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ipedia

《초학기(初學記)》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3. 9.
반응형

먼저 내가 이용하는 판본은 《初學記》(上․下) , 中華書局과 《初學記索引》, 中華書局 許逸民 編임을 유념하라.


初學記는 명칭이 시사하듯이 공부하는  초보자들을 위한 책인데, 당 현종 이륭기의 명을 받들어 광록대부(光祿大夫)이며 행우산기상시(行右散騎常侍)이며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이며 부지원사(副知院事)이며 동해군개국공(東海郡開國公)인 서견(徐堅) 등이 봉칙찬(奉勅撰)해서 천자에게 받친 것이다.  성격별로 분류하자면, 유서(類書), 즉, 분류학 사전이다. 이보다 앞서 나온 비슷한 성격의 문헌으로는 저 유명한 예문유취(藝文類聚)가 있다. 예문유취야 그 분량과 그것이 커버하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니, 이로써는 初學을 위한 교재가 되기는 힘들었다. 이에 현종은 皇子, 즉 자기 아들들을 위한 시문 교육용 교재 편찬을 명하니 이렇게 해서 초학기는 편찬했다.


전체는 30권인데 그것은 23부 313개 子目으로 분류된다. 체재는 우선 서사(敍事)를 앞세우고 다음에는 사대(事對)를 두었으며, 마지막으로 시문(詩文)을 배치하고 있으나 일반 유서와는 같지 않은 점이 많다.


《사고제요》(四庫提要)에서는 “敍事雖雜取群書, 而次第若相連屬”라 하고 “在唐人類書中, 博不及藝文類聚, 而精則勝之, 若北堂書 及六帖, 則出此書之下遠矣”라고 그 특징을 설명했다. 여기서 말하는 북당서(北堂書)란 수대 말기 저작랑을 역임한 우세남이란 자가 편찬한 같은 류서인 북당서초(北堂書鈔)를 말하며, 육첩(六帖)이란 백거이가 찬한 류서를 지칭한다. 이들 북당서초와 예문유취와 초학기와 육첩을 唐代 4대 類書라 한다.


초학기 편찬 배경으로는 唐初의 시문 풍조를 들 수 있을 것이니, 이 무렵에는 六朝의  여운이 남아있어 騈文이 다시 성행하기 시작했거니와, 문장에서 많은 典故를 요구하게 된다. 이런 시대적 요구와 무관할 수는 없다.


초학기 편찬과 관련되는 기록으로는 《대당신어》(大唐新語) 권 제9에 실려 있는데, 이에 의하면 현종이 장설(張說)에게 이르기를 “아이들이 學綴文을 하려면 모름지기 檢事 및 看 文體 해야 하는 법이오. 御覽과 같은 류는 部帙이 이미 커서, 尋討稍難하오. 경이 여러 學士와 함께 要事 要文을 찬집하여 以類相從케 하시오. 務取省便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쉽게 見 成就케 하시오”라고 하니, 이에 徐堅, 韋述 등과 말해 이 책을 지어 진상하니, 이름을 초학기라 했다고 한다. 비록 본격 학술서라고 부르기는 곤란하나, 당나라 초기 魏王 이태(李泰)  등이 편찬한 괄지지(括地志)라든가 많은 참위서를 비롯한 逸書를 인용하고 있어 특히 중요한 문헌으로 꼽힌다.


1962년에 초학기 전 2책(上下)이 司義祖 點校본이 나왔다가 2004년 2월에  中華書局에서 중판되어 나왔는데, 나는 그 해 겨울 중국 산서동 대동에 들렸다가 점교본 2권과 함께 다음에 말하는 색인집과 함께 사서 돌아왔다. 이를 저본으로 한 초학기색인(初學記索引)은 中華書局에서 許逸民 編으로 나왔는데 1980년에 초판됐다가 중판에 맞춰 2004년 2월에 역시 중판됐다.


이 초학기 편목을 보면 類書가 과연 무엇인지를 가늠하기에 충분할 터이다.


제1권 : 天部 上 : 天 一, 日 二, 月 三, 星 四, 雲 五, 風 六, 雷 七

제2권 : 天部 下 : 雨 一, 雪 二, 霜 三, 포<雨+包> 四, 露 五, 霧 六, 虹  七, 霽晴 八

제3권 : 歲時部 上 : 春 一, 夏 二, 秋 三, 冬 四

제4권 : 歲時部 下 : 元日 一, 人日 二, 正月十五日 三, 月晦 四, 寒食 五,  三月三日 六, 五月五日 七, 伏日 八, 七月七日 九, 七月十五日 十, 九月九日  十一,  冬至 十二, 臘 十三, 歲除 十四

제5권 : 地部 上 : 總載地 一, 總載山 二, 泰山 三, 衡山 四, 華山 五, 恒山 六, 崇高山 七, 終南山 八, 石 九

제6권 : 地部 中 : 總載水 一, 海 二, 河 三, 江 四, 淮 五, 濟 六, 洛水 七, 渭水 八, 涇水 九

제7권 : 地部 下 : 湖 一, 漢水 二, 驪山湯 三, 昆明池 四, 氷 五, 井 六,  橋  七, 關 八

제8권 : 州郡部 上 : 總敍州郡 一, 河南道 二, 關內道 三, 河東道 四, 河北道 五,  농(언덕부+龍)右道 6, 山南道 7, 劍南道 8, 進南道 9, 江南道 10, 嶺南道 11

제9권 帝王部 : 總敍帝王

제10권 中宮部 : 皇后 1, 妃嬪 2 ; 儲宮部 : 皇太子 3, 太子妃 4 ; 帝戚部 : 王 5, 公主 6, 駙馬 7

제11권 職官部 上 : 太師․太傅․太保 1, 太尉․司徒․司空 2, 尙書令 3, 僕射 4, 諸曹尙書 5, 吏部尙書 6, 左․右丞 7, 侍郞․郎中․員外郞 8, 中書令 9, 中書侍郞 10, 中書舍人 11

제12권 職官部 下 : 侍中 1, 黃門侍郞 2, 給事中 3, 散騎常侍 4, 諫議大夫 5, 御史大夫 6, 御史中丞 7, 侍御史 8(殿中監察御使 附), 秘書監 9, 秘書丞 10, 秘書郞 11, 著作郞 12(著作佐郞 附), 太常卿 13, 司農卿 14, 太府卿 15, 光祿卿 16, 鴻臚卿 17, 宗正卿 18, 衛尉卿 19, 太僕卿 20, 大理卿甘(감?) 21

제13권 禮部 上 : 總載禮 1, 祭祀 2, 郊丘 3, 宗廟 4, 社稷 5, 明堂 6, 巡狩 7, 封禪 8

제14권 禮部 下 : 籍田 1, 親蠶 2, 釋奠 3, 朝會 4, 饗讌 5, 冠 6, 婚姻 7, 死喪 8, 葬 9, 挽歌 10

제15권 樂部 上 : 雅樂 1, 雜樂 2, 四夷樂 3, 歌 4, 舞 5

제16권 樂部 下 : 琴 1, 箏 2, 琵琶 3, 箜篌 4, 鐘 5, 磬 6, 鼓 7, 簫 8, 笙 9, 笛 10

제17권 人部 上 : 聖 1, 賢 2, 忠 3, 孝 4, 友悌 5, 恭敬 6, 聰敏 7

제18권 人部 中 : 師 1, 交友 2, 諷諫 3, 貴 4, 富 5, 貧 6, 離別 7

제19권 人部 下 : 美丈夫 1, 美婦人 2, 醜人 3, 長人 4, 端人 5, 奴婢 6

제20권 政理部 : 赦 1, 賞賜 2, 貢獻 3, 薦擧 4, 奉使 5, 假 6, 醫 7, 卜 8, 刑罰 9, 囚 10, 獄 11

제21권 文部 : 經典 1, 史傳 2, 文字 3, 講論 4, 文章 5, 筆 6, 紙 7, 硯 8, 墨 9

제22권 武部 : 旌旗 1, 劍 2, 刀 3, 弓 4, 箭 5, 甲 6, 鞍 7, 轡(고삐 비) 8, 鞭 9, 獵 10, 漁 11

제23권 道釋部 : 道 1, 僊  2, 道士 3, 觀 4, 佛 5, 菩薩 6, 僧 7, 寺 8

제24권 居處部 : 都邑 1, 城郭 2, 宮 3, 殿 4, 樓 5, 臺 6, 堂 7, 宅 8, 庫藏 9, 門 10, 牆壁 11, 苑囿 12, 園圃 13, 道路 14, 市 15

제25권 器物部 : 漏刻 1, 帳幕 2, 屛風 3, 簾 4, 牀 5, 席 6, 扇 7, 香鑪 8, 鏡 9, 鏡臺 10, 舟 11, 車 12, 燈 13, 燭 14, 煙 15, 火 16

제26권 器物部 : 冠 1, 弁 2, 印 3, 綬 4, 笏 5, 佩 6, 履 7, 裘 8, 衫 9, 裙 10, 酒 11, 飯 12, 粥 13, 肉 14, 羹 15, 脯 16, 餠 17

제27권 寶器部(花草 附) : 金 1, 銀 2, 珠 3, 玉 4, 錢 5, 錦 6, 繡 7, 羅 8, 絹 9, 五穀 10, 蘭 11, 菊 12, 芙蓉 13, 萱 14, 萍 15, 苔 16

제28권 果木部 : 李 1, ? 2, 桃 3, 櫻桃 4, 棗 5, 栗 6, 梨 7, 甘 8, 橘 9, 梅 10, 石榴 11, 瓜 12, 松 13, 柏 14, 槐 15, 桐 16, 柳 17, 竹 18

제29권 獸部 : 獅子 1, 象 2, 麟 3, 馬 4, 牛 5, 驢 6, 駝 7, 羊 8, 豕 9, 狗 10, 鹿 11, 兎 12, 狐 13, 鼠 14, 猴 15

제30권 鳥部(鱗介附 蟲部) : 鳳 1, 鶴 2, 鷄 3, 鸞 4, 烏 5, 鵲 6, 雁 7, 鸚鵡 8, 龍 9, 魚 10, 龜 11, 蟬 12, 蝶 13, 螢 1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