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5

한국 대중문화의 위대함 한국 대중문화는 위대하다. 서구 사회에는 동양 문화에 대한 편견이 있다. 동양문화권에 대한 엄청난 발견이 있어도 대략 그 여파는 학계에서만 맴돌 뿐 일반 대중문화에 이르면 그 여파가 잘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왕퇴-. 필자가 보기엔 이 발견은 정말 엄청나다. 이 정도 볼륨을 가진 발견은 서구권에 갖다 놔도 세기의 발견이다. 물론 이 무덤에 대한 학계평가는 매우 높다. 하지만 한 발만 발을 바꿔 디디면 마왕퇴가 뭔지 모르는 사람이 미국과 유럽에는 널렸다. 설사 알게 된다 해도 세상에 이런 일이 정도다. 그 문화가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수준에 이르기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조선시대 미라도 마찬가지인데-.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연구도 현재는 이 연구가 추구하는 성과의 수준이 매우 높다는 점은 부정하는 사람.. 2024. 10. 9.
삼국지는 "서書"인가? "지志"인가? by 김영문 * 진수가 삼국지를 처음 편찬할 때는 아마 세 나라 역사에 위서魏書, 촉서蜀書, 오서吳書라는 이름을 붙이고 통일된 체제의 총서 형식으로 구성한 뒤 위서, 촉서, 오서를 각각 독립된 책으로 발간하여 따로 유통시킨 것으로 보인다. * 몇 가지 증거가 있다. 우선 구당서舊唐書 경적지를 살펴보면 삼국지 중에서 위국지魏國志 30권은 ‘정사正史’ 부문에 편입했지만, 촉국지蜀國志 15권과 오국지吳國志 21권은 ‘편년編年’ 부문에 편입했다. 만약 삼국지를 처음부터 한 부의 책으로 편집하여 유통했다면, 그것을 고의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부문 목록에 수록할 이유가 없다. * 또 삼국지를 처음 판각한 송宋나라 판본을 살펴보면 그것을 한 부의 책으로 합쳐서 편집했음에도 ‘판각 어명 첩문牒文’을 촉서 첫머리에도 편입했을 뿐 아.. 2024. 10. 9.
갈수록 절실해지는 기술을 배워야 한다던 어른들 말씀 뭐 솔까 저런 말을 입에 달고 산 보모님 세대부터 실은 100명 중 99분이 기술이랑은 눈꼽만큼도 관계가 없기는 하다. 저런 말 입에 달고 산 분들이 실은 죽어라 농사만 짓는 사람들이다. 저런 구호가 더 난무하던 시대가 박정희 시대였다. 그때를 나는 금오공고 시대라 부르는데, 그것이 대표하는 선형 판형 가공하는 기술공고시대, 그리고 주판을 무기로 앞세운 상고시대 아니었겠는가? 저와 비슷한 시대를 살고는 출세한 사람 중에 목포상고를 나온 DJ가 있고, 부산상고 출신 노무현이 있다. 한데 말이다. 퇴직하고 보니, 그리고 퇴직하고서도 뭔가는 하면서 입에 풀칠을 해야 하는 이 나이가 되고 보니 저 말이 갈수록 절실하다. 남들 볼 때는 너는 전문성이 있으니깐...하지만 막상 내실 따져보면 전문성은 하나도 없어 설.. 2024. 10. 9.
그리운 리숙동李叔同 선생님[懷李叔同先生] written by 풍자개豊子愷(1943), translated by 홍승직 (懷李叔同先生) 풍자개(豊子愷)(1943년작)지금으로부터 29년 전, 내가 17살 때, 항주杭州의 절강浙江 성립省立 제일사범학교에서 리숙동李叔同 선생님을 처음 만났다. 바로 훗날의 홍일법사弘一法師다. 그때 나는 예과 학생이었고, 리선생님은 우리 음악 교사였다.우리는 리 선생님의 음악 수업을 들을 때, 어떤 특별한 느낌이 있었다. 엄숙함이었다. 예비종이 울려서, 음악 교실로 걸어가 문을 밀고 들어서던 우리는 우선 깜짝 놀랐다. 리 선생님이 벌써 교단에 단정히 앉아 있었기 때문이다.선생님들은 늘 우리보다 늦게 온다고 생각하면서, 되는 대로 노래도 하고, 소리도 지르고, 웃기도 하고, 욕도 하면서 문을 밀고 들어서던 학우들로서는 더욱이 놀라움이 작지 않았다. 학우들의 노래 소리, 외침 소리, 웃는 소리, 욕하.. 2024. 10. 9.
류큐 국왕 초상 오고에御後絵와 닮은 해인사 세조 초상 이렇게 동글납작하게 생긴 얼굴로 그런 대사를 한다면 확실히 어울리진 않겠지만, 이당이 그린 초본을 봐도 그렇고 그게 사실인 걸 어쩌랴.그나저나, 이 해인사 소장 세조 어진은 보면 볼수록 류큐 국왕 초상 '오고에御後絵'와 닮았는데 관련 연구가 있는지 모르겠다. *** Editor's Note ***  강민경 선생이 새삼 소개하는 이 세조 어진은 언제 알려졌는지는 모르겠다. 내 기억을 떠올리면, 내가 기자 초년병 시절에 이를 소개한 적이 있다. 그때는 발견? 이라는 식으로 보도한 기억이 또렷한데, 그 무렵 첫 보고였는지 아닌지는 기억의 착란으로 안심할 수는 없다. 중요한 지적인 듯한데, 제대로 검토가 이뤄졌는지는 모르겠다. 2024. 10. 9.
마침내 선뵈는 팔보 옮김 풍자개 연연당 수필 이 풍자개豊子愷라는 사람은 그의 연연당수필緣緣堂隨筆이라는 책을 통해 희미하게 내가 존재를 각인하게 되었거니와다름 아닌 이를 옮긴 저 홍승직 선생이 틈나는대로 그 번역을 소개한 까닭이다.내가 숙독은 하지 못했지만 상당히 흥미로운 사람이며 참말로 글을 맛깔나게 쓰는 사람이라는 인상으로 남아 있다.출간을 염두에 둔 초고 번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조만간 역본이 나오는 모양이다.요새 책 홍보는 저자 혹은 역자가 발벗고 하는 시대.하지만 걸음걸이 때문에 스스로를 팔보라 하는 홍 선생은 못내 수줍음이 많아 아주 소극적으로 그런 사실을 조심스레 홍보하는데이르기를.. [대대적 홍보]혹시 누가 “얘 글 좀 쓰네”라고 평한다면, 이 사람한테서 배웠기 때문입니다.혹시 누가 “얘는 이따위로밖에 글을 못쓰.. 2024. 10.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