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63 법민왕(法敏王) 신라 30대 문무왕 본명이 김법민(金法民)이므로, 생전 그의 재위시에는 이렇게 부른 듯하다. 삼국사기 권 제43 (열전 제3) 김유신下 : 그 전에 법민왕(法敏王)이 고구려의 반란한 무리를 받아들이고, 또 백제의 옛 땅을 점거하여 소유하니, 당 고종이 크게 노하여 군사를 보내 치게 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신라 제30대 법민왕(法敏王)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 661) 3월에 왕이 조서를 내렸다. “가야국(伽耶國) 시조(始祖)의 9대손 구형왕(仇衡王)이 이 나라에 항복할 때 데리고 온 아들 세종(世宗)의 아들인 솔우공(率友公)의 아들 서운(庶云) 잡간(匝干)의 딸 문명황후(文明皇后)께서 나를 낳으셨으니, 시조 수로왕은 어린 나에게 15대조가 된다. 그 나라는.. 2018. 3. 15. 거도(居道) 생몰년 미상. 신라인. 자세한 가계는 알 수 없다. 탈해니사금 때 신라변경 지방관이 되어 꾀로써 우시산국과 거칠산국을 병합했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거도 열전 : 거도(居道)는 그의 가계와 성씨가 전하지 않아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없다. 탈해니사금 때 벼슬해 간(干)이 되었다. 그때 우시산국(于尸山國)과 거칠산국(居柒山國)이 국경 이웃에 끼어 있어 자못 나라의 걱정거리가 되었는데, 거도가 변경 지방관이 되어 그곳을 병합하고자 했다. 매년 한 번씩 여러 말을 장토(張吐) 들판에 모아놓고 군사들에게 말을 타고 달리면서 놀이를 하게끔 했다. 당시 사람들이 이 놀이를 ‘마기(馬技)’라 불렀다. 두 나라 사람들이 (이 장면을) 자주 보아 왔으므로 신라의 평상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고는 괴이하게 여기지 않.. 2018. 3. 15. 검군(劍君) 진평왕 시대 신라인으로 사량궁 사인으로 있으면, 다른 사인들이 관청 곡식을 몰래 빼돌리는 일에 가담하지 않아 그들에게 독살됐다. 근랑(近郞)이라는 풍월주를 따라 수양하면서 의로운 것이 아니면 사사롭게 취할 수 없다는 신념을 익혀 이를 실천에 옮겼다. 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검군 열전 :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 사량궁(沙梁宮)의 사인(舍人)이 되었다. 건복(建福) 44년 정해(진평왕 49: 627)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여러 농작물을 말려 죽였으므로 다음 해의 봄으로부터 여름까지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끼니를 메웠다. 이때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들이 함께 모의하여 창예창(唱倉) 곡식을 훔쳐 나누었는데 검군만이 홀로 받지 않았다. 여러 사인이 말하기를 “.. 2018. 3. 15. 거질미왕(居叱彌王) 금관가야 제4대 임금. 금물(今勿)이라도 한다. 3대 마품왕과 왕비 호구 사이에서 태어났다. 재위기간은 253~291년. 5대 이시품왕 아버지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4대 거질미왕(居叱彌王)은 금물(今勿)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마품(麻品)이며 어머니는 호구(好仇)다. 신해년에 즉위해 55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5대 이품왕(伊品王)은 아버지가 거질미(居叱彌)이며 어머니는 아지(阿志)다. 병오년에 즉위해 16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마품(馬品)이라고도 하며, 김씨(金氏). 가평(嘉平) 5년 계유(癸酉; 253)에 즉위. 치세(治世)는 39년으로, 영평(永平) 원년 신해(辛亥; 291) 1월 29일에 죽음. 왕비(王妃)는 종정감(宗正監) 조광(.. 2018. 3. 15. 호구(好仇) 금관가야 김수로왕비 허황후가 금관에 도착할 때 수행했으며, 금관가야에서는 종정감을 지낸 조광의 손녀로 3대 마품왕비가 되어 거질미왕을 낳았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4대 거질미왕(居叱彌王)은 금물(今勿)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마품(麻品)이며 어머니는 호구(好仇)다. 신해년에 즉위해 55년을 다스렸다.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마품(馬品)이라고도 하며, 김씨(金氏). 가평(嘉平) 5년 계유(癸酉; 253)에 즉위. 치세(治世)는 39년으로, 영평(永平) 원년 신해(辛亥; 291) 1월 29일에 죽음. 왕비(王妃)는 종정감(宗正監) 조광(趙匡)의 손녀(孫女) 호구(好仇)로 태자(太子) 거질미(居叱彌)를 낳음. 2018. 3. 15. 조광(趙匡) 금관가야 김수로왕비 허황후가 금관에 도착할 때 왕비를 수행한 신하 중 한 명으로, 금관가야에서는 종정감이었다. 그의 손녀가 3대 마품왕비가 되어 거질미왕을 낳았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조 : 건무(建武) 24년 무신(戊申; 48) 7월 27일에 구간(九干) 등이 조회할 때 말씀드렸다. “대왕께서 강림(降臨)하신 후로 좋은 배필을 구하지 못하셨으니 신들 집에 있는 처녀 중에서 가장 예쁜 사람을 골라서 궁중에 들여보내어 대왕의 짝이 되게 하겠습니다.” …유천간 등이 돌아가서 왕후의 말을 전달하니 왕은 옳게 여겨 유사(有司)를 데리고 행차해서, 대궐 아래에서 서남쪽으로 60보쯤 되는 산기슭에 장막을 쳐서 임시 궁전을 만들어 놓고 기다렸다. 왕후는 산 밖의 별포(別浦) 나루터에.. 2018. 3. 15. 이전 1 ··· 3069 3070 3071 3072 3073 3074 3075 ··· 32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