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4

[서예가 이완용] (7) 신문 신년 휘호 지금이야 윤전기에서 갓 나와 따끈따끈한 신문지 뭉치를 포장용으로 수출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100여년 전만 하더라도 조선 땅에서 신문이란 참 대단하고 권위가 있는 매체였다. 그때 그 시절 신문사에서는 새해나 기념할 만한 날에 명사의 붓글씨나 그림을 받아 신문지상에 싣곤 하였는데, 이완용의 글씨도 제법 보인다. 첨부 사진들에 신문에 실린 이완용 '휘호'가 보인다.당연하게도(?) 이완용의 글씨는 총독부 기관지 나 일본어 신문 같은 데만 실렸고, 나 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차례대로 1916년 10월 3일자 , 1926년 1월 1일자(왼쪽 아래. 가운데 턱 하니 실린 것은 총독 사이토 마코토(1858~1936)의 휘호) ,   1918년 9월 30일자에 실린 이완용 글씨다. 완完의 마지막 획과 용用의 .. 2024. 8. 3.
사카라Saqqara 세라페움Serapeum, 암벽 터널 파서 만든 무덤 공장 멤피스Memphis 인근 고대 이집트 네크로폴리스인 사카라Saqqara의 세라페움Serapeum은 인상적인 지하 무덤이다. 고대 이집트 신왕국 제19왕조 시대(기원전 1300년경)에 건설된 이 건축물은 바위를 깎아 만든 일련의 커다란 터널과 방들을 특징으로 한다. "갤러리"로 알려진 주요 터널은 길이가 약 100m이고 폭은 약 8m다. 그 안에 있는 무덤들은 각각 단단한 화강암으로 조각되어 있고 100톤에 달하는 거대한 화강암 석관이 있다.저 유적은 앞으로 자세히 소개할 기회가 있을 테니 일단은 맛뵈기로만 생각해주셨으면 한다. 2024. 8. 2.
[조 수수 기장 재배 관찰기] 병충해와의 싸움 조는 익어가고, 기장과 수수는 이삭이 나오기 시작했다. 풀새끼들이 온힘을 다해 자라고 있는데, 수수나 조 기장이 이길 것 같아 풀 뽑기나 베어주기는 그만한다. 조가 늦게 시집가 너무 작다고 걱정했는데 쓰러질 일은 없겠다. 김포가 점질토라 양분 흡수가 좋아 그런지 조 기장이 엄청 잘 쓰러진다고 한다. 쓰러짐에 대비해 이렇게 늙어 시집보내는 것도, 열매가 잘 여물기만 하면 괜찮을 거 같다. 조 이삭에 색색의 노린재가 앉아, 알곡 즙을 짜먹고 있다. 저렇게 당한 애들은 쭉정이가 된다. 몇 개는 조명나방 애벌레 피해도 보인다. 참새에 노린재에 조명나방에.. 애들 잘 자라기 참 힘들다. 지난달 말 그냥 한번 늦게 심은 조랑 기장은 새싹이 삐죽 나왔는데, 과연 먹을 수 있을까? *** 김포 농업 종사하시는 신소희 .. 2024. 8. 2.
시원의 우물 Initiation Well by 루이지 마니니 Luigi Manini 순간 볼 때는 이탈리아 오르비에토 우물이 아닌가 싶었다. 하긴 뭐 본 게 그거밖에 없으니 말이다. 깊이 88피트, 바닥까지 27m 나선형 계단을 갖춘 이 우물은 포르투갈 신트라 마을 근처 퀸타 다 레갈레이라 라는 데 있다 한다.하지만 우물로 사용된 적은 없는 기념물이다.다음 바닥을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현대 조각이다.  작가는 저 우물은 엄마 자궁으로 대체하고자 했을 것이다.  그런 까닭에 시원 우물 Initiation Wells 이라 하지 않았겠는가.한데 왜 wells라 해서 복수형?우물이 더 있단 말이다.포르투갈 세계유산인 신트라의 퀸타다 레갈레이라 공원 Quinta da Regaleira Park, Sintra 이라는 데 설치된 우물 조각 둘 중 하나라고. 다른 하나를 보다.저들은 1900년대 초.. 2024. 8. 2.
로마 판테온, 공구리의 힘 두 말이 필요없는 건축유산 로마 판테온Pantheon. 건설된 지 2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저 모습을 크게 흐트리지 아니하고 유지하는 콘크리트 돔concrete dome이다. 시멘트 공구리가 어떤 힘을 지니는지 저처럼 여실히 보여주는 증좌 있겠는가? 로마 고대 기념물 중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곳 중 하나로 후대 다른 건축에 끊임없는 영감을 주었다. 본래 저 자리에도 또 다른 만신전萬神殿이 있었다. 악티움 해전 Battle of Actium(기원전 31년) 이후, 이 전투를 결정적 승리로 이끈 장군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Marcus Vipsanius Agrippa가 기원전 27년 판테온을 건립했다. 하지만 서기 80년 로마를 덮친 대화재에 불타 내리자 서기 125년 무렵 황제 하드리아누스 시대에 .. 2024. 8. 2.
땅을 파고 들어가 만든 가난한 스웨덴 사람들의 숲집 무슨 지하 창고처럼 보이는데, 창고가 아니라 숲에 지은 집이란다. 덴마크랑 인접한 스웨덴 남부 스몰란드Småland[발음은 내가 들어봐도 정확한 표기를 못하겠다, 스모아란드 비슷하게 들리는 듯도 하다.] 어느 숲에 있는 작은 흙 오두막이란다.이런 오두막은 보다시피 지표면에는 지붕 정도만 살짝 노출된다.이런 종류 집을 스웨덴에서는 문자 그대로는 "언덕 코티지hill cottage"를 의미하는 "박스투가backstuga "라고 알려져 있다 한다.물론 오늘날은 흔하지는 않지만 17-18세기에만 해도 가장 가난한 축에 속하는 사람들이 저런 데 살았단다.저 모습에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대목은 옥저니 읍루니 해서 한반도 북쪽에 거주한 그때 사람들이 어떤 모습으로 집을 지어 살았을까 할 때 일정한 시사를 주리라고 본.. 2024.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