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Viking Age Lady of Eura
바이킹 시대 에우라의 여인
핀란드 에우라Eura에 위치한 루이스타르Luistar 공동묘지는 거의 800년 동안 운영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1,300명이 넘는 유해가 안장되었다.
가장 오래된 무덤은 메로빙거 시대Merovingian period(서기 550-80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 (메로빙거 왕조가 핀란드까지 영향권에 두었나??? 암튼...)
핀란드 철기 시대에는 죽은 사람을 무기, 장신구, 그리고 사후 세계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기타 물건들과 함께 매장하는 일이 관례였다.[전 문화권을 통털어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현상이다.]
핀란드 다른 지역에서는 서기 0~999년에는 보통 시신을 화장터에서 태웠지만, 에우라 지역에서는 6세기 후반부터 기독교 영향으로 화장하지 않고 매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로 이례적으로 풍부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호화로운 장례용품들은 고인과 그 가족이 공동체 내에서 어떤 지위를 누렸는지 보여준다.
특히 바이킹 시대Viking Age(서기 800~1050년)에는 무덤에 장식품과 실용적인 물건이 잔뜩 쌓여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매장지 중 하나인 56번 무덤에는 발굴 책임자 피르코-리사 레흐토살로-힐란데르Pirkko-Liisa Lehtosalo-Hilande가 "에우라의 여인Lady of Eura"이라고 칭한 여성이 묻혀 있었다.
이 무덤은 키가 165~170cm(5피트 5인치~5피트 7인치) 정도인 약 45세 여성의 것이었다.
껴묻거리 아래에는 나무 받침대wooden platform 잔해가 남아 있었고, 유물은 나무와 자작나무 껍질birch bark로 덮여 있었다.
목에는 유리 구슬 glass beads 34개, 동전 11개, 은 펜던트 2개가 달린 목걸이가 걸려 있었다.
동전 10개는 동양식 디르헴oriental dirhems이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1003/1004년으로, 나머지는 900년대 것이다.
또한, 11세기 초 독일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에서 주조된 동전도 있었다.
크누트Cnut (1018~1024) 통치기에 영국 허트퍼드Hertford에서 주조된 가장 최근 동전은 나머지 동전들과 약간 분리된 채 발견되어 목걸이와의 연관성은 불확실하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매장 시기는 11세기 초로 추정된다.
이 여성 장신구와 액세서리는 전형적인 남부 핀란드 바이킹 시대 특징South Finnish Viking Age characteristics을 보여준다.
둥근 돔 모양 브로치Round dome-shaped brooches는 한 쌍씩 어깨에 착용하여 드레스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브로치에는 종bells으로 장식된 사슬 장식이 매달려 있었다.
가슴에서는 대칭적인 브로치symmetrical brooch가 발견되었다.
팔에는 꼬인 청동 팔찌twisted bronze bracelets가 장식되어 있었고, 각 손에는 두 개의 반지가 끼워져 있었다.
허리띠에는 작은 철제 칼이 걸려 있었는데, 그 화려한 칼집sheath에는 고양이과 동물 털이 보존되어 있었고, 그 아래에는 사슴 가죽deerskin과 천 조각이 남아 있었다.
무덤에는 사슴, 곰, 수달otter, 족제비mustelid, 고양이과 동물 여러 동물 털도 묻혀 있었다.
대퇴골femur 옆에는 가위가, 발치에는 낫이, 그리고 음식이나 음료를 담는 데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깨진 점토 용기가 놓여 있었다.
이 용기는 부장품 중 하나였거나 매장 의식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부서진 철제 물체 조각도 발견되었다.
무덤 속 유물과 보존된 천 조각들을 바탕으로 볼 때, 이 유적은 아마도 핀란드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복식 복원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머리 장식headgear, 어깨 망토shoulder cape, 뜨개질 장갑knitted gloves 조각도 무덤에서 발견되었지만, 발견된 유물이 부족하여 복원 작업에서는 제외되었다.
에우라의 여인 무덤은 과거를 엿볼 수 있는 놀라운 기회를 제공하며, 바이킹 시대 사회의 복잡성과 고대 핀란드의 풍부한 문화적 풍토를 보여준다.
이러한 발견은 당시의 사회적 위계와 문화적 관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역사 속에 얽힌 인간 이야기와의 가슴 아픈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현대인들에게 이러한 발견은 인간 경험의 연속성과 고인을 존엄과 아름다움으로 기리고 추모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보여준다. (사진 핀란드 국립 박물관)
핀란드까지 마수를 뻗쳤더니 근자 들어 부쩍부쩍 핀란드 정보가 모여든다.
어디가 빠졌더라?
동남아가 약하긴 한데, 이것도 나중에 본격으로다가 손대보기로 한다.
저 복식은 무덤으로 가져간 복장이라 생시에도 저랬다 생각하면 안 된다.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나토프락시tanatopraxy, 교황의 시신을 잠시 보존하는 방법 (1) | 2025.04.28 |
---|---|
넌 누구냐? 머리가 삼각 김밥인 빈차문화 (0) | 2025.04.28 |
사슬로 꽁꽁 묵은 중세의 도서관들 (0) | 2025.04.28 |
신석기 대모신과 제니퍼 로페즈 (0) | 2025.04.28 |
도검술, 그 끝간 데를 간 월왕 구천검 (1) | 2025.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