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4277 파르테논 마블스를 어른거리는 외규장각 도서의 그림자 고대 그리스 아테네 중심부 언덕 아크로폴리스 Acropolis 를 정좌한 파르테논 Parthenon 신전 외부 장식물을 그리스 쪽에서는 장소성에 의미를 두어 파르테논 마블스, 파르테논 대리석 조각 the Parthenon Marbles이라 부르지만, 영국에서는 엘긴 마블스, 엘긴 대리석 조각 the Elgin Marbles 이라 부르는 일이 많은 듯하다. 문제는 저 엘긴 Elgin. 그는 이름이 좀 복잡해서 토머스 브루스, 엘긴 제7대 백작 겸 킨카딘 제11대 백작 Kincardine Thomas Bruce, 7th Earl of Elgin and 11th Earl of Kincardine (1766~1841)이 정식 타이틀? 이지만 누가 이렇게 부르겠는가? 흔히 로드 엘긴, 엘긴 경 Lord Elgin.. 2024. 1. 28. NAGPRA, 미국 원주민 고분 보호 및 반환에 관한 법률(연방법) *** 아직 정리가 채 덜 되었지만, 초고 상태에서 위선 공개한다. 그만큼 이 문제가 문화재 업계에서는 심각하기 때문이다. "원주민 허락없이 유물 전시 금지"…새 규정에 美 박물관 '비상' 송고시간 2024-01-27 00:38 미국 자연사박물관, 원주민 유물 전시 공간 임시 폐쇄 결정 https://www.yna.co.kr/view/AKR20240127000900072?section=culture/scholarship "원주민 허락없이 유물 전시 금지"…새 규정에 美 박물관 '비상'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미국에서 원주민 유물의 전시와 연구를 대폭 제한하는 새로운 규정이 발효되면서 주요 박물관들에 비상이 걸렸다. www.yna.co.kr *********** 이 법률은 소수민족.. 2024. 1. 27. 주택가에 출몰한 철새 기러기, 왜? 새 또한 사람과 하등 다를 바 없어 먹을 것을 찾아 움직인다. 물이 있어야 하고, 다른 먹을 거리가 있어야 한다. 예서 물은 바닷물이 아니라는 사실이 중요하지 않겠는가? 저들이라고 사람이라 달라 소금물을 먹으면 죽는다는 사실을 모를 리 없으니깐 말이다. 강가 포구 같은 데 철새가 몰리는 까닭은 딴 게 없다. 철새가 유사 이래 죽 강가 포구에 있었다고 생각하겠지만 천만에. 내가 보기에는 강안 충적대지가 농토로 개발되고 나서야 우리한테 익숙한 철새 도래지 풍광이 펼쳐진다. 놀랍게도 우리가 아는 장대한 철새 도래지 풍광은 개발과 궤를 같이한다. 김포에 철새가 출몰하는 까닭 역시 하등 다르지 아니해서 그곳이 한강 포구이며, 무엇보다 주변 일대가 온통 평야지대 논이라는 특성에서 말미암는다. 그런 김포에 느닷없이 .. 2024. 1. 27. 도판으로 보는 궁궐 조명기구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궁궐 조명기구 총정리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궁궐 조명기구 총정리 국립고궁박물관이 조선시대·대한제국기 조명기구 조사 결과를 정리한 단행본 《조명기구照明器具》를 발간하는 한편 숙종과 고종 연간에 각각 편찬된 궁궐 보고서인 《궁궐지宮闕志》를 한 historylibrary.net 바로 앞에 국립고궁박물관이 그 조사보고서를 냈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 이에서는 그에 수록한 조명기구 면면을 도판들로 살피기로 한다. 2024. 1. 25. 국립고궁박물관 조선 궁궐 조명기구 총정리 국립고궁박물관이 조선시대·대한제국기 조명기구 조사 결과를 정리한 단행본 《조명기구照明器具》를 발간하는 한편 숙종과 고종 연간에 각각 편찬된 궁궐 보고서인 《궁궐지宮闕志》를 한글로 번역한 고문헌국역총서 《국역 궁궐지-숙종 연간》·《국역 궁궐지-고종 연간』(1건 2책)》을 각각 발간했다고 25일 말했다. 박물관 소장품 도록 제18책인 조명기구는 등잔대, 촛대, 좌등座燈, 초롱燭籠·등롱燈籠, 괘등掛燈 등으로 분류한 전통식 조명기구 43점과 함께 서양식 촛대와 석유등, 전등기구 등 개항과 더불어 들어오기 시작한 근대 조명기구 52점을 합친 총 95점을 사진과 해설로 정리했다. 이런 조명기구 정리는 믿거나말거나 처음이다. 사립 박물관 쪽에서 정리한 적이 있기는 하지마는... 조명기구는 초·석유·전기 등 광원光源별.. 2024. 1. 25.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건축장인 대목大木의 세계 보고서 발간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사라져가는 전통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표방하며 전통 건축 목공사를 담당하는 대목大木이 사용한 도구를 그림과 영상으로 풀어낸 보고서인 「근현대 대목大木 도구」, 「그림으로 보는 전통건축 장인 대목의 도구」 두 종을 최근 발간하고 그 원문을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근현대 大木 도구」는 연구가 2022년 이래 실시한 대목 작업에 대한 현장 조사와 영상 기록화 등을 통해 수집한 다양한 자료를 토대로 심화 연구를 거쳐 완성한 결과물로, 대목이 사용한 도구 50여 종에 대한 정의, 사용법, 관리법, 대목의 경험담 등을 수록했다. 강의환 안강영 두 대목이 직접 출연해 주요 도구를 설명하는 구술 영상(수어 통역 포함)도 정보 무늬(QR코드)로 수록했다. 해당 영상은 연구소 유튜브 채널에서도 제공한다.. 2024. 1. 25. 이전 1 ··· 236 237 238 239 240 241 242 ··· 7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