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3557 김별아는 못 본 황룡사 낙조 적절한 황룡사지 낙조 사진을 확보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른다는 내 토로에 경주의 사진쟁이 오세윤 작가가 써먹으라고 보내준 두 장이다. 첫 사진 속 모델이 누구냐 물으니 형수라 한다. 사진 촬영기법에 의한 극화일 수도 있지만 저 선도산 너머로 해가 질 때 연출하는 낙조의 장관을 나는 늘 경이하며 찬탄한다. 저 풍광은 신라인들은 결코 맛보지 못한 것이다. 그들에게 황룡사는 폐허가 아닌 까닭이다. 대신 그들은 그 목탑에 올라 낙조를 감상했을 것이다. 목탑이 불타내리기 직전 그곳에 오른 김극기가 읉은 풍광은 낮이었다. 낙조가 없다. 그래서 아쉽다. (2017. 3. 19) *** 김별아 선생이 경주 혹은 월성을 탑재한 수필집을 낸 일이 있다. 그짝에서 김 작가는 제법하는 요설로 이 황룡사 터 이야기를 늘여놓아 .. 2024. 3. 19. 숭실대박물관 소장 근대 교재 동물학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자료 을 소개합니다. 『동물학』은 1906년 애니 베어드(Annie L. Baird) 가 편역한 교과서이며, 현존하는 대한제국기의 ‘동물학’ 교과서로는 가장 앞서고 있는 교과서입니다. 이 교과서는 한국의 근대 전환 시기에 ‘기독교와 과학’이라는 근대 학문 지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 ‘한국인에게 한국어로 학문을 가르치고, 사용되는 교육 용어는 한국어로’ 한다는 평양 숭실의 교육정책이 잘 반영되어 있는 책입니다. 한국의 근대 전환기, 서구 학문의 수용사와 한국 교육사에 큰 의미를 지닌 『동물학』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서 만나보세요! #숭실대학교 #숭실대박물관 #한국기독교박물관 #동물학 #근대교과서 #대한제국기 #과학교과서 #애니베어드 #평양숭실 #기독교 2024. 3. 18. 서울대박물관, 소배압 올라타고 고려거란 아카데미 권오가 역시 시류에 영합하는 기술은 뛰어나다. 간단히 말해 냄새를 잘 맡는다는 뜻이다. 개코다. 그렇게 드라마 타고서 장사 해 먹어야 한다 했더니만 관악산 기슭에서 쏙 빼먹는다. 연사들에서 생경한 이름은 없다. 다 이쪽에서 한 가닥 하던 사람들이다. 이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새로운 이야기가 없을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면서도 그만큼 안정성은 있다는 뜻이다. 한데 권오가 놓친 점이 있다. 완전한 장사꾼은 못된다는 뜻이다. 그 주연배우 중 한 명은 불렀어야 한다. 더 배워야 한다. 암튼 권오 이름으로 공지한 불러틴은 아래와 같다. 수요교양강좌 2024년 상반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는 관악구청과 함께 매년 봄, 가을에 를 개설하여 학생과 교직원 및 일반인들에게 쉽고 재미있으며 수준 높은 강연.. 2024. 3. 18. 경주의 봄 언제인가 그해 어느날 봄 저 대릉원 쌍분이 저랬다. 눈부셨다. 봄이 그리도 찬란한 줄 그따 처음 알았다. Spring over Gyeongju Sometime in the spring of that year, the twin tomb in Daereungwon looked like that. It was dazzling. Spring is so brilliant That was the first time I realized it. 2024. 3. 18. 테크노 클럽문화를 무형유산에 등재한 독일, 무엇을 시사하는가? One for the ravers: Berlin's techno scene recognised as cultural heritage Berlin's techno scene added to Germany's cultural heritage listBerlin's unique club culture has been honoured by the German national registry, along with five other German traditions.www.euronews.com 무형이건 유형이건 문화재란 자고로 고리타분과 동의어여야 한다는 통념이 어떻게 세계문화재계에서는 실행되는지 눈뜨고 봐야 한다. 지금 이곳, here and now가 문화재가 지향해야 하는 궁극임을 이처럼 명징하게 보여주는 사.. 2024. 3. 18. 한반도에서는 거지 생활했다는 신석기시대에 피어싱까지 했다고 이게 참 묘한 것이 분명히 구석기 전공으로 지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어디 지방박물관장하는 김상태가 엮어서 펴낸 최근 구석기시대 단행본에 의하면, 이미 인류는 구석기시대에 하이테크 기술을 구가하는 삶을 살고 누렸다. 한데 어찌하여 같은 고고학도들이 그리는 신석기시대는 퇴보에 퇴보를 거듭하여 땅 파고 움집 지어서 그짝에서 바닥에는 덕석 하나 깔고는 천둥 벌거숭이로 거기서 섹스하고 새끼 치고, 고기도 잡아먹고 하는 거지 같은 생활을 했다고 하는가? 그런 같은 신석기시대에 한반도 신석기인들은 거지 같은 삶을 사는 데 견주어, 지구 반대편 저짝 지금의 터키 땅에서는 피어싱까지 하면서 살았다는 증거가 제출됐다. Bodily boundaries transgressed: corporal alteration through.. 2024. 3. 17.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5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