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243

량질(良質) 신라 미추니사금 때 일길찬으로 승진했으며, 동왕 22년에 벌어진 괴곡성 전투에서 백제군과 맞섰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0년(281) 봄 정월에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량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22년(283)…겨울 10월에 괴곡성을 에워쌌으므로 일길찬 량질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2018. 3. 13.
양질(良質) ☞량질(良質) 2018. 3. 13.
홍권(弘權) 신라 미추왕 때 이찬으로 승진했다가 유례니사금 때 서불한이 되어 국정을 총괄했으며 이때 왜국 정벌을 하자는 왕을 간언해서 그 계획을 멈추도록 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20년(281) 봄 정월에 홍권(弘權)을 이찬으로 삼고 량질(良質)을 일길찬으로 삼았으며, 광겸(光謙)을 사찬으로 삼았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유례니사금 : 2년(285)…2월에 이찬 홍권(弘權)을 서불한으로 삼아 정치의 중요한 일을 맡겼다. 12년(295) 봄에 왕이 신하들에게 말했다. "왜인이 자주 우리의 성읍(城邑)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가 없다. 나는 백제와 꾀하여 일시에 바다를 건너 그 나라에 들어가 공격하고자 하는데 어떠한가?" 서불한 홍권(弘權)이 대답했다. "우리나라 사.. 2018. 3. 13.
정원(正源) 신라 미추니사금 17년(278) 백제와의 괴곡성 전투에 파진찬이자 사령관으로 출전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17년(278)…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와서 괴곡성(槐谷城)을 에워쌌으므로 파진찬 정원(正源)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2018. 3. 13.
직선(直宣) 신라 미추니사금 5년(266)에 벌어진 백제와의 봉산성 전투에서 승리한 성주로 그 공으로 일길찬으로 승진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5년(266) 가을 8월에 백제가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해 왔다. 성주 직선(直宣)이 장사 200명을 이끌고 나가 그들을 공격하니 적들이 패하여 달아났다. 왕이 그것을 듣고서 직선(直宣)을 일길찬으로 삼고 사졸들에게 상을 후하게 주었다. 2018. 3. 13.
욱보(郁甫) 신라김씨(경주김씨) 시조 알지의 4대손으로 미추니사금 아버지인 구도갈문왕 아버지다. 삼국유사에서는 '욱부(郁部)'로 표기되지만 같은 발음에 대한 다른 표기일 것이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미추니사금 : 미추니사금(味鄒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성은 김씨이다.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고,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 딸이다. 그의 선조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키워 후에 대보(大輔)로 삼았다. 알지는 세한(勢漢)을 낳고 세한은 아도(阿道)를 낳았으며, 아도는 수류(首留)를 낳고 수류는 욱보(郁甫)를 낳았다. 그리고 욱보는 구도(仇道)를 낳았는데 구도는 곧 미추왕의 아버지이다. 첨해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나라 사람들이 미추를 왕으로 .. 2018.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