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빨 고고학이 참상을 빚었다는 지적은 이미 내가 2001년 무렵에 했다.
나는 관재에 대한 분석도 없이 그 관재를 밤나무라고 지적한 발굴보고서 내용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이를 '밤나무 고고학'이라 명명했듯이, 무령왕릉에서 유일하게 인골로는 건진 어금니 하나를 대상으로 하는 눈대중 감정을 '이빨 고고학'이라 표현했다.
한데 관재는 정작 분석 결과 밤나무와는 하등 거리가 먼 일본 열도 특산 자생종인 금송으로 드러났으며, 이빨 역시 발굴보고서가 인용한 30대 여성 운운한 감정이 눈대중에 지나지 않았음이 이후 백일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우리가 이 지점에서 이 어금니 문제를 다시금 생각해야 할 대목은 이 어금니는 출토 지점을 모른다는 점이다.
그 출토 정황에 대해 김원룡은 발굴보고서에서 "구치臼齒의 법랑질만 남은 것이 1개가 바닥을 쓸은 잔재물에서 검출되었는데..."(46쪽)라고 했다.
나아가 김원룡은 "그 결과 쓸어 담은 진토 속에서 조그만 구슬들과 쇠장식 편들이 나왔는데 특히 검사 결과 30세가량의 여성의 것이라고 밝혀진 소구치小臼齒가 1개 나온 것은..."(16쪽)이라고 했다.(이상은 졸저 《직설 무령왕릉 》, 메디치미디어, 2016, 266~267쪽 참조)
단언한다.
발굴보고서 출간 이후 각종 소설을 양산하는 빌미를 양산하는 '왕비 어금니'는 개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첫째, 출토 지점을 모른다.
둘째, 그것이 왕비 것인지도 모른다
출토지점도 모르는데 그것이 무슨 얼어죽을 왕비의 것으로 추정되며, 그것이 무슨 30대 여성 운운하는 근거가 된다는 말인가?
저 이빨은 눈으로 드러난 큰 유물들을 대강 건져낸 다음 아카시아 뿌리로 뒤엉킨 그 바닥을 삽으로 박박 긁어내고 빗자루로 쓸어담아 쌀가마니에 쑤셔박은 쓰레기 더미에서 확인한 것이다.
한데도 그것을 왕비 것으로 추정 운운하는 것은 담대하기가 하늘을 찌른다.
어떻든 이 눈대중 이빨 고고학을 토대로 해서 이후 한국고대사학도들이 쏟아낸 각종 '소설'은 차마 내가 그들의 체면을 고려해 졸저에서는 실상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마음이 점점 바뀌어 낱낱이 까발릴까 생각 중이다. (2016. 6. 12)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혈단신, 보재기 들고 가는 사신 없다 (0) | 2024.01.30 |
---|---|
강동육주, 고려거란전쟁의 최대 변수 (21) | 2024.01.29 |
갈돌과 갈판, 이걸 궁구해야지 않겠는가? (0) | 2024.01.29 |
[대물大物 이야기] 음낭만 비대한 사이고 다카모리 (0) | 2024.01.28 |
노자老子와 장 자크 루소 : 텍스트의 열림성 (0) | 2024.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