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4년, 고구려 장수왕 즉위 초반에 고구려가 작성한 이른바 광개토왕릉 비문에는 신라 왕을 일컬어 '신라매금新羅寐錦'이라 하며,
비슷한 시기 역시 고구려가 작성했다는 이른바 충주 고구려비에서도 '신라매금新羅寐錦'과 더불어 신라 왕을 일컬어 이칭으로써 '동이매금東夷寐錦'이라 해서 5세기 무렵 고구려가 신라 왕을 지칭해 '매금'이라 일컬었다 보는 견해가 자리를 잡은 형편이었다.
하지만 다른 아닌 신라인 스스로도 그 무렵 자신들의 왕을 일컬어 매금이라 했음은 524년 신라 법흥왕 시절에 작성한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서 당시 법흥왕을 일컬어 '모즉지매금왕牟卽智寐錦王'이라 했으니 이는 신라인 스스로의 신라 왕에 대한 호칭이 매금이었음을 본다.
아울러 시대가 훨씬 떨어져 신라 말 최치원이 작성한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에서도 '매금'이라는 말이 보인다.
이로써 보건대 매금은 5~6세기만이 아니라 신라말까지도 그 질긴 역사를 이었음을 본다.
일본서기 권 제9 신공섭정전기에도 '신라왕新羅王 파사매금波沙寐錦'이라 해서, 그 실체는 논란이 없지는 아니하지만 신라 파사니사금을 일컬어 파사 매금이라 불렀음을 본다.
이 매금을 학계에서는 모조리 다 신라 고유 왕명에 대한 옮김이라고 본다.
간단히 말해 그 본래하는 신라 발음이 무엇이건 당시 신라에는 왕을 지칭하는 용어가 따로 있었고, 그것을 그대로 한자로 저리 표기했다는 뜻이다.
그 매금을 마립간麻立干 이표기로 보는 견해가 압도한다. 매금에 견주어 마립간은 그 의미가 명확히 알려져 있다.
김대문 설명에 의하면 마립간은 말뚝왕이라는 뜻이다.
마립이 곧 말뚝에 대한 신라어 표기인 것이며 간은 꼭 신라만이 아니라 북아시아 계통에서는 우두머리는 다 간 혹은 칸으로 불렀으니, 그 유속인 것이다.
매금을 마립간에 대한 표기로 보는 또 다른 유력한 근거는 그 시기다. 신라는 지증왕 때 그 이전 마립간 대신 중국식 王이라는 칭호를 쓰기 시작했다 하거니와,
저 초기 금석문 매금은 대체로 마립간 시대에 해당하니, 그런 까닭에 매금은 곧 마립간이다 이런 식으로 보는 것이다.
매금과 마립간 동일시 또 다른 근거는 음상사다.
매금과 마립간, 2음절 이하는 모르겠지만 매/마가 결국 같은 발음을 지칭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매금이 과연 마립간에 대한 이칭 혹은 이표기인가? 이걸 한 놈도 제대로 묻지를 않았다.
'역사문화 이모저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그나 그라이키아Magna Graecia, 식민지로 확장한 그리스 세계 (3) | 2024.09.25 |
---|---|
여자 장군 부호妇好가 휘두른 개폼 창날 (1) | 2024.09.25 |
100년 전 풍납토성 재림 팡파르를 울린 을축년 대홍수 (2) | 2024.09.24 |
퀀quern은 갈돌에 갈아야 제맛 (5) | 2024.09.24 |
폭발하는 미라 수요, 공급을 따라 잡을 수가 없었다 (2) | 2024.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