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57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 아래는 대한남성과학회 간행 기관지인 《 건강한 성 행복한 삶》 2017년 15권 1호(간행일 2017-07-21) '성칼럼 :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라는 제목으로 실린 기고문으로 아래서 원문 PDF를 제공한다. 내가 이곳에 전재하는 원고는 이 학회 제출본이라, 혹 최종 간행본의 그것과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http://www.andrology.or.kr/pdf/2017_01/01.pdf 화랑세기 비사 - 신라시대의 분방한 성문화 김태식 국토문화재연구원 연구위원·역사전문 언론인 “어머니와 아들이 간음한 흉노보단 낫다” “아내를 얻을 때 같은 성씨를 취하지 않음은 구별을 두터이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노(魯)나라 공작이 오(吳)에 장가들고, 진(晉)나라 후작이 성.. 2019. 1. 7. 서울 사대문 안 지하의 비밀 (5) 신동훈 (申東勳·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앞에서도 썼듯이 조선시대 한성부 발굴 현장 지층에서 회충 편충알이 발견되는것은 우리에게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조사의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흥미로운 부분이 꽤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위 유럽 중세 대도시 풍경 그림을 보자. 창문 위에 여인이 거리로 오물을 쏟아 붓는다. 이런 일이 드물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이미 했다. 이와 아주 비슷한 상황이 우리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당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근무하던 신영문 선생 요청으로 종묘광장-제생동천 발굴현장으로 출동한것이 2010년. 나가 보니 발굴은 잘 진행되어 우리가 기생충 샘플링만 하면 될 정도로 정리되어 있었다. 당시 현장 메모-. 이 발굴현장을 이해하기 위해 2009년 6월 18일.. 2019. 1. 7.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제영(息影亭題詠)〉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제영(息影亭題詠)〉 원문 息影亭題咏 石川林億齡 溶溶嶺上雲,纔出而還斂。無事孰如雲?相看兩不厭。右瑞石閑雲。 古峽斜陽裡,蒼龍噴水銀。囊中如可拾,欲寄熱中人。右蒼溪白波。 吾方憑水檻,鷺亦立沙灘。白髮雖相似,吾閒鷺不閒。右水檻觀魚。 有陰皆可息,何地不宜苽?細雨荷鋤立,蕭蕭沾綠蓑。右陽坡種苽。 秋山吐凉月,中夜掛庭梧。鳳鳥何時至?吾今命矣夫。右碧梧凉月。 萬逕人皆絶,蒼松盖盡傾。無風時落片,孤鶴夢初驚。右蒼松晴雪。 雨洗石無垢,霜侵松有聲。此翁猶取適,不是釣周人。右釣坮雙松。 澄湫平少浪,飛閣望如船。明月吹長笛,潛蛟不得眠。右環碧靈湫。 明月蒼松下,孤舟繫釣磯。沙頭雙白鷺,爭拂酒筵飛。右松潭泛舟。 礙日松爲盖,榰頤石作床。蕭然出塵世,六月裌衣凉。右石亭納凉。 孤煙生野店,漠漠帶山腰。遙想松間鶴,驚飛不下巢。右鶴洞暮煙。 牧童倒騎牛,平.. 2019. 1. 6. 고대 동아시아 역사를 아주 쉽게 이해하는 법 古代東アジアの歴史を非常に簡単に理解する方法 百濟 = Lotte 王國 昆支王 = 辛格浩(重光武雄)武寧王 = 辛東彬(重光昭夫) 金正恩 = 淵蓋蘇文勞動新聞 = 日本書紀 唐 = 美合衆國 唐太宗 李世民 = Donald Trump 美合衆國大統領 朝貢·冊封 = 核廢棄·安全保障 2019. 1. 6.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기(息影亭記)〉 기호철 원문 교정하고 번역하며 해설함 임억령(林億齡, 1496~1568) 〈식영정기(息影亭記)〉 1. 원문 息影亭記 金君剛叔吾友也,乃於蒼溪之上,寒松之下,得一麓,構小亭,柱其隅,空其中,苫以白茅,翼以凉簟,望之如羽盖畫舫,以爲吾休息之所,請名於先生。先生曰:“汝聞莊氏之言乎?周之言曰‘昔者畏影者,走日下,其走愈急而影終不息,及就樹陰下,影忽不見。’夫影之爲物,一隨人形,人俯則俯,人仰則仰,其他往來行止,惟形之爲。然陰與夜則無,火與晝則生,人之處世亦此類也。古語有之曰‘夢幻泡影’。人之生也,受形於造物,造物之弄戲人,豈止形之使影?影之千變,在形之處分,人之千變,亦在造物之處分。爲人者當隨造物之使,於吾何與哉!朝富而暮貧,昔貴而今賤,皆造化兒爐錘中事也。以吾一身觀之,昔之峨冠大帶出入金馬玉堂,今之竹杖芒鞋逍遙蒼松白石,五鼎之棄而一瓢之甘,皐夔之絶而麋鹿之伴。此皆有物弄戲其間.. 2019. 1. 6.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 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김영관 忠北大學校 史學科 敎授 出典 : 《韓國古代史探究》 30, 韓國古代史探究學會, 2018, 12. 【抄錄】이 논문은 1971년 발굴된 이후 일치된 견해를 내지 못한 부령왕릉 출토 왕과 왕비의 지석과 매지권을 새롭게 판독하고 해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령왕 지석의 맨 마지막 글자 한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었다. 무령왕 지석의 마지막 글자는 '穴‘, ‘冢’, ‘印’, ‘家’ 등으로 판독해 왔으나, ‘尔’로 판독했다. 무령왕비 지석 중 과거에 ‘大妃’로 판독했던 글자는 ‘太妃'임을 밝혔다. 매지권 중에서 "百濟斯麻" 다음에 오는 글자는 '王'이 아니라 '主'라는 것을 찾아냈다. 아울러 ‘訟' ‘詣' '詴' ‘.. 2019. 1. 6. 이전 1 ··· 3112 3113 3114 3115 3116 3117 3118 ··· 349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