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23 민병찬 시대를 맞는 국립중앙박물관 오늘 차관급 12명 인사에서 국립중앙박물관장에 민병찬이 발탁됐다. 직전 국립경주박물관장이니 박근혜 시대에 같은 자리에서 두 단계 건너뛴 이영훈 이래 같은 케이스 발탁이다. 민은 작금 국립박물관 주류로 평가되는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정통 인맥이다. 65년생이라 전임 배기동 관장에 견주어서는 훨씬 젊다. 올해 55세니 적지 않은 연배지만 근래 들어 가장 젊은 중박관장이다. 배기동 체제에서는 학예연구실장으로 있다가 경주로 갔다. 경주 가서 한 일은 없다 ㅋㅋ 조용히 때를 기다리란 말밖에 난 안했다. 다행히 기회가 왔다. 서울대 고미과 정통이요 미술사 전공으로 박물관에서 잔뼈가 굵었다는 것은 장점이자 단점이다. 아마도 문재인 정부 마지막일 중박관장으로서 민병찬이 어떤 그림을 그릴지는 모르겠다. 그러기엔 시간이 .. 2020. 11. 1. 셀카대제 selfie大帝 극성은 실은 내리막이라 극강 독식을 구가하던 오토대제 auto大帝도 장강 앞물처림 밀려나니 새로운 권좌 주인공이 바로 저 셀카대제라 이들은 전임 권력자보다 훨씬 더 자주 대한다는 점에서 오토대제보단 이루 말할 수 없으리만치 친서민을 표방하는지라 지하철에서도 버스에서도 기차칸에서도 수월찮이 마주 하니 혼자서 이런저런 모양 지어가며 요모조모 셔터 눌러대는 소리 서라운드 입체음향이라 성산배씨 토벤이도 울고갈 화음이라 그 몰골 보는 재미 이제는 막내린 개콘 전성시대를 방불하니 주둥이는 오므렸다 쪼무렸다 돌출했딘 합죽이만들었다 볼태기는 바람 한 번 넣었다가 푹 뺐다가 각도 역시 각양각색 비스듬히 위에서 내려찍다 수평응시하고 옆에서 찍다가 아래서도 말아올리며 거리 역시 천차만별 개중 생후 2개월 영아 궁디 같은 피.. 2020. 11. 1. 예열은 끝났다 이번엔 호박귀신? 이번 코비드19 보건사태에 한국은 세계추세와는 조금 다른 특이체질 모습을 보인다. 가끔 같은 길을 걷기도 했으니 대구발 신천지사태가 그렇고 전광훈발 광화문사태가 그랬다. 유럽미국이 더 맹렬한 확진추세에 돌입한 가운데 한국은 그런대로 버티는 모습이라 그럼에도 위태위태하다. 그런 판국에 서양발 호박귀신이 왔으니 또 호재다. 이 정부 전형의 수법이 그랬다. 자신들에게 돌아가야 할 책임소재를 외부로 돌리는 데는 천부적 재능이 있어 신천지와 전광훈을 내세워 멋지게 위기를 탈출한데서 한 발 더 나아가 그걸로 지지율 상승까지 끌어냈으니 망정이다. 이번에도 혹여 대규모 확진으로 확산하면 틀림없이 이 정부, 그리고 그에 부화뇌동하는 이른바 친여권 여론은 애꿎은 이태원 호박귀신 때려잡기에 나설 것이다. 신천지? 그건 언젠.. 2020. 11. 1. Moyangseong or Gochangeupseong 高敞邑城(又云牟陽城) 고창읍성 高敞邑城(又云牟陽城) Also called Moyangseong, Gochangeupseong is a fortress built in 1453. A local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the Joseon dynasty era was then rebuilt within the walls. Here, visitors can see an example of Korea’s traditional fortress architecture and take a stroll nearby amidst beautiful natural scenery. The fortress has been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145 of Korea. 2020. 11. 1. 오토대제 AUTO大帝 양코배기 역사에 족적을 남긴 제왕 중에 저 이름이 있나니 이제는 뼈다귀도 남지 않은 저 대제가 21세기에 부활해 같은 이름을 자칭하는 무수한 변종을 낳으면서 무단증식 중이라. 이들은 오직 오토 기능만 알아 제아무리 좋은 카메라라 해도 해가 뜨건 구름이 끼건 백열등 아래건 형광등 아래건 조도에 관계없이 노출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오토만 우악스레 고집하나니 이런 이들을 일러 오토대제라 한다. 오토대제가 찍은 사진은 운이 좋으면 샷이 걸리기도 하니 그렇게 무수히 셔터 눌러댄 사진 수백 장 중에 겨우 한두 컷 얻어걸리나니 기타 우수마발은 형광등 아래선 빛을 발하다 못해 퍼지고 조금만 어두워도 화면이 미끄럼을 타서는 추상화를 방불한다. 그걸 뺏어 M으로도 돌리고 조리개도 늘캐고 셔터 스피드도 줄여놓을 짝 치면 .. 2020. 11. 1. 고창 문수사 대웅전 高敞文殊寺大雄殿 Daeungjeon Hall of Munsusa Temple, Gochang 고창 문수사 대웅전 高敞文殊寺大雄殿 Daeungjeon Hall of Munsusa Temple, Gochang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1호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은사리) Jeolla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51 (Eunsa-ri) 135, Chilseong-gil, Gosu-myeon, Gochang-gun, Jeollabuk-do 문수산 중턱에 자리한 이 절은 백제 의자왕 4년(644)에 자장율사慈裝律師가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의 뜻을 깨닫고 귀국한 후 세웠다고 전하지만 신라 승려가 백제시대에 백제 땅에 사찰을 세웠다는 말을 어찌 받아들에야 할지 모르겠다.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허물어진 것을 조선 효종 4년(1653)과 영조 40년(1764)에.. 2020. 11. 1. 이전 1 ··· 2509 2510 2511 2512 2513 2514 2515 ··· 36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