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774

기쁨엔 밤이 짧고, 슬픔엔 밤이 길더라 중국사에서 서진西晉시대 정계와 문학의 거물 장화張華에게 ‘정시’情詩라는 제목이 붙은 오언五言 연작시가 있으니, 지금 소개하고자 하는 것은 모두 다섯 편 중에서도 세 번째 작품이다. 원앙금침 둘렀으나, 적막할 뿐이다. 독수공방을 이처럼 절절하게 표현한 작품 드물다. 아래 텍스트는 《문선文選》을 따른다. 《옥대신영玉臺新詠》 本은 조금 다르다. 清風動帷簾 맑은 바람 휘장발 흔들고 晨月照幽房 새벽달은 깊은 방 비추네 佳人處遐遠 고운님 멀고먼곳 계시는데 蘭室無容光 난초방엔 멋진 자태 없네襟懷擁虛景 품속에선 헛된 그림자 안고輕衾覆空床 얇은 이불 휑한 침대 덮었네居歡惜夜促 즐거울 땐 짧은 밤 아쉽더니在戚怨宵長 시름일 땐 긴 밤 원망스럽네 拊枕獨嘯歎 베개 안고 혼자서 한탄하니 感慨心內傷 슬픔 겨워 가슴속 아려오네 2018. 2. 21.
사자도(獅子図/狮子图/Lions) 사자도․獅子図․狮子图․Lions(Partial) 周全 筆, 日本東京國立博物館藏周全は明英宗天順年間(1457~64)から憲宗成化年間(1465~87)に活躍した画院画家で、鞍馬人物をよくしたといいます。親子の獅子が奔流を背に遊ぶ様子を、一枚の画絹に気宇壮大に描いています。獅子は「官位栄達」を意味する吉祥画でもあったといわれています。 Lions By Zhou QuanChina Color on silk Ming Dynasty, 16th century Housed at the Tokyo National Museum of Japan 2018. 2. 20.
Units of Bronze Chariot and Horses No. 2"(二號銅車馬) Units of Bronze Chariot and Horses No. 2"(二號銅車馬), excavated in 1980 at the Qin Shi Huang mausoleum, housed at the Museum of the Terracotta Warriors and Horses of Qin Shi Huang (秦始皇兵馬俑博物館), Lintong District 临潼区, Xi'an, Shaanxi Province, China Two-pieces of Qin dynasty bronze chariots were unearthed at the same wooden storage; Chariot No 1 consists of a driver with two seats in the chariot with a .. 2018. 2. 20.
Units of Bronze Chariot and Horses No. 1(一號銅車馬) Units of Bronze Chariot and Horses No. 1"(一號銅車馬), excavated in 1980 at the Qin Shi Huang mausoleum, housed at the Museum of the Terracotta Warriors and Horses of Qin Shi Huang (秦始皇兵馬俑博物館), Lintong District 临潼区, Xi'an, Shaanxi Province, China Two-pieces of Qin dynasty bronze chariots were unearthed at the same wooden storage; Chariot No 1 consists of a driver with two seats in the chariot with a .. 2018. 2. 20.
국지모(國智牟) 삼국사기 권 제20(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본기 : 23년(612) 6월 기미(己未)[11일]…처음 (수나라) 9군이 요하를 건넜을 때는 무릇 30만 5천 명이었는데, 요동성으로 돌아가 다달았을 때는 겨우 2천7백 명이었으며, 쌓아둔 기계가 억만을 헤아렸으나 모두 잃어버려 없어졌다. 황제가 크게 노하여 [우문]술 등을 쇠사슬로 묶고 계묘일[25일]에 [군대를] 이끌고 돌아갔다. 이전에 백제왕 장(璋)이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칠 것을 청하니, 황제가 시켜 우리 나라 동정을 엿보게 했으나, 장은 안으로 우리나라와 몰래 통하였다. 수나라 군대가 장차 출동하려 하자, 장은 그 신하 국지모(國智牟)를 수나라에 들여보내 출병할 시기를 알려달라 청하니, 황제가 크게 기뻐하며 후하게 상을 주고, 상서기부랑(尙書起部郞).. 2018. 2. 20.
고승(高勝) 삼국사기 권 제20(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본기 : 14년(603) [가을 8월에] 왕이 장군 고승(高勝)을 보내 신라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쳤다. 신라왕이 군사를 거느리고 한수(漢水)를 건너오니, 성안에서는 북치고 소리 지르며 서로 호응했다. [고]승은 저들이 수가 많고 우리는 적으므로, 이기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여 물러났다. 2018.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