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63 극충(克忠) 금관가야 중기 사농경을 역임한 인물로, 그의 딸 정신(貞信)이 5대 임금 이시품왕(346∼407) 부인이 되어 좌지왕을 낳았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 : 이시품왕(伊尸品王). 김씨(金氏). 영화(永和) 2년에 즉위. 치세는 62년, 의희(義熙) 3년 정미(丁未; 407) 4월10일에 죽음. 왕비는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 정신(貞信)으로, 왕자 좌지(坐知)를 낳음. 2018. 3. 16. 겸지왕(鉗知王) 금관가야 9대 왕. 질지왕과 방원 사이에 났다. 재위 492∼521년. 화랑세기 15세 유신공(庾信公) : 아버지는 서현 각간이고 할아버지는 무력 각간이고 증조는 구충대왕이며 고조는 겸지대왕(鉗知大王)이다. 겸지는 다섯 형제가 있었는데 모두 우리나라[신라] 골품(骨品) 있는 여자를 아내로 맞아 우리나라 조정에 복종하며 따랐다. 겸지왕 원년(492), 왕의 조카 납수공(納水公)이 우리 덕지공(德知公)의 딸 계황(桂凰)을 아내로 맞았는데 매우 아름다웠다. 왕 또한 우리나라 여자를 원했지만 왕의 어머니 방원(邦媛)이 허락하지 않았다. 처음에 왕의 아버지 질지대왕(銍知大王)이 영명하여 선정을 베푸니 금관(金官)이 잘 다스려졌다. 질지는 백흔공(白欣公)의 손아래 누이인 통리(通里)를 왕후로 삼으니 곧 미해공(美海.. 2018. 3. 16. 강수(强首) 신라 중기 때 명문장가. 중원경 사량 사람으로, 나머 석체 아들이다. 선조는 임나가야다. 머리가 툭 튀어나와 소대가리 같다 해서 저리 이름 지었다. 태종무열왕 때 당에서 보낸 외교문서를 해독하고, 문무왕 때는 당나라 옥에 갇힌 문무왕 동생 김인문 석방을 청원하는 표문을 지었다. 사찬으로 승진해 해마다 조 200섬을 받았다. 삼국사기 권 제7(신라본기 제7) 문무왕 하 : 13년(673) 봄 정월에...강수(强首)를 사찬으로 삼고 해마다 조[租] 200섬을 주었다.삼국유사 권제2 기이(紀異)2 문호왕(文虎王) 법민(法敏) : 신라 왕은 문준이 말을 잘해서 황제도 그를 용서해 줄 뜻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강수(强首) 선생에게 명하여 인문의 석방을 청하는 표문(表文)을 지어 사인(舍人) 원우(遠禹)를.. 2018. 3. 16. 석체(昔諦) 생몰년 미상. 신라의 유명한 문장가인 강수 아버지로 관위는 나마에 이르렀다. 강수가 주로 태종무열왕·문무왕·신문왕 때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주된 활동 연대는 태종무열왕 이전일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강수 열전 : 강수(强首)은 중원경 사량인(沙梁人)이다. 아버지는 나마 석체(昔諦)이다. 그 어머니가 꿈에 뿔 달린 사람을 보고 임신해 낳았더니 머리 뒤편에 뼈가 불쑥 나와 있었다. 석체가 아이를 데리고 당시 어질다는 사람을 찾아가 묻기를 “이 아이 머리뼈가 이런데 어떻습니까”라고,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듣건대 복희(伏羲)는 호랑이 모습이고, 여와(女)는 몸뚱아리가 뱀이며, 신농(神農)은 머리가 소와 같고, 고요(皐陶)는 입은 말과 같았으니 성현은 다 같은 유(類)로서 그 .. 2018. 3. 16. 제문(帝文) 신라시대 문장가로, 진평왕 시대 중국에 조빙사로 파견된 행적이 확인된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4 진평왕 : 22년(600) 고승 원광이 조빙사(朝聘使) 나마 제문(諸文)과 대사 횡천(橫川)을 따라 돌아왔다.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강수 열전 : 신라 고기(古記)에 “문장으로는 강수, 제문(帝文), 수진(守眞), 양도(良圖), 풍훈(風訓), 골답(骨沓)이 유명하다”고 했으나 제문 이하는 행적이 전하지 않아 전기를 세울 수가 없다. 2018. 3. 16. 수진(守眞) 신라시대 문장가로 자세한 행적과 활동시기는 알기 힘들다.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강수 열전 : 신라 고기(古記)에 “문장으로는 강수, 제문(帝文), 수진(守眞), 양도(良圖), 풍훈(風訓), 골답(骨沓)이 유명하다”고 했으나 제문 이하는 행적이 전하지 않아 전기를 세울 수가 없다. 2018. 3. 16. 이전 1 ··· 3067 3068 3069 3070 3071 3072 3073 ··· 32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