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남성에서 6~5만년 전 유물 다량 발굴, 혹 네안데르탈인이?
NEANDERTHAL-STYLE TOOLS FOUND IN CHINA SPARK DEBATE ON HUMAN HISTORY
Archaeologists have uncovered hundreds of ancient stone tools at Longtan, a site in China's Yunnan province, and they look suspiciously like something crafted by Neanderthals.
These tools, dated to 60,000, 50,000 years ago, bear the hallmarks of the “Quina” style, a method typically linked to Neanderthals in Europe.
티베트 고원 남서쪽 끝에 위치한 윈난성 롱탄 유적을 발굴하던 고고학자들은 이 지역 붉은색 실트질 점토층reddish, silty clay에 파낸 두 개 트렌치에서 수백 점 석기 유물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많은 도구가 네안데르탈인의 고고학적 특징으로 간주되는 '퀴나(Quina)' 스타일로 제작되었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런 스타일이나 복잡성은 동아시아에서는 이전에 발견된 적이 없다고 한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네안데르탈인과 관련된 퀴나(Quina)라고 불리는 석기 스타일이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탈리아 페라라 대학교 구석기 시대 고고학 박사후 연구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다비데 델피아노Davide Delpiano는 DNN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롱탄 유적의 발견은 주목할 만한데,
이는 전통적으로 이 기술 문화 복합체와 관련된 지역과는 (적어도 7,000~8,000km)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이 특별한 전통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네안데르탈인은 4만 년 전에 사라지기 전까지 약 40만 년 동안 유라시아 대륙을 돌아다녔지만,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 산맥 동쪽에서는 그들의 유해에 대한 증거가 없다.
네안데르탈인 뼈와 골격은 이전에 서유럽 여러 유적에서 키나 석기 도구Quina stone tools와 함께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는 프랑스 남서부의 라 키나La Quina 유적도 있다.
키나는 고고학자들이 무스테리아 문화Mousterian culture라고 부르는 네안데르탈인과 관련된 여러 석기 스타일 중 하나다.
델피아노는 롱탄에서의 전례 없는 발견은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고 말하며 두 가지 상충되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네안데르탈인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중국에 도달했을 수도 있거나, 혹은 다른 종의 고대 인류가 중기 구석기 Middle Paleolithic 시대로 알려진 이 시기에 유럽에서 만들어진 것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석기 도구를 만들었을 수도 있다.
2019년과 2020년에 롱탄에서 발굴된 도구 세트에는 한쪽이 날카로운 가죽이나 나무를 다루는 데 사용되는 스크레이퍼scrapers, 나무 창에 부착되었을 수 있는 돌촉stone points, 톱과 비슷한 홈이 있는 도구tools that had notches a bit like a saw. 등이 포함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이 6만~5만 년 전의 건조하고 추운 시기에 넓은 산림 지대에서 퀴나 석기 도구를 사용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 도구는 네안데르탈인이 이동하는 순록 무리, 거대사슴, 말, 들소 무리를 사냥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퀴나 도구는 일반적으로 장기간 사용되었으며 종종 손질되고 재활용되었는데, 이는 자원이 부족하고 이동성이 높은 생활 방식에 대한 대응이었을 것이라고 기술했다.
롱탄에서 발견된 고대 꽃가루pollen grains를 분석한 결과, 중국 남서부의 기후와 환경이 유럽과 비슷했을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저자들은 이 유적에서 동물의 유해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이 비슷한 동물을 사냥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델피아노는 "이 퀴나 패키지Quina package는 고도로 발달된 이동성 전략에 대한 적응을 보여준다.
이러한 유물은 유목민 집단이 점점 더 가혹해지는 기후 조건으로 인해 점점 희소해지는 자원을 찾아야 했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설계되었다"고 말했다.
네안데르탈인이 동쪽으로 중국 남서부까지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고, 아니면 그들이 고향 영토에서 다른 인류와 마주쳤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석기 기술이 동쪽으로 퍼질 수 있었다고 그는 말했다.
알타이 산맥 데니소바 동굴Denisova Cave에서 발견된 화석에 따르면 네안데르탈인은 약 20만 년 전에 살았으며, 당시 데니소바인으로 알려진 자매종은 아시아 전역에 살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 저자들은 중국 중부 허난성의 쉬창Xuchang에서 발견된 두개골에도 네안데르탈인 특징이 일부 나타나며, 이는 "인간이 서양과 동양 사이에서 교류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네안데르탈인이 가끔 중국 영토를 침략했다고 해도 놀랍지 않을 것이다"는 델피아노는 "그렇긴 하지만 문제는 현재 아시아 나머지 지역에서는 이러한 기술 패키지가 부족해 가상적인 이주 경로에서 연결할 수 있는 명확한 '경로'가 없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또 다른 그럴듯한 설명은 롱탄을 고향으로 삼았던 호미닌hominins (아마도 데니소바인Denisovans 이나 다른 알려지지 않은 종)이 비슷하게 혹독한 환경에 대응하여 네안데르탈인과 동일한 스타일의 석기를 별도로 개발했다는 것이다.
그는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중기 구석기 시대(도구)를 만든 네안데르탈인이 중국에 살았다는 사실을 아직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들의 '자매' 종인 데니소바인이 그 지역에 살았다는 것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므로 이러한 혁신과 생태적 적응이 그들에게 기인한다고 잠정적으로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델피아노는 "유럽 네안데르탈인과 공통된 기술적 토대인 지식의 기반에서 출발하여, 지역 집단은 이 도구 제작 전통을 '재창조'했을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그들의 생태적 조건에 잘 맞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중국 란저우 대학 고고학자이자 교수인 장동주Dongju Zhang는 두 가설 모두 추측에 불과하지만 그럴 듯하다고 말했다.
그녀는 도구를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 이해하려면 더 구체적인 증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에게는 롱탄에서 이런 양식을 만들어낸 사람들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는 아직 너무 이르다.
동아시아에서 더 많은 새로운 유물과 더 확실한 인간 화석, 고대 DNA, 또는 고단백질체paleoproteomic(고단백질ancient protein) 증거가 발견되기를 기대한다."라고 그녀는 이메일을 통해 밝혔다.
뉴욕 스토니브룩 대학 Stony Brook University 인류학 교수인 존 셰이John Shea는 네안데르탈인이 현재 중국에 살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중국에서 연구하는 고생물학자들이 중국에서 네안데르탈인 화석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석기는 신분증이 아니다Stone tools are not ID cards"라고 말했다.
이 새로운 연구는 우리 종인 호모 사피엔스가 이 지역에 대규모로 도착하기 전에 아시아에서 인류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풀리지 않은 의문에 더해진다.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 인류학과 박사후 연구원인 벤 우팅Ben Utting은 "나에게 이 논문의 중요성은 인류 기원 연구의 핫스팟으로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강조하는 최근 발견 목록에 기여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고고학자와 인류학자들은 오랫동안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문화적 낙후 지역으로 여겼지만,
이번 발견은 그러한 생각을 뒤집는 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이 지역에 살았던 인간들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 살았던 인간들만큼 행동적으로 역동적이고 복잡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퀴나 무스테리안은 아래 참조
Quina Mousterian
https://en.wikipedia.org/wiki/Quina_Mousterian
Quina Mousterian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lass of stone tools Imprint Bone from La Quina, Muséum de Toulouse The Quina Mousterian is a variety of the Mousterian industry of the European Middle Palaeolithic, associated with Neanderthals and described by Fran
en.wikipedia.org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폼페이 주택에서 2,000년 된 침대 바리케이드 발굴 (1) | 2025.05.12 |
---|---|
루마니아 채석장서 다키아 석공 도구 세트 발견 (1) | 2025.05.12 |
"쇤닝겐 창 개발자는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아닌 네안데르탈인" (1) | 2025.05.11 |
반란군 집단 처형장? 북마케도니아 스쿠피 로마 집단매장지 (1) | 2025.05.11 |
페루 안데스 고원에서 출현한 BC 10세기 파코팜파 사제 (4) | 2025.05.11 |
댓글