로 천도하려 했으나 당시 재상(宰相) 구준(寇準. 961~1023)이 힘써 중의(衆議. 여론)를 배척하여 진종에게 단주(.. 2018. 3. 9.
《전당시(全唐詩)》 Quantangshi http://www.guoxue.com/zibu/dao/yun7/yun7.htmhttp://www.xysa.com/quantangshi/t-index.htm 《전당시(全唐詩)》 Quantangshi淸 康熙 44년(1705), 팽정구(彭定求)․심삼증(沈三曾)․왕사굉(汪士紘)․왕역(汪繹)․유회(兪梅) 등 10인이 봉칙편교(奉勅編校)하여 “시 4만8천900여 수, 2천200여인을 얻어(得詩四萬八千九百餘首, 凡二千二百餘人)”니 도합 900卷에 목록만 12卷에 달하는 초 거질 당대(唐代) 시가집이다. 조설근(曹雪芹)의 祖父인 조인(曹寅)이 奉旨하여 刊刻 《全唐詩》했다. 全書는 明代 호진형(胡震亨)의 《당음계참(唐音統籤)》과 淸代 이진의(季振宜)의 《당시(唐詩)》가 이룩한 성과를 바탕으로 하면서 잔비殘碑․단갈斷碣․.. 2018. 3. 9.
《광동통지(廣東通志)》 明淸 兩代의 地方誌로서 廣東省 內의 事蹟․氣候․風俗․水利․人物․藝術文化 等等을 정리, 기록했다. 《廣東通志》는 明代의 《광동통지초고廣東通志初稿》에서 비롯되어 8次에 걸친 개수를 거쳤다. 《廣東通志初稿》는 모두 四十卷이었으며 明 嘉靖 14年(1535)에 戴璟花가 兩個月에 걸친 纂修로 나왔다. 內容은 分野․山川․政紀․行次․疆域 等 五十多門을 포괄한다. 《廣東通志》 第二次 纂修는 明 嘉靖 36年(1557)이었으니 黃佐가 負責하여 1561年에 이르러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卷, 內容은 分하여 十一門六十九類이며, 人物이 三分之一을 차지한다. 第三次 纂修는 明 萬曆 27年(159年), 郭裴․王學曾․袁昌祚 等이 책임을 지고 했으며 1602年에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二卷, 內容分爲三十五門. 第四次 纂修는 淸 康熙 十四年.. 2018.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